View : 6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규수-
dc.creator최규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1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39-
dc.description.abstract송강 문학이 지닌 우수성과 문학사적 가치에 대해서는 국문학 연구 초창기의 선학들에 의해 주목을 받은 이래 최근에까지 꾸준히 지속되어왔고, 그래서 송강문학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그 우수성에 대해 찬탄하는 쪽으로 일치를 보여왔다. 다만 지금의 상황에서 되돌아보는 송강 문학 연구의 흐름은 작품에 대한 매료가 앞선 상태에서 송강 문학의 우수성을 엄밀히 분석 검토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되어왔다는 반성을 하게 된다. 송강 문학에 관한 연구는 양적으로 방대하고 사적으로도 지속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방법론적 편향성을 탈피하지 못한 상태로, 연구상의 발전적 성과물이 크게 축적되지 못한 상태이다. 특히 연구자의 주관이 선행하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작품을 분석하는 것 외에 다른 장치를 갖지 못함으로써 논의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자의성을 갖게 되기 쉬웠고, 이것이 설득력을 잃기 쉬운 큰 험으로 지적되었다. 그래서 송강 문학에 대한 논의가 이른 시기부터 최근에까지 왕성하게 지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결과에 있어 의견의 합치를 보인다거나 기존논의를 기반으로 또다른 연구사적 성과를 쌓아나가기가 힘이 들었던 게 사실이다. 고로 현재의 시점에서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 송강 문학의 사적 위상을 정확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공정한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본고가 시도한 방법은 송강 작품의 수용을 일차적으로는 고전적 시간인 당대로 되돌려 그들의 시각과 입장에서 송강작품의 특성을 분석한다는 데 기본적 의의를 두고 있다. 이는 연구자의 주관성이 크게 개입함으로써 미적 특질을 분석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데 있어 문제점이 많았던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이다. 곧 작품 수용자의 미적 반응에 근거하여 수용상의 미적 요소를 추출함으로써보다 객관적인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크게 세 단계에 걸쳐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 첫번째 작업은 송강시가의 자료적 검토를 행하는 것이다. 그 결과 『송강가사』의 간행이 당대 이후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는 점에서 송강의 작품이 동시기의 인물인 노계나 고산의 작품 유포상황과는 달라졌다는 사실과 <훈민가>의 경우 『송강가사』의 간행 이전에 이미 『경민편』을 통해 문헌 정착과정을 보여왔다는 사실을 지적하였고, 개별작품 으로서 송강 시가가 가집내에 어떻게 어느 정도 수록되어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와 연결하여 송강 시가의 수용 양상을 사적으로 검토하고 향수방식과 향수층을 중심으로 향수 상황을 파악하였다. 이 작업들은 송강 시가의 미적 특질을 분석하기 위한 전제가 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두번째 작업은 수용상의 미적 요소를 추출하는 것이다. 즉 앞선 고찰에서 드러난 결과로 주된 수용층의 성향과 수용된 작품의 흡인력을 전제로 하여 주제적 측면과 표면적측면에서 수용상의 미적 요소를 추출하였다. 주제적 측면에서는 이상세계의 지향 풍류적 흥취의 실현 자아상의 진지한 모색 이라는 세 요소를 추출하였고, 표현적 측면에서는 절묘 와 호방 을 지적하였다. 세번째 작업은 이렇게 추출된 미적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송강 시가를 분석하여 형상화 방식을 살핀 것이 된다. 즉 수용 양상의 고찰을 통헤 송강 시가에 대한 미적 반응이 직관적이고 비분석적인 평어를 통해 주로 정서적 반응에 치우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이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설명을 가능케 하기 위해 수용상의 미적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통해 작품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시도한 것이다. 이렇게 추출된 미적 요소를 통해 송강 시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질을 지적할 수 있다. 즉 통합 의 지향성을 통해 시경지를 개척하고 있다는 점이다. 공간과 인간형 통합, 요소간의 통합에서 보다시피 통합 은 송강 시가에 있어 형상화 방식의 근간이 된다. 특히 송강 시가 논의에서 언급되는 이질적 성향은 현대의 연구자들에게는 병렬적으로 나열되는 특질에 불과하지만 실상 당대 이래의 수용 양상에서는 통합의 과정을 통해 시의 파탄을 막고 있다는 점에서 창작의 한 방식으로 중요하게 검토될 수 있다. 이는 후대적 수용의 맥락에서 보자면 다양한 취향을 포괄하는 능력과도 연결된다. 곧 수용자들이 작품에 대해 다양하게 반응할 수 있었음은 이런 특질 때문이며, 이것이 결국 송강 시가가 당대 이래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송강 시가가 놓인 위상과 관련하여 꾸준히 수용되는 동력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從初期韓國文學硏究時期到現在對於松江詩歌的硏討持續了 雖然硏究的量子比較多了, 質的成果是不太滿意的, 這就是由於硏究方法上的偏向性.所以松江文學硏究的方向時應 該脫離皮相的認識而進入硏究作品自體的特性和作家的內面意識. 所以這個論文是特別地注重了 受容 的問題. 這個方法是再一次接近松江文學的文學特質的 這優先注視受容者的美的反應, 而得了硏究者恣意判斷文學. 這個方法可能特向客觀的論議. 結局, 究明松江詩歌的特質的這個論文的意義是通過檢討松江誇歌的受容樣相而抽査美的要素而客觀的分析松江詩歌的形象化方式. 在Ⅱ章, 論者檢討了松江作品的資料實相, 這做爲這個論議的前題檢討多數的. 名字叫 「松江歌辭」的作品的結果是似乎是如此. 松江詩歌作品是好好的被保存了 在 「松江歌辭」記載的<訓民歌>是從 「警民篇」 採錄而全載的. 所以這個作品的傳承經路是근松江的餘他作品不一樣的. 松江詩歌是到十七世紀在有些個人次元受錄了. 可是十八世紀以後, 這個作品是在 歌集 次元受錄了. 而且以后到二十世紀初흔多文集內容對於松江詩歌繼續地關注了. 在Ⅲ章, 論者對於松江詩歌的受容樣相在通時的側面和共時的側面兩兼檢討了.從松江當代到后代, 享受 的層位是繼續的.根据 享受 的層位, 影響 的層位是在十七, 十八世紀旺盛而到十九世紀小康了. 漢譯 的層位是在全期間間歇地持續了,而到十九世紀特別地完結了 因爲在十七世紀松江歌辭旣經被認爲是優秀歌辭作品,所以到十八世紀松江時調也做爲時調的創作模範.結果, 到十八世紀,松江作品的受容層不能擴散, 但是對於松江作品認識越來越深化了,受容態度也整備了 結論地說, 那時侯松江詩歌被確立是古典. 在Ⅳ章,論者整理了受容的特徵和原因, 油査了受容上美的要素.松江作品可能被受容的重要原因是開放性. 這就是說在享受和表記的側面上, 沒有制約受容的幅度.영外的受容上特徵是受容者認爲松江作品有. 多樣的美感. 那樣的特徵是由於兩種的原因的. 優先, 作品外的原因是三個. 第一, 因爲十七世紀以後, 一般兩班士大夫們願意自己的門戶高大, 所以松江後孫也爲了家門的名譽積極地受容了自己先祖的作品. 第二, 西人系人物們支持了松江的作品 第三, 當時國家爲了敎民政策故意地普及了<訓民歌>, 作品內的原因是兩個.第一, 在主題意識的具現上, 松江作品容易形成受容者的共感帶. 第二, 松江作品的主題근詞·曲的兩側面是흔調和了. 所以在實在享受狀況下, 受容者喜歌受容松江作品. 根据以上的論議, 論者抽査了受容松江作品上具現的重要美的要素.論者就利用這兩種要素-表現和主題-而分析了作品受容樣相.在表現的側面上,受容者注目的要素是 絶妙 , 豪放 . 在主題的側面上, 受容者注目的是 理想世界指向 , 誠摯的自我象 , 風流的情趣 在Ⅴ章, 論者在形象化方式的架子, 具體地分析作品了 在這裏, 論者注目兩種受容上美的要素在作品上 즘마形象化, 而究明那樣形象化的意味. 那個結果是可以說如此. 表現的要素是在連作性, 分節性, 言語驅使方式上形象化的 具現主題的要索的樣相是可以說如此, 理想世界指向 是在三種的空間一自然, 人文, 理念空間一上顯出來的. 誠摯的自我象 是可以被分開理想化的傾向和女性化的傾向. 風流的情趣 換起對自然和人間關係的關心, 或是擴大假想次元. 這就是근理想世界指向的三種空間接着了, 這點흔重要.如果論者整理這些要素在作品上構造化的樣相的話, 可以分開三種的類型. 第一種是理想世界, 自我象,風流的情趣都貼緊的類型,第二種是强化誠摯的自我象的類型, 第三種是强化風流的情趣的類型. 在作品次元上, 整理主題的要素的形象化的效能的話 松江詩歌通過構造的特性,顯出問題提起和解決的過程來, 使受容者眞摯地討論一下, 以是具體的美感可以擴張到 感興 了. 特別把 風流的情趣 揷入構造單位來擴張詩世界, 昇化問題解決的次元了. 松江詩歌的 仙的風流 幷不是現實超越的道家, 因爲這是整理理想근現實的矩離,解消葛藤和對立的要素來提示問題解決的前望了. 這就是開拓表現方式和領域而啓發文學技巧的. 通過觀祭受容的偏差來, 可以說松江詩歌的形象化方式幷不是單純或直接的, 就是複合的. 所以受容者在흔多側面上可以受容松江詩歌. 松江詩歌的形象化方式有重要意味. 因爲這樣的方式흔適宜解消載道的理念근唯美的慾求間的緊張關係而追求調和. 而且這樣的形象化方式也有哲學思索的可能性而可以使受容者確認古典的美意識. 這點含有文學史的重要意味.-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Ⅱ. 논의의 전제: 송강 시가의 자료적 검토 ------------------------------ 6 A.『송강가사』의 간행 과정 ------------------------------------------- 6 B. 송강 시가 작품의 가집재 수록 양상 --------------------------------- 11 C.〈훈민가〉의 『경민편』내 수록 경위 -------------------------------- 13 Ⅲ. 송강 시가의 수용 양상 --------------------------------------------- 16 A. 사적 검토 --------------------------------------------------------- 16 1. 17세기의 수용 양상 ----------------------------------------------- 16 2. 18세기의 수용 양상 ----------------------------------------------- 18 3. 19세기의 수용 양상 ----------------------------------------------- 20 B. 향수 상황 --------------------------------------------------------- 21 1. 작품의 유포 범위 ------------------------------------------------- 21 2. 향수방식과 향수층 ------------------------------------------------ 24 Ⅳ. 송강 시가 수용상의 미적 요소 -------------------------------------- 33 A. 미적 요소 추출의 전제 --------------------------------------------- 33 1. 주된 수용층의 성향 ----------------------------------------------- 33 2. 수용된 작품의 흡인력 --------------------------------------------- 45 B. 수용상의 미적 요소 추출 ------------------------------------------- 57 1. 주제적 측면의 미적 요소 ------------------------------------------ 57 2. 표현적 측면의 미적 요소 ------------------------------------------ 64 Ⅴ. 미적 요소의 형상화 방식 ------------------------------------------- 70 A. 주제적 요소의 구조화 ---------------------------------------------- 70 1. 단일 요소의 표출 ------------------------------------------------- 70 2. 두 요소의 결합 --------------------------------------------------- 75 3. 세 요소의 조화 --------------------------------------------------- 85 B. 표현적 요소의 구현 ------------------------------------------------ 92 1. 주제의 심화 ------------------------------------------------------ 93 2. 시세계의 확장 ----------------------------------------------------101 Ⅵ. 송강 시가의 미적 특성과 의미 --------------------------------------108 A. 통합 의 지향성 ---------------------------------------------------108 B. 수용상의 의미 -----------------------------------------------------111 Ⅶ. 결론 --------------------------------------------------------------121 참고문헌 --------------------------------------------------------------123 중문초록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067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송강 정철 시가의 미적 특질 연구 : 작품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