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은영-
dc.creator임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7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타문화권 태도 척도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타문화 검사 번안(cross-cultural test adaptation)”절차에 대해 소개하고 타문화권 척도번안(cross-cultural test adaptation)의 절차 과정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했다. 특히 타당화본의 우수성과 역번역 과정의 중요성을 확인하려 했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초등학교 5학년 734명에게 3차에 걸쳐 반복시행 하였다. 734명중 반복시행 중 한번이라도 실시하지 않은 응답자와 답하지 않은 문항이 너무 많거나 잘못 기재한 10명을 제외하고 남학생 357명 여학생 354명 총 711명을 대상으로 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ikert식 6점 척도 24개의 문항이 세 개의 하위척도(감정척도, 과제선호수준척도, 행동척도)로 구성된 타문화권 태도척도인 “학구적 실패내성척도(Academic failure tolerance scale)”를 1)“번역”과 토의를 거쳐 이루어진 “번역본”, 2)“번역”, “역번역”과 검토 토의를 거쳐 이루어진 “역번역본” 이미 3)전문가에 의해 번역과 역번역 타당화을 거쳐 완성된 “타당화본” 세 가지 유형의 검사지를 제작하여 동일한 대상에 3차에 걸쳐 반복 시행하여 기초통계치, 상관, 다른 준거와의 상관, 신뢰도, 요인분석을 통해 세 가지 유형 각각의 심리적 속성과 구조를 확인하고 확인된 심리적 속성이 얼마나 유사한지 비교하였다. 특히 번역본과 역번역본이 얼마나 타당화본에 유사한지를 확인하여 역번역 과정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타당화본의 우수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실패내성 척도 세 가지 유형의 문항들을 등급반응 모형으로 분석하여 문항의 질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타당한 절차를 거쳐 제작된 검사의 우수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 세 가지 척도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전체척도와 각 하위척도 상호상관 분석 결과 번역본이 역번역본보다 타당화본에 유사하였지만 상관 계수들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다른 동기변인인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와 실패내성 척도의 세 가지 유형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전체척도와 하위척도들의 상관을 비교한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다른 동기변인들과의 상관이 역번역본의 경우에서 번역본의 경우보다 다른 동기변인과의 상관이 타당화본과 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번역, 역번역, 타당화본의 문항-총점 상관이 .30보다 낮은 문항이 번역본에서 4문항, 역번역본에서 4문항 타당화본이 1문항이었다. 그러나 Cronbach의 α를 산출한 결과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 모두 신뢰로 왔다. 그 중 역번역본이 번역본보다 타당화본에 유사한 값을 가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없다. 요인분석결과 타당화본과 역번역본은 각 1문항만을 제외하고 깨끗한 세 개의 요인으로 묶였다. 번역본은 세 개의 요인으로 묶였지만 4문항이 부하량이 적어서 묶이지 않거나 다른 요인에 묶였다. 또한 요인의 순서가 번역본은 역번역본과 타당화본과는 달랐다. 등급반응모형에 기초한 문항분석을 통해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검사정보함수값를 비교한 결과 감정척도를 제외한 타당화본이 가장 높은 검사정보함수값을 가져서 타당화본이 검사 내용을 가장 신뢰롭게 재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문항모수치를 추정한 결과 문항별별도가 낮은 문항이 번역본에서 4문항, 역번역본에서 3문항, 타당화본에서 2문항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항위치모수를 확인한 결과 위치모수가 특성 수준 -3.0과 3.0을 넘는 문항이 번역본에서는 6문항, 역번역본에서도 6문항, 타당화본에서는 3문항이 발견되었다. 문항모수추정치를 통해 세 유형 중 타당화본 검사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역번역본이 번역본보다 타당화본과 더 유사한 심리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세 유형의 중 타당화본의 심리측정학적 속성이 번역본과 역번역본에 비해 더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타문화권에서 제작된 척도를 도입해서 사용할 때 적법한 번안 절차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지하고 있다. 그래서 타문화권 척도 사용할 때 기능적, 개념적, 측정적 동등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번안절차를 사용하여 타당화된 검사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만약 타당화된 도구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경우 적어도 역번역 절차를 거친 검사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ree types of practice in enhancing validity and equivalence of the instruments when cross-cultural adaptation of attitude measures is necessary. The most common test adaptation practices in Korea were to be tested in the repeated study. Each of the tree types of practice includes the following procedures, respectively: 1)translation and review, "translation version", 2)translation, back-translation, and review, "back-translation version", 3) translation, back-translation, review, and empirical validation, "validation version".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734 5th graders attending typical public elementary school in a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 of Seoul, Korea. Because of missing values, 711 participants response were used for final analyses.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were three version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Clifford. this Scale has been developed for Korean version, and used as the translation version for the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three version at three different times with approximately one-week intervals. To limit systematical order effect, counterbalancing technical adopted Since the 3rd set can be assumed to be valid and equivalent to original AFT, comparisons can be made the 1st and 3rd set difference and the 2nd and 3rd set difference. differences was examined as follows: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indices were compare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factor structure and loadings were examined and compared. item qualities were compared using item parameters from IRT-based analysis result. Tree types of procedure revealed similar inter-correlation coefficients. But translation procedure showed difference factor structure from back-translation and validation procedures. Back-translation version and validation version showed similar factor structures. IRT revealed that validation version was superior and back translation version was more similar to the validation version than the translation version In summary,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currently used procedures. When researchers want to replicate findings from differential cultures to adopt the theory and relevant findings which deal with affective aspects of human characteristics, the use of valid instruments to assess the psychological construct should be ensu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타문화권 척도를 사용하는 이유 = 4 B. 타문화권 척도사용에서 적법한 번안 절차가 필요한 이유 = 5 C. 타문화권 척도 번안에서 고려사항 = 7 1. 문화에 따른 언어적 심리적 속성에 대한 고려사항 = 7 2. 방법론에서 고려사항 = 8 D. 타문화권 척도 번안에서의 심리적 속성의 동등성 = 11 1. 기능적 동등성 = 12 2. 개념적 동등성 = 12 3. 측정적 동등성 = 13 E. 타문화 척도의 번안 절차 = 14 1.언어번역 절차 = 15 2.통계적 절차 = 19 Ⅲ. 연구과제 = 24 Ⅳ.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도구제작과정 = 25 1. 번역과 토의과정을 거친 문항 = 26 2. 역번역과정을 거친 문항 = 29 C. 연구도구 및 절차 = 32 Ⅴ.연구결과 및 해석 = 35 A.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반응 경향 비교 = 35 B.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상호상관 = 35 C. 실패내성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과 관련변수와의 상관비교 = 36 D.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내적일치도와 문항-총점 상관 = 37 E. 요인분석 = 38 1. 번역본에 대한 요인분석 = 39 2. 역번역본에 대한 요인분석 = 40 3. 타당화본에 대한 요인분석 = 41 4. 실패내성 전체척도의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요인구조 비교 = 42 F. 실패내성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 하위척도의 문항모수치 = 42 1.실패내성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하위검사의 검사 정보 함수 비교 = 42 2. 실패내성 번역본, 역번역본, 타당화본의 하위검사의 문항모수치 비교 = 44 Ⅵ. 논의 = 47 참 고 문 헌 = 53 부 록 = 57 영 문 초 록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14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타문화권 태도척도 번안에서 역번역절차의 중요성-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