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김성경-
dc.creator김성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0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4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concerned about the homeless youth and group home where they are accommodat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conditions of group home and determine the sort of stresses homeless adolescents encounter under the group home conditions. This study is also aimed at surveying the adaptation outcomes the group home adolescents demonstrate and identify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ability of psychological adaptation to group home conditions and the actual process through which those factors become releva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of 183 adolescents, aged between 13 to 18, accommodated more than six months in 33 group homes that are selected from all group homes across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systematic sampling method. The stress buffering model was appli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ith the hypothesis that particular life conditions of a group home affect the level of stress resident adolescents undergo, and daily hassles affects psychological adaptation ability of the adolescents through interaction with protective factors. Thereby, the study is purported to determine how physical and emotional features of group home environments affect daily hassles of the adolescents, protective factors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adolescents and to find out the process through which those factors interacting with each. In other words, emotional conditions of homeless adolescents and their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including their behaviors ar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model, while physical and emotional surroundings of group home, daily hassles of the adolescents, individual protective factors and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were assumed to be relevant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of the research which were aimed at finding out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adolesc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group home conditions have effect on the level of daily hassleses of the adolescents residing in the group home. In particular, it was proved that average budget allocated to the individual resident adolescents, average number of adolescents under the care of each social worker, emotional responsiveness, emotional involvement and behavior control of group home are relevant to daily hassles of the adolescents residing there. That is, it was proved empirically that physical conditions and emotional care are factor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hassles.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phys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group home are not relevant to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 residing adolescents. Another finding is that the less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emotional involvement of the group home, the more problematic becomes the emotional condition of the adolescents. Third, it was found that some factors that have secondary effect on daily hassles are pronouncing their effects more on emotion and behaviors of the resident adolescents. The problems of transportation, stresses related to economic deficiency, collective life, general surroundings, existence of living parents were proved relevant to emotional conditions of the adolescents. Emotional conditions differed according to the sex also. Transportation and economic stresses were found to be only factors that have statistically relevant effect on behavior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protective factors affect emotional problems but are not relevant to behaviors. Emotional problems are more serious for the boys, and the adolescents with living parents, and if the adolescents are not satisfied with social activities. Fifth, daily hassles and protective factors were found to have interactive buffering effect on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Support of teacher was found to be a protective factor that has controll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daily hassles and emotional problems. If the teachers support is strong, the emotional problems of the adolescents decrease even in the case of high level of daily hassles. 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ve factor that has control on daily hassles and behavior was found to be teachers support and responsibility. If stress is high, while teachers support and responsibility are not adequate, behavioral problems tend to increase. Theoretical, clinical implications and policy relevance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oretically, empirical data on group home adolescent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of psycho-social adaptation capability of the group home adolescents. It has become established that physical and emotional environment have relevant effect on daily hassles and adaptation of the adolescents. It also has provided analytical basis for empirically confirming the process of functioning of protective factor existing in the framework of social protection service for the protection of adolescents and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Clinically, the research has proved the necessity of setting up programmes differently design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adolescents, thereby has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programmes. It also confirmed the necessity of involvement strategy to promote the emotional features of the group home, namely its function as family, thereby making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ervices. It may help establishing detailed programmes and involvement strategy for increasing the psycho-social adaptation of the group home adolescents. The research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ocial programmes for schools and provided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programmes that may help promote the protective factors. Lastly, as to its implication to the policy making, the research confirmed the necessity of standardized formula for improving the life environment of group homes, and also suggests the necessity to provide legal ground for the group homes. ; 본 연구는 원래 자신의 가정이 아닌 그룹홈에서 살고 있는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과연 그들이 생활하고 있는 그룹홈의 생활환경은 어떠한지와 그 생활환경 안에서 청소년들은 어떠한 생활스트레스를 인지하는지를 탐색하고, 그룹홈 거주 청소년의 적응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역동적 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 약 130개소의 그룹홈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을 모집단으로 하되, 이 중 33개소의 그룹홈을 추출하여 그곳에 적어도 6개월 이상 거주한 13∼18세 연령의 183명의 청소년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모형은 생태학적 접근과 스트레스 완충모델 중 상호작용효과 모델에 기초를 두어, 그룹홈의 생활환경 특성은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며,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보호요인과 상호작용하여 거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이 모형을 통하여 각 독립변수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와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종속변수는 그룹홈 청소년의 정서문제와 행동문제를 포함한 심리사회적 적응문제였다.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상정한 독립변수들은 그룹홈의 물리적 환경특성과 정서적 환경특성,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개인내적 보호요인 및 환경적 보호요인 등이었다. 독립변수의 하위변수로는 그룹홈의 물리적 환경요인에서는 총 거주자수, 보호자 1인당 청소년수, 청소년 1인당 평균 생활비, 청소년 1인당 평균 실내평수 등이며, 정서적 환경특성에서는 의사소통, 정서적 반응, 정서적 관여, 행동통제 등이었다. 그리고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요인분석을 통해 교통ㆍ경제적 스트레스, 공동생활 스트레스, 주변환경 스트레스, 보호자 스트레스로 분류되었다. 또한 보호요인은 자아존중감, 통제감, 책임성 등의 개인내적 보호요인 및 교사지지, 친구지지, 사회활동 만족도 등의 환경적 보호요인으로 나누었다. 이와 같은 연구설계를 통해 그룹홈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그룹홈의 환경특성이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 그룹홈의 물리적 환경특성과 정서적 환경특성의 일부가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룹홈의 분위기가 정서에 대한 반응이 낮을수록 그리고 정서에 대한 관여도가 낮을수록, 행동통제가 적을수록, 그리고 청소년 1인당 생활비가 적고 보호자 1인당 청소년수가 많을수록 그룹홈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은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둘째, 그룹홈의 환경특성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는 물리적 환경특성 및 정서적 환경특성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그룹홈의 정서적 환경특성에서 정서적 반응성과 정서적 관여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청소년의 부모가 생존해 있을 때 그룹홈 거주 청소년들의 정서문제는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행동문제에는 정서적 환경의 정서적 반응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근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1>과 <가설 2-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정서문제와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회귀모형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교통ㆍ경제적 스트레스, 공동생활 스트레스, 주변환경 스트레스의 세 개의 요인과 성별, 부모유무 등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대해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교통ㆍ경제적 스트레스만 유일하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1>과 <가설 3-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넷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문제에 대해 보호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모형에서는 정서문제에 대해서는 사회활동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며, 성별과 부모유무가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이 사회활동 만족도가 낮을수록, 여자 청소년보다 남자 청소년이, 부모가 사망한 청소년보다 부모가 생존해 있는 청소년이 정서문제가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보호요인은 없지만, 책임성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근접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4-1>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으며, <가설 4-2>는 기각되었다. 다섯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문제에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보호요인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두 단계로 분석하였다. 1단계에서는 6개의 보호요인 중 의미가 있는 변수를 살펴보기 위해 동시투입에 의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난 상호작용 변수 각각의 효과 수준과 완충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그래프 작성과 순차적 추가방식의 이론단계적 회귀분석을 다시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부모유무, 일상생활 스트레스,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교사지지의 상호작용,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친구지지의 상호작용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단계에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x교사지지와 일상생활 스트레스x친구지지의 상호작용 효과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교사지지의 상호작용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조절변수의 효과가 있는 반면, 일상생활 스트레스x친구지지의 상호작용 효과는 설명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청소년의 행동문제를 준거로 하였을 때, 1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교사지지의 상호작용,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책임성의 상호작용 등이며 그룹홈 입소이유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근접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2단계 분석에서 일상생활 스트레스x교사지지와 일상생활 스트레스x책임성의 상호작용 효과의 수준 검증에서는 두 상호작용 변수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가설 5-1>과 <가설 5-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ㆍ임상적ㆍ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이론적 함의로는 우선 그룹홈 청소년의 생활실태 및 보호상태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그룹홈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문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룹홈의 물리적 환경과 정서적 환경의 요소들이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발생과 적응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보호서비스 체계 내에 있는 청소년에 있어서 그들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 보호요인 -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일련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분석틀을 마련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임상적 함의로는 그룹홈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고, 그룹홈의 정서적 특성, 즉 가족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개입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그룹홈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개입전략의 구체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환경적 보호요인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함의로는 그룹홈 생활환경의 개선을 위한 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보여주며, 그룹홈에 대한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그룹홈내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그룹홈 청소년에 대한 첫걸음에 불과한 연구이므로,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일반 청소년집단과의 비교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둘째, 청소년의 적응 발달과정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위해서 충분한 질적자료의 병행과 더불어 종단적인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그룹홈 환경을 포괄하기 위하여 지역적 특성과 그룹홈의 특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표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후속연구에서는 소규모 시설인 그룹홈에 거주하는 청소년용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보호요인 중 하나인 친구의지지 중에는 역기능적 지지도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친구의 지지가 좀더 세분화되어 적응적 과정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되어야 될 것이다. 여섯째, 차후 연구에서는 그룹홈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학업성취도, 신체증상 등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고, 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를 가져오는 보다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3 II. 이론적 배경 A. 주요 개념 -------------------------------------------------------------- 5 1. 그룹홈의 개념 -------------------------------------------------------- 5 2. 스트레스의 개념 및 유형 ---------------------------------------------- 9 3. 보호요인의 개념 ------------------------------------------------------ 11 4.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개념 -------------------------------------- 12 B.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그룹홈 ------------------------------------------- 14 C. 스트레스 완충모델 ------------------------------------------------------ 16 1.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 모델과 완충효과 모델 ---------------------------- 16 2. 사회적 지지의 스트레스 완충모델 -------------------------------------- 19 3. 보호요인의 스트레스 완충모델 ----------------------------------------- 23 D. 선행연구 고찰 1. 그룹홈의 생활환경과 청소년의 적응 ------------------------------------ 24 2.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적응 --------------------------------------------- 27 3. 보호요인과 청소년의 적응 --------------------------------------------- 29 III. 연구 방법 A. 연구모형 및 가설 ------------------------------------------------------- 32 1. 연구모형의 설정 ------------------------------------------------------ 32 2. 연구가설의 설정 ------------------------------------------------------ 33 B. 연구설계 및 표본 선정 -------------------------------------------------- 35 C. 측정도구 --------------------------------------------------------------- 37 1. 측정도구 ------------------------------------------------------------- 37 2.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 43 D. 분석방법 --------------------------------------------------------------- 45 E. 연구의 한계 ------------------------------------------------------------ 46 IV. 결과 분석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7 1. 그룹홈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 47 2. 그룹홈의 일반적 특성 ------------------------------------------------- 50 B. 그룹홈 청소년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분석 ----------------------------- 55 1. 인구학적 배경변수에 따른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차이 -------------------- 55 2. 인구학적 배경변수에 따른 보호요인의 차이 ----------------------------- 58 3. 인구학적 배경변수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 ---------------------- 62 C. 가설의 검증 ------------------------------------------------------------ 67 1. 그룹홈 환경특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 67 2. 일상생활 스트레스, 보호요인,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 78 3.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보호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 85 4. 소결 -----------------------------------------------------------------101 V. 결 론 A. 요약 -------------------------------------------------------------------104 B. 함의 -------------------------------------------------------------------109 1. 이론적 함의 ----------------------------------------------------------109 2. 임상적 함의 ----------------------------------------------------------110 3. 정책적 함의 ----------------------------------------------------------112 C. 제언 -------------------------------------------------------------------114 < 참고문헌 > ----------------------------------------------------------------116 < 부록 > --------------------------------------------------------------------130 < 영문초록 >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30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그룹홈 거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sychosocial adaptation of adolescents in group homes-
dc.format.page16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