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윤애-
dc.creator김윤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0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3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tends to elucidate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dialectic of Plato and Aristotle. In the first place, it must be stated that the dialectic is related to the mutual consent resulted from the contention and refutation which are ground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 of dialogue partners as well as the vertical relations to the universal truth. The mutual consent is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dialectic proceeds to seek for the principles that can clarify the ground of phenomena. Thus, the dialectic aims to comprise both the analytical and synthetical methods, ultimately in order to establish the philosophical method to save the phenomena. This paper begins with the analysis of 〈the Sophist〉and 〈the Philebus〉 to explain in what sense the dialectic is the method to elucidate the One-Many problem with regard to particulars in the phenomenal world. The One-Many problem is originally caused by the nature of the logos and also by the relation of particulars to Forms and the relation of Forms to one another. That is how it is possible to define One thing by Many different from it. And Plato solves the problem by the communion of Forms. The dialectic is the method to find out the universal definitions of particulars in relation to Forms and ultimately to seek for the principles of the phenomenal world. The dialectic clasifi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orms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all kinds of Forms are connected to Forms of the being , the same and the other . Thus the dialectic shows the combination of Forms, which implies the ontological meaning as well as the logical analysis of concepts. In his earlier dalogues, Plato represents the dialectic as the process to answer the question What-is-X? . The same aspects appear in later period too. The problem What-is-X? can be answered by the method of dialectic, that is to define about the intrinsic essence of the object. Then it is stressed that the dialectic of Plato starts with particulars in the phenomenal world and it implicates the co-extensive procedures of Collection and Division. All divisions assume previously the collected wholes because there must already be something to be divided. Then analysis presupposes synthesis, the collected wholes because there must already be something to be divided. Then analysis presupposes synthesis, the collected whole seems to be prior to Divisions. And Division is implicily simultaneous with Collection, the Collection and the Division interpenetrate with each other inseparably. Therefore dialectic means Collecting according to Forms on the one hand and Dividing into the Forms on the other hand. By these procedures the necessary communion of the Forms is revealed. The world of Forms has the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is the relations between the higher Forms and the lower ones belonging to them, genus and species. And 〈the Sophist〉 which discusses the relation of statements and Forms 〈the Cratylus〉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 of names and Forms come to conclusion that objects of correct names are Forms and the statements are also the reflections of combinated Forms, in so far as constituents of statements such as names and verbs are intended to indicate Forms.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world of Forms is the ontological ground of the phenomenal world, the semantical ground of the language and the possible ground of the dialogue. The logos contains the ontological meaning to reflect the world of Forms and as far as the dialectic is mediated by the logos, the dialectic is nothing but the procedure to seek for the Being itself through the upward and downward pth. Now the analysis of 〈the Topics〉and 〈the Metaphysics〉 of Aristotle is followed to consider the meaning of the dialectic and the principles. The dialectical syllogism of Aristotle is also to be considered as a philosophical method to seek for the universal prnciples from the experiences of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analysis of 〈the Posterior Analysis〉 is focused on the explanation of the demonstration(deduction) grounded on principles such as definitions, premisses and axioms which in nature cannot be demonstrated and should be accepted as thuth - from the outset. Such scientific knowledge relies on assumptions without asking for any account further of them. Therefore the demonstrative disciplines have the hypothetical certainty . Definitions are gained from the procedure of Collection and Division. Universals which are necessary for inference are secured from the induction. Axioms common to all kinds of knowledge are understood intuitionally. All these are methods used to secure principles of all kinds of studies. It is Aristotle s conviction that if we are to investigate definitions, premisses and axioms which are accepted as thuth , this investigation cannot be done by demonstration, but only by the dialectical argumentation. That is, the dialectical argumentation provides us with the only way to inquire and examine into the truth of principles which cannot be proved by demonstration as starting-points of studies. In this sense,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the dialectical argumentation is also a necessary procedure to gain our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that the demonstration is the sole method of science must be changed so that the contribution which can be made only by the dialectical inference - that is, the examination of principles - must be considered as necessary for the demonstration in our researches. Aristotle s new point consists in the new characterization of endoxa which is thought as including not only generally accepted opinions , plausible and probable beliefs but also all kinds of statements of scientists and philosophers, and also intuitionally understood principles(axioms) of knowledges. It means that endoxa includes the Principle of Non-Contradiction as common belief which actually as principle constitutes the starting-point of all kinds of knowledge. the connection between dialectic and demonstration and the fundamental role of dialectic can be interpretated on this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of the word endoxa . The dialectical debate is grounded by our experiences about phenomena which are both the observed facts and the shared beliefs. And the dialectical argumentation of Aristotle is the method of examinative refutation that is the reciprocal pursuit of the truth analytically and synthetically. It is the method of the disputative practice that goes through the puzzle and the rational procedure that establishes the first principles of research. By this argumentative method the principles can testify and confirm and reject with phenomena. It is co-operative rather than combative. Dialectic argues according to endoxa, its solutions are always open to the challenge by anyone who rejects the starting-point. If we seek to secure the truth of our knowledge, we must start from the investigation of our common belief which cannot be proved by an exact demonstration. We must seek to inquire into the probability of the common belief through dialogs which allow the contention and refutation symmetrically and try to come to a mutual agreement, recognizing that our mutual agreement can be falsified. This acknowledgement of probability and fallibilism as necessary for our knowledge is truly a new point in Aristotle that cannot be seen in Plato s works. For Plato the dialectic deserves the supreme title of philosophy itself, whereas for Aristotle the dialectic cannot get this status for all its results. But both in Plato and in Aristotle, the dialectic is the systematic practice of the cross-examination that has the crucial function of approaching first principles as the intrinsic characteristic of the philosophical researches. It is the synoptic searching for the truth and the philosophical method to save the phenomena. ; 본 논문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디알렉티케의 의미를 존재론과의 관계에서 규명함으로써 디알렉테케는 대화자 상호간의 수평적 관계에서 도출되는 공동적 합의를 매개로 개별적 현상과 보편적 진리 사이의 수직적 관계에서 현상 세계로부터 아르케를 탐구하고 다시 그로부터 현상의 근거를 정초하는 종합적이고 분서적인 현상 구제의 철학적 탐구방법이라는 점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먼저 플라톤의 〈소피스트〉편과 〈필레보스〉편에 대한 분석에 의해 디알렉티케는 현상계의 개별자에 대한 하나와 여럿의 문제를 해명하는 방법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하나와 여럿의 문제는 형상들의 관계와 형성과 개별자의 관계에서 제기되는 문제이고 로고스 자체의 본성에 기인하는 문제이다. 이때 디알렉테케는 현상계의 개별자를 형상들의 관계에 의해 보편적으로 정의함으로써 현상계의 개별자의 아르케를 탐구하는 방법이다. 디알렉테케는 정의의 대상인 형상들이 모두 존재 형상과 같음 형상, 다름 형상과 결합되어 있다는 것에 근거하여 각 형상과 다른 형상들 간의 유사점(같음)과 차이점(다름)에 따라 모으고 나누는 절차에 의해 형상들의 결합관계를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인 개념분석의 의미만이 아니라 존재론적 의미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플라톤의 디알렉티케는 현상계의 개별장 대한 철학적 근본물음인 무엇-물음 에 대한 답변 과정으로서 여럿의 개별자로부터 하나의 보편자를 얻는 종합과 하나의 보편자를 여럿으로 나누는 분할의 양면적 절차라는 점을 세부적으로 논의함으로써 디알렉테케는 단순히 분석적 분할의 방법과 동일시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소피스트〉편의 진술과 형상들의 관계, 〈크라튈로스〉편에서의 이름과 형상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올바른 이름은 지각 가능한 사물들의 본질인 형상을 드러내는 것이고, 진술은 각각의 형상을 지시하는 이름과 동사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플라톤에게서 이름과 진술의 의미, 진술의 구조와 그 참/거짓 여부는 형상들의 결합관계에 기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로고스는 형상 세계를 반영하는 존재론적 의미를 지니며 형상 세계는 현상 세계의 존재론적 기반이자 언어의 의미론적 근거로서 대화의 가능근거이기 때문에 이런 로고스를 도구로 하는 디알렉티케는 존재 발견의 방법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플라톤의 디알렉티케는 현상계의 여럿 의 개별자를 모으고 하나 의 보편적 형상을 나누면서 모으는 종합적 상향과 분석적 하향의 방법이며 귀납적이고 연역적인 절차에 의해 여럿의 개별자를 형상에 의해 존재론적이고 의미론적으로 근거지우는 정의의 방법인 것이다. 따라서 플라톤의 후기 디알렉테케는 결합가능하고 분할 가능한 후기 형상론을 기반으로 현상과 형상의 두 세계를 접근시켜 궁극적으로 현상 세계를 설명하고 근거지우는 방법이고 철학적 탐구 그 자체인 것이다. 이와 함께 아리스토텔레스의 〈토피카〉와 〈형이상학〉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변증적 추론과 아르케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변증적 추론 역시 현상 세계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보편적 아르케를 탐구하는 철학의 방법이라는 것이 분명히 밝혀진다. 그리고 〈분석론 후서〉에서 논의되는 논증에 대해 고찰하여 각 학문의 아르케인 정의, 가설, 공리는 논증 불가능한 것이므로 각 학문은 논증의 아르케를 참으로 수락 하고 출발하는 것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즉 정의는 종합과 분할의 방법에 의해 도출되고, 추론에서 필수적인 보편자는 여럿의 개별자로부터 귀납에 의해 확보되며, 모든 학문에 공통적인 공리들은 직관적으로 이해된다. 그래서 종합/분할, 귀납, 직관은 모두 학문의 아르케를 확보하는 방법이지만 논증하는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그것들은 모두 변증적 추론에 의해 그 확실성이 검토되고 논의되어야만 한다. 결국 변증적 추론은 논증 불가능한 학문의 근거인 아르케의 참/거짓 여부에 대해 검토하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학문적 지식의 메타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변증적 추론에 대한 전통적 해석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엔독사와 현상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엔독사는 다수의 사람들이 받아들이는그럴듯한 일상적인 상식적 믿음만이 아니라 각 학문의 전문 학자들과 철학자들의 모든 주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의견과 모순적인 철학자의 주장, 그리고 직관적으로 이해된 논증적 학문의 아르케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성을 지닌 자들에게 논란이 되는 각기 다른 정도의 확실성을 갖는 공통적 믿음이다. 이와 같은 엔독사에 대한 의미 규정을 토대로 할 때 변증적 추론은 일상적인 공통적 믿음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아르케에 대해 비논증적으로 검토하는 학문과 철학의 방법이라는 점이 분명히 드러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아리스토텔레스의 변증적 추론과 철학은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아르케를 보편적으로 탐구한다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변증적 추론은 논증 불가능한 아르케데 대해 논박적으로 검토 하는 방법 이고 철학은 변증적 추론에 의해 검토된 참 결론을 선택하여 진리를 인식 하는 학문 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직관적으로 이해된 논증적 학문의 아르케인 공리를 공통적 믿음 이라고 하고, 공리들 중에서 논증의 연쇄밖에 있는 모순율을 논박적으로 검토하는 간접적 증명에 의해 최후의 근거로서 설정하는데 이러한 철학의 논박적 논의는 변증적 추론이 방법인 것이다. 변증적 추론은 검토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참 전제만이 아니라 거짓 전제로부터도 추론하고, 참 결론만이 아니라 거짓 결론도 도출하며, 일반적으로 거짓으로 받아들여지는 것과 참으로 받아들여지는 것 모두에 대해 그 거짓의 근거와 참의 근거를 밝혀 거짓을 제거하고 참인 진리를 근거지우는 논변의 방법이다. 따라서 변증적 추론의 결론은 본래적으로 개연적인 것이고 변증적 추론의 개연적 결론의 확실성은 또 다른 변증적 추론에 의해 비판적으로 검토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디알렉테케는 현상 세계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아르케를 탐구하는 공동적인 대화의 방법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하고 주장하고 반론하는 변증적 추론의 전체 과정을 종합과 분할의 구조로 설명함으로써 플라톤의 논리적이고 존재론적 의미의 디알렉티케를 형상 없는 개념들간의 논리적 의미로 계승한다. 디알렉티케는 현상 세계로부터 궁극적 진리를 추구하는 대화자들이 상호간의 수평적 관계에서 의사소통을 거쳐 주장과 반론으로부터 공동적이고 대칭적인 합의를 구하는 한편, 개별적 현상과 보편적 진리간의 수직적 관계에서 상향적 종합과 하향적 분할의 절차에 의해 귀납적이고 연역적으로 아르케메데스의 점 을 찾는 최후의 근거 설정의 방법이며, 그로부터 다시 현상 세계를 설명하는 현상구제의 방법인 것이다. 이러한 디알렉티케는 일방적 독단이 아니라 여럿의 다른 것 들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 모순 관계로부터 모순의 지양을 통해 상호 주관적 합의를 구함으로써 점진적으로 보다 더 확실한 보편적 진리로 접근하려는 정, 반, 합의 공동적인 논박적 대화의 방법이며 이는 결국 오류와 보다 긴 우회로를 거치는 시행착오의 가능성을 인정하면서 지속적 비판과 논박적 검토에 의해 보다 나은 대안과 진보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철학적 탐구의 방업인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 론 --------------------------------------------------------------- 1 Ⅰ. 플라톤의 디알렉티케 ---------------------------------------------- 7 1. 원전의 분석 ------------------------------------------------------ 7 A. 〈소피스트〉편 -------------------------------------------------- 7 B. 〈필레보스〉편 -------------------------------------------------- 24 2. 무엇-물음 -------------------------------------------------------- 40 3. 종합과 분할 ------------------------------------------------------ 46 1. 종합과 분할의 관계 - 〈소피스트〉편 ----------------------------- 49 2. 종합과 분할의 관계 - 〈필레보스〉편 ----------------------------- 53 4. 로고스 ----------------------------------------------------------- 57 5. 디알렉티케와 철학 ------------------------------------------------ 64 Ⅱ. 아리스토텔레스의 디알렉티케 -------------------------------------- 71 1. 원전의 분석 ------------------------------------------------------ 71 A. 〈토피카〉------------------------------------------------------- 71 B. 〈형이상학〉----------------------------------------------------- 90 2. 제1원리 ----------------------------------------------------------101 3. 논증과 변증적 추론 -----------------------------------------------106 1. 학문적 지식과 논증 ----------------------------------------------106 2. 논증의 전제 -----------------------------------------------------109 3. 변증적 추론 -----------------------------------------------------113 4. 귀납과 직관 ------------------------------------------------------123 1. 귀납 ------------------------------------------------------------123 2. 직관 ------------------------------------------------------------128 5. 엔독사와 현상 ----------------------------------------------------136 1. 엔독사 ----------------------------------------------------------137 2. 믿음 또는 의견 --------------------------------------------------142 3. 현상 ------------------------------------------------------------144 6. 디알렉티케와 철학 ------------------------------------------------153 Ⅲ.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디알렉티케 -----------------------------167 1. 아리스토텔레스의 플라토니즘 --------------------------------------169 2. 정의의 방법: 종합과 분할 -----------------------------------------173 3. 독사와 엔독사 ----------------------------------------------------181 4. 디알렉티케와 철학 ------------------------------------------------185 결 론 ---------------------------------------------------------------189 참고 문헌 ------------------------------------------------------------196 ABSTRACT -------------------------------------------------------------2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117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의 변증론-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ialectic in Plato and Aristotle's philosophy-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