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4 Download: 0

명사구 보문 구성의 문법화 연구 : '보문화소#보문명사+이-'를 중심으로

Title
명사구 보문 구성의 문법화 연구 : '보문화소#보문명사+이-'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in Korean nouns
Authors
강소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언어의 속성상 변화는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언어의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드러낼 수 있는 한 방편으로 문법화를 설정하였다. 문법화 는 명사나 동사의 활용형들이 자신의 실질적·구체적 의미를 잃어버리고 추상적· 기능적 의미를 지닌 문법 형태소로 변화하는 것 을 이르는 말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가 문법형태소로 완전히 변화한, 결과의 산물만을 지칭하였던 데 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과정 전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하여 서술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을 밝힘으로써 논의의 전개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문법화의 개념을 먼저 확정하고 이 개념 아래에서 어휘 형태소가 문법 형태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가지게 되었던 통사, 의미적 특징들을 먼저 살핀다. 이는 통합형 어미와 외형상으로 동일해 보이는 명사구 보문 구성이 공존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둘이 가지는 통사·의미상의 특징들을 비교, 대조하는 방법을 택한다. 이 과정 속에서 드러난 특징들을 문법화 과정에 들어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고자 하기 때문이다. 문법화 과정에 들어섰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들을 확정하고 Ⅲ장에서는 이를 현재 논의의 대상이 되는 예들에 적용하여 보았다. 그 결과 -는 법이- -기 마련이- -ㄹ 모양이- -ㄹ 것이- 그리고 -ㄹ 터이- 등이 외형상으로는 명사구 보문 구성처럼 보이지만 선, 후행요소들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통사, 의미적 특징에서 변화를 보이는 통합구조체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법화의 과정에 들어섰다고 해도 그들의 변화 양상이 모두 동일할 수는 없어서 각 통합구조체들이 지닌 통사, 의미적 특징이 어느 정도 변화를 보인 것인지를 따져 미세하기는 하나 문법화의 정도의 차를 짚어 보았다. 각 통합구조체는 문법화가 완료되지 않은 관계로 문법화 되기 이전의 의미와의 관련성을 완전히 잃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의미 또한 명사구 보문 구성에서의 보문화소, 보문명사 그리고 이- 가 가진 의미적 특징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Ⅳ장에서는 명사구 보문 구성에서의 의미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통합구조체의 의미로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는 법이- 와 -기 마련이- 는 자립명사 법 과 마련 의 의미와의 연관성을 아직 가지고 있는 통합구조체였으며 -ㄹ 모양이- 는 모양 의 의미적 특징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관련성을 상실하여 자체적으로 체계를 만들어 나가고 있는 통합구조체였음을 알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ㄹ 것이- 와 -ㄹ 터이- 는 화자의 추측뿐만 아니라 화자 자신의 의지를 나타내는 의미로도 쓰여 자립 명사 것 과 터 의 의미와는 연관성을 많이 상실한 통합구조체임을 알 수 있었다. 의미상 각 통합구조체는 서로 공통된 부분을 가지고 있지만 또 서로 대별되는 의미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각 통합구조체들이 문법화를 겪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각 통합구조체가 지닌 의미를 살펴 보았는데, 우선 이를 위해서 양태의 하위 개념들을 설정하여 보았다. 이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이나 사태도 이의 실현가능성을 생각하는 화자의 의식세계에서는 존재하는 것이 되므로 X 然(하다) 라는 어휘들을 중심으로 적절한 개념들을 세워 보았다. 그 결과 기존에 사전에 등록된 어휘들 중에서 가능, 개연, 당연, 확연 네 개념을 양태를 나타내는 하위개념으로 설정하였는데, 먼저 어떤 사건이 [당연]하게 실현될 것이라고 보는 화자의 태도는 -는 법이- 와 -기 마련이- 에 의해 드러내고 있었다. 특히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얻게 되는 보편적 진리 중에 규범으로서의 실천적 원리는 -는 법이- 가, 단지 존재하는 것들의 사실적 원리만을 드러낼 때는 -기 마련이- 가 쓰여 이들 두 통합구조체가 자신만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현 가능성이 있는 사건이나 사태를 추측하는 화자의 태도는 통합구조체 -ㄹ 모양이- 와 -ㄹ 것이- 그리고 -ㄹ 터이- 에 의해 표현되었다. 화자의 [당연]하다는 태도를 드러내는 통합구조체들이 그러했듯이 이들 역시 다른 통합구조체들과 구별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우선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에 관심을 표하는 통합구조체들 중 이론적 가능성 을 의미특징으로 지닌 -ㄹ 것이- 를 들 수 있다. 이론적 가능성 이란 인간의 앎은 직접 듣고 보고 느껴서 알게 되는 것과 머리 속에서 그 가능성 여부를 생각해 보는 것으로 크게 나뉘어 지는데, -ㄹ 것이- 가 후자만을 의미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이에 반해 -ㄹ 모양이- 는 화자가 가시적으로 드러난 사실들을 직접 보고 확인하여 이를 근거로 하고 있는 발화 상황에서 나타난다는 점이 다른 통합구조체들과 구별되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전제조건이나 결과에 대해 좀더 확실하게 자신의 태도를 표명할 수 있는, [개연]적인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ㄹ 터이- 는 어떤 사건이나 사태가 실현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 자체에 대한 의심을 품고 있는 화자의 태도를 담고 있는 통합구조체이다. 이는 나머지 통합구조체들이 가능성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그것이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는지에 관심을 표하는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것과 비교되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ㄴ 것이- 는 사실로 실현될 가능성이 가장 확실하다고 생각하는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통합구조체인데, 이는 논문과 같이 객관적인 글쓰기가 필요한 작업에서 결론을 드러낼 때 자주 사용됨에서도 알 수 있다. 결론 Ⅴ장에서는 Ⅱ장과 Ⅲ장 그리고 Ⅳ장에서 통합구조체들의 통사, 의미적 특징이 문법화 과정에 들어선 것임을 보여준다 라는 전제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현상들을 종합하여 정리해 보았다. 결국 외형상으로는 명사구 보문을 가진 복합문처럼 보이는 일부 명사구 보문 구성이 복합문에서의 통사 구조나 의미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밝히고, 이를 공시적으로 문법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예로 설명하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궁극적으로 통사적 구성에서 문법화가 진행되어 가는 과정 전반에 대해 전망해 볼 수 있는 토대가 되어 주리라 기대한다. ; This is the study o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from Korean free noun to Tonghapgujoche . This is aims to describe the change of lexical and grammatical character of words which have been grammaticalized, such as free noun>bound noun>Tonghapgujoche , and then to compare their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and investigate those change of meanings. Grammaticalization means that some noun or verb loses its own lexical meaning and gets grammatical meaning which is functional. This definition, however, has its limit by excluding the words that are in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us,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grammaticalizatin includes not only products that independent lexical item to be grammatical items that have grammatical function but also the process of chnage that lexical item to be more grammatical than it had been. This study consists of 5 chapters. Chapter 1 shows the goal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other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grammaticalization. The object and expecting direction of this study will be mentioned. Chapter 2 declares what the grammaticalization is.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which are taken through this process are mentioned. These characteristics are regard as the standards which can distinguish whether some structure steps into grammatical process or not. Chapter 3 applies these standards to examples. As a result, we will be able to find that -nun peopi- , -ki maryoni- , -ul moyangi- , -ul keosi and -ul teoi- look like complex sentense, but as a matter of fact, they are Tonghapgujoche whose constituents link so closely that they function like one language unit. The different degrees of grammticalization of each structure are be studied, too.- that is -nun peopi- , -ki maryoni- < -ul moyangi- < -ul keosi- and -ul teoi- Chapter 4 discusses the meaning of Tonghapgujoche. For this, the sub-conceptions of Modality are established. Modality is the semantic categoty which expresses the speaker s mental attitude toward affairs. And modality have several sub-conception, -[possible], [probable], [natural], [clear]. -nun peop-i- , -ki maryon-i- are natural. The obligatory rule in life relates to -nun peop-i- , while practical rule to -ki maryon-i- . -ul keos-i- relates to the theoretical possibility. Knowing can be achieved through two ways, which are through what he experiences directly and through what he learns. Theoretical possibility means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ul moyang-i- is used when the speaker sees and checks what is seen. -ul teo-i- expresses speaker s doubt whether some events come true or not in an actual world. -un keos-i- expresses the strong possibility which can happen. That s why this is used when theoretical writings like thesis conclude. Each constituent in a structure keeps its own lexical meaning when grammticalization is not finished. Therefore chapter 4 deals with how the lexical meanings change to the present grammatical meanings in examples. We will find that -nun peop-i- , -ki maryon-i- has relationship with lexical word peop maryon and -ul moyang-i- with moyang in meaning, while keos teo of -ul keosi-i- -ul teoi-i- doesn t. Chapter 5 checked the premise which is that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some structure shows they step into grammaticalization. Through this study, I have attempted to describe the syntax and the semantics of -nun peop-i- -nun maryon-i- -ul moyang-i- -ul teo-i- and -ul keos-i- as a kind of construction o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After all, it is predictable that Tonghapgujoche will be verbal ending or finish berval ending after it will be more grammatical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