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숙희-
dc.creator김숙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8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7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1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73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연극과 그 그림자」Le Theatre et son Double라는 연극서를 발표함으로써 20세기 연극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안토냉·아르토 Antonin Artaud의 극 작품에서 잔혹성을 탐색하고 또한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극이론가보다는 극작가로서의 아르토에 초점을 맞추고 잇다. 서론에 해당하는 Ⅰ장 A절에서는 아르토의 극 작품을 잔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게 도니 배경과 그 의의를 살피고, 그 과정에서 야기되는 의문점들을 제시하였다. Ⅰ장 B절에서는 A절에서 제시된 의문점들이 해결되기 위해 참고가 될 만한 아르토에 관한 기존 연구서들을 잔혹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그 중에서 잔혹성에 대한 철학적 사고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글쓰기와 차이」L’ecriture et la defference에서 피력된 잔혹연극에 대한 데리다Derrida의 견해를 일부 옮겨 보았다. 이는 Ⅱ장에서 다루고 있는 아르토의 극 작품들과 연계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Ⅱ장〈작품을 통해 본 잔혹성의 변형〉은 아르토의 극 작품을 연대 순으로 하여 크게 두 부분, 즉〈잔혹 연극의 도정〉과〈잔혹 연극의 극점〉으로 나뉘어 있다. A절의〈잔혹 연극의 도정〉은 1932년에 발표된 아르토의 ‘잔혹 연극 제1선언’ 이전에 쓰여진 극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잔혹성의 태동을 찾고자 하는 작업이 해당된다. 1항의「사무라이」Samourai에서는 아르토가 극작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극작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그의 의도가 잔혹성과 무슨 연관 관계를 이루고 있는지 작품의 주제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2항의「내뿜는 피」에서는 초현실주의라는 시대적 문학 운동의 와중에서 이 작품이 지니고 있는 그 고유의 가치가 잔혹성에 얼마만큼 접근하고 있는지 연극적 평가와 더불어 검토해 보았다. 3항의「화금석」에서는 아르토가 극구 강조하던 신체언어가 앞서의 작품들과 동일한 주제를 어떻게 무대화 시키고 있고, 그로부터 생겨나는 심미적 행위는 어떻게 詩的 행위와 결부됨으로써 잔혹성의 미학에 근접하고 있는지를 밝혀보았다. B절의〈잔혹성의 극점〉은 아르토 스스로 ‘잔혹 연극의 준비 단계’에 해당하는 작품이라고 말했던 그의 5막 비극인「첸치 家」를 본 연구에서는 잔혹 연극의 실험으로 간주함으로써, 앞서의 작품들 속에 잠재해 있던 잔혹성이 극도로 표출되고 있는 것으로 조명 된다. 그러므로 이 절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르토의 극 작품 가운데서 그 중 널리 알려져 있는「첸체 家」이다. 그러나 아르토의 작품 이전에 언급되어야 하는 것이 셸리Shelley와 스탕달 Stendhal의「첸체 家」이다. 왜냐하면 이 두 작품은 우리가 대상으로 하는「첸치 家」의 오리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1장의〈셸리와 스탕달의 첸치 家〉는 아르토의 작품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수적으로 다루어지는 셈이다. 그리고 上記된 세 작가가 동일한 주제의 이야기를 어떻게 각자의 작품 속에 전개 시키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2항의〈아르토의 첸치 家〉에서는, 아르토가 셸리의 극 도식을 따라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특징을 잃지 않는 근거를 총체 연극의 범위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아르토의 잔혹성은 초기의 작품에서부터 마지막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동일한 주제로 반복되고 있음과 동시에 그 주제들은 일련의 단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아르토 극작품의 주요 주제들은 각각의 하부 구조에 의하여 그 주체적 사고가 객관적 인식을 파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과연, 이 같은 파괴가 아르토가 겨냥하는 정신 혁명과 무리 없이 연결될 수 있는지를 재고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결론에서는, 잔혹 연극의 형이상학적 의미를 천착해 보았다. 아르토의 극 작품은 보편적 범주의 연극에 속한다기 보다는 철학-연극으로서의 메타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아르토가 주창하는 잔혹성은 연극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의해 작용되는 새로운 무대 언어임과 동시에 정신 개혁을 절감하는 현시대인에게 새로운 해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Notre these a pour but de chercher la cruaute et de demontrer son sens dans les pieces de theatre d’Antonin Artaud, l’auteur de LA Theratre et son Double qui exerca une grande influence sur le theatre contemporain. Dans notre these, Artaud est considere plutot comme dramaturge que comme theoricien de theatre. Dans la chapitre A de la partieⅠ, nous avons justifie de facon breve pourquoi nous donnions la primaute et attachions de l’importance a la cruaute. Ensuite nous avons expose les points douteux qui ont surgis au cours de ce travail. Dans la chapitre B, nous avons presente quelques livres concernant Artaud pour tenter de resoudre les problemes deja presentes. Nous avons aussi traduit en partie les points de vue de Derrida, dans L’ecriture et la difference, sur le theatre de la cruaute pour mieux en comprendre l’idee philosophique ceci parce que c’est en rapport avec la partieⅡ. La partieⅡ est divisee en deux; la trajectoir du theatre de la cruaute et son point de culmination. Dans le chapitre A de la partieⅡ, nous avons essaye de chercher la cruaute initiale dans les pieces ecrites avant 1932 date a laquelle ‘Le premier manifeste de la cruaute’ fut piblie. Dans le premier section consacre au「Samourai」, nous avons examine la raison pour laquelle Artaud a choisie la redaction d’une piece grace a la quelle il a poursuit son intention thratrale. Ainsi celleci nous amene a voir le rapport avec la cruaute. Dans la deuxieme section,「Le jet de sang」, nous en avons examine sa valeur propre dans le mouvement surrealiste par l’evaluation theatrale. Aussi nous nous somme efforcees de voir par sa valeur le lien avec la cruaute. Dans la troisieme section,「La pierre philosophale」, nous avons eclairci l’esthetique de la cruaute qui se forme par le langage physique sur laquelle Artaud avait tant insiste. Dans la chapitre B, Le comble du theatre de la cruaute, nous avons considere des Cenci comme auvre experimentale pour le theatre de la cruaute. Nous avons aussi justifie comment la cruaute etait expremee d’une maniere extreme dans cette piece. Mais avant cela, il fallait traiter des Cence de Shelly et de Stendhal puisqu’ils sont a origines de l’auvre d’Artaud. Donc, la premiere section de la chapitre B, Les Cenci de Shelley et de Stendhal, est une etude secondaire pour l’auvre d’Artaud. C’est pourquoi nous y avons discute la distance qui existe entre eux ces trois auvres. Dans la deuxieme section, Les Cenci d’Artaud, nous avons essaye de nomtrer le schema proprement artaudien quoiqu’il suive celui de Shelley. En consequence, le theme de la cruaute d’Aetaud se repete toujours et se construit en une serie detapes. C’est a dire que l’idee des sujets des pieces de theatre d’Artaud detruit la connaissance objective par son infra-structure. Malgre cela, nous ne pouvons pas avoir reflechi a ce que cette destruction puisse etre liee reellement a la revolution spirituelle a laquelle Artaud vise. Cette raison nous a amene a faire la conclusion des recherches approfondies sur le sens metaphysique du theatre de la cruaute. Nous pouvons avancer que les pieces de theatre d’Artaud accument plutot un role de meta-theatre plutot que de theatre general. C’est dans la conclusion que nous avons reflechi sur ce que la cruaute d’Artaud est devenue un nouveau langage theatral par sa nouvelle connaissance et qu’elle puisse donner lien a une nouvelle interpretation a une epoque ou nous sentons vivement le besoin d’une revolution spirituel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방향 ------------------------------------------------ 1 B. 기존 연구의 검토와 문제 제기 -------------------------------------- 9 Ⅱ. 작품을 통해 본 잔혹성의 변형 A. 잔혹 연극의 도정 -------------------------------------------------- 21 1.「사무라이」SAMOURAI : 무의식의 단계 ------------------------------ 21 2.「내뿜는 피」LE JET DE SANG : 담화의 단계 ------------------------- 56 3.「화금석」LA PIERRE PHILOSOPHALE : 신체 언어의 단계 --------------- 86 B. 잔혹 연극의 실험:「첸치 家」LES CENCI -----------------------------110 1. 셸리와 스탕달의「첸치 家」----------------------------------------115 2. 아르토의「첸치 家」: 잔혹성의 極點 -------------------------------134 Ⅲ. 결론 : 잔혹 연극의 형이상학적 의미 --------------------------------179 참고문헌 --------------------------------------------------------------193 불문요약 --------------------------------------------------------------2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387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르토의 극작품에 나타난 잔혹성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