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고소설에 나타난 부의 구현양상과 그 의미

Title
고소설에 나타난 부의 구현양상과 그 의미
Authors
신선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富와 敍事文學이 갖는 관련성을 토대로 富와 그에 대한 관심이 문학작품에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고소설을 주자료로 하여 규명하고 그 문학적 의의를 밝히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富는 서사문학의 중요한 題材이며 서사세계를 이끄는 주요 동력의 하나이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그 중요성이 부각되지 않았다. Ⅱ장에서는 富와 서사문학과의 관계, 즉 敍事性과 富의 관련성을 주로 검토하였다. 富의 제재적 특성과 고소설을 산출했던 유교문화의 성격을 고려하여 富에 대한 욕망표현이 이면에 가리워지고 윤리적 포장이 필요했던 이유를 살폈다. 이어서 고소설 발생의 배경이 되었거나 고소설과 인접관계에 있는 서사문한 전반에 걸쳐 富의 수용양상을 살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자연적 욕망에서 안 시대의 보편적 가치체계에 이르기까지 富와 관련된 제 문제를 조망해 보고, 고소설에 나타난 富의 구현양상과 의미규명에 맹아적 근거를 마련해 보았다. 여기에서는 유형담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여 고소설을 포함한 서사쟝르 전반의 공통된 존재양상 추출의 가능성이 타진되었다. 또한 富의 得失과 興亡의 對立構造에 함축된 善惡과 貧富의 결합양상은 서사문학 전반에 공통된 도식으로서 그 논의의 단초적 근거가 되었다. Ⅲ장에서는 고소설에 나타난 富의 구현양상을 보편적 주제와 소재영역에 부합되는 運命, 愛情, 規範과의 결합양상에 따라 검토하였다 .대개의 작품에서 두 요소 이상이 함께 결합하고 있었고 세 유형은 배타적 관계에 놓이지 않고 상보적이었다. 運命과 결부된 富의 양상에서는 운명은 주인공에게 주어진 지상의 도덕적 사명이고 윤리의 수행은 운명의 이행이라는 등식이 성립하였다. 운명과 윤리의 기반이 對人志向的 善에 있다는 사실은 富와 재화 등의 본능적 욕구와 현실적 문제가 축소화 되고 이면화 된 근거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한편 운명, 윤리와 결부된 富는 종속적 대상으로서 작품의 표면적 갈등 요인이 되지 못했으나 애정과 결부된 경우에는 富가 애정성취의 필요조건 또는 방해요소 등 직접, 간접으로 갈등에 관여하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개별적으로 분석해온 작품들을 재화의 有無 상태에 따라 순차단락을 분절하여 4가지 유형을 추출하고 각 단락의 의미를 찾아 보았다. 富의 有無, 得失에 따른 유형간의 대립과 대칭은 主役群과 敵對者群의 갈등과 대결을 선명히 드러내주었고 궁극적으로는 작품의 총체적 구조와도 연결되었다. 이어서, 서사구조의 대칭성을 형성하는 富와 관련된 11개의 기능적 항목을 각각의 작품의 계열축에서 적출하여 함축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Ⅴ장에서는 논의의 결과를 토대로 富를 제재로 한 작품의 소설적 의의를 지속과, 변모 양 차원에서 밝혔다. 지속의 차원에서 다루어진 논의점은 윤리적, 운명적 재화관을 형성한 문학적 원동력의 실체규명으로 삶과 인간에 대한 인식체계, 존재론 그리고 세계관과 연결된 것이었다. 그리고 文學內의 現實에서 작용되는 인과율은 德과 善이 지니는 실리성을 바탕으로 한 인과율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유교의 天命思想과 시적 정의의 실현이라는 문학관습을 통해 해명해 보았다. 한편 변모의 차원에서 다루어진 논의점은 새롭게 제시되는 인간상과 갈등대상과 갈등양상의 변모를 문제 삼아 그 의미를 사회문화 변동의 반영적 측면과 富의 서사적 기능 확대의 양 측면에서 찾았다. 경험적 세계와 일상적 삶의 양상구현 폭이 확대되고 획일적 선악개념으로 이분화되지 않는 서사세계의 대두는 시대의 변모에 따라서 富가 지니는 의미가 변모했음을 뜻했다. 결국 富를 통해 문학작품을 조망하는 작업은 삶과 문학의 관계를 밝히고 그 의미를 찾는 일일 뿐만 아니라 富와 관련된 문제는 後代의 문학에 이르기까지 서사문학 전반에 걸친 중요한 제재이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영역이라 하겠다. ; On the basis of the inevitable relationships between wealth and narrative literatures, using Kososul(Classic Fictions) as major materials, this thesis is aimed at searching and finding out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how wealth and interests on wealth are reflected on the literatures, the importance of it didn’t get much attention in the existing studies. ChapterⅡ reviews the inevitable relationships between wealth and narrativeness. With the consideration of material characteristics of wealth and Confucian cultures that produced Kososul, the chapter examines why the expressions of desires for wealth should be hidden in the background and wrapped with moral principles. Through the accommodation of wealth over the whole narrative literatures except Kososul, the chapter also overviews on the problems related to wealth from instinctive desires of a human being to the universal value systems of a certain period. And the chapter tries to provide a budding basis on the embodying modalities of wealth appeared in the Kososul and explanations of their significance. With discussions on patterned stories, the possibilities of extracting common embodying modalities in the whole narratives, including Kososul, are examined. Pairings of good and bad and rich and poor, implied in the antagonistic structures of gain and loss of wealth and ups and downs, have become the basis of discussions as common figures of whole narrative literatures. ChapterⅢ reviews the embodying modalities of wealth in the Kososul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ed patterns with fate, love and norm that conform with the universal themes and material fields. In most works, more than two factors were combined and the three factors were more in complementary, not in exclusive relations. In the modality of wealth combined with fate, fate was a mortal mission. And the fulfillment of a mission was conceived as the fulfillment of a fate. The fact that fate and morality were based on the virtues directed to human beings made it clears why instinctive desires for wealth and properties were scaled down and hidden in the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the wealth combined with love and norm were subordinates and couldn’t cause any outward discords. The wealth combined with love, however, participated in the discords. The wealth combined with love, however, participated in the discords as necessary conditions or obstructive factors in the achievement of love. While ChapterⅢ analyzes the works individually, ChapterⅣ divides the sequential parts of the novels on the basis of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wealth, extracts four patterns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parts. The confrontation and symmetry of having and not having wealth, gain and loss of wealth showed the conflicts and discords of the protagonists and antagonists clearly and were related to the overall structures of the works in the end. The chapter, then, extracts eleven functional factors related to wealth that form the symmetries of narrative structures in the systematic group of the individual works and examines the implied significance of them. With the preceding discussions, ChapterⅤ examines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 works in which wealth was used as materials, from continued and transfigurative perspectives. The problems from the continued perspective were close examinations of the true nature of literary motive power that formed moral and fateful views of wealth and were related with the cognitive structures of lives of human beings, human being itself, existentialism and the view of the world. The laws of cause and effect applied in the literary facts were practical and utilitarian laws based on virtues and goodness. And the basis is explored from the two perspectives of literary traditions, that is, the Confucian thoughts of Heaven’s decree and the realization of the poetic justice. The problems from the transfigurative perspective, with newly presented image of a human being, objects of conflicts and transfiguration of modalities, were examined from two aspects-an aspect of reflecting the social culture changes and an aspect of enlarging the narrative functions. As the realization of the world of experience and ordinary lives is enlarged, the appearance of literary facts that cannot be dichotomized by the standardized concept of good and bad meant the changing meanings of wealth with the changing time. In conclusion, overviewing the literature through wealth is bring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literature and finding out the meaning of it. Since the subject of wealth is an important material in the overall narrative literatures, even to the later literatures, it is a field that needs continued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