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현수-
dc.creator홍현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0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2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전통 성악곡인 현행 12가사(歌詞) 중 어부사(漁父詞)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우선 어부사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樂章歌詞』에 있는어부가(漁父歌) 12장의 사설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것을 9장으로 개작한『聾巖集』에 있는 어부가의 역사적 배경과 사설의 개작동기와 과정, 그리고 현행 어부사의 창법, 즉 요성법과 퇴성법·전성법·종지법에 대해 알아보고, 장단 및 음계와 선율구조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현행 어부사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樂章歌詞』의 어부가는 전부 12장으로 되어있으며 작자와 연대가 모두 미상이다.『樂章歌詞』도 연대와 작자가 모두 미상으로 조선 중종·명종 때의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둘 째, 이러한 어부가를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가 명종 3년에 9장으로 개작하였는데 이러한 어부가는 이현보의『聾巖集』에 실려있다. 세 째, 그렇게 개작된 어부가9장 중에 5장과 6장이 혼합되어 현행 어부사 8장으로 변형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 어부사의 악보는 현재 하규일 전창의 가사로 이주환의『歌詞譜』등 여러 악보에 전한다. 네 째, 현행 어부사 창법에서의 요성법은 주로 중심음인 黃鍾(e♭)에서 5도 위의 林鍾(b♭)과 仲呂(a♭)사이를 謠하는 민요적인 성격과 黃鍾(e♭)을 깊게 謠하는 가곡풍의 성격을 함께 갖고 있다. 퇴성법은 정악곡의 퇴성처럼 林鍾(b♭)에서 仲呂(a♭)로 하행 할 때 林鍾(b♭)의 음을 정확히 낸 다음에 仲呂(a♭)로 퇴성하고 있다. 전성법은 黃鍾(e♭)을 요성하기 전에 한번 깊게 쿡 치는 방법으로 한다. 종지법은 중심음인 黃鍾(e♭)에서 5도 위 음인 林鍾(b♭)으로 상행하여 동음으로 종지하며, 각 선율형의 종지음은 黃鍾(e♭)과 仲呂(a♭)가 번갈아 가면서 종지한다. 다섯 째, 장단은 6박 1장단으로 되어있으며, 1·3·5·7절은 16장단(×4=64장단)이고 2·4·6·8절은 17장단(×4=68장단)으로 총 132장단으로 되어있다. 여섯 째, 음계는 黃·太·仲·林·無로 구성되어있다. 일곱 째, 선율형식은 1절이 a·b → c·b → d·b로 A→B→C의 3부분 형식이고, 2절이 e·b → c·b → d·b 로 A ′→ B→C의 3부분 형식이다. 1·2절을 한 짝으로 보았을 때, a선율형이 1번, b선율형이 6번, c와 d선율형이 2번, e선율형은 1번씩 출현한다. 이러한 선율형태는 3·4절, 5·6절, 7·8절도 짝을 지어 각각 반복되어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현행 어부사가 불리어 지기까지의 과정과 음악적인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 This study investigated “OBUSA", one of the existing 12 Korean traditional pieces of vocal music (Kasa). The investigation was done in this order on such matters as follows; first, the original obuga with twelve chapters contained in "Akjangkasa", seco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obuga adapted into nine chapters, motive and process of adaptation, and vocalization of present obusa, i.e., yosung(vibrating), toisung(lowering down), Junsung(another type of vibrating) and jongji (making end), and finally the time, scale and melodical structure.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riginal obuga contained in "Akangkasa" consists of 12 chapters and its creator and date are unknown. The same is "Akjangkasa", maybe it was crated in king Jungjong or Myongjong time of Chosun dynasty, but it is uncertain. Second, the original was adapted in the third year of Myongjong reign by Nongam Lee Hyon-bo into nine chapters and the adaptation is contained in "Nongam-jip" Third, among the adapted nine chapters, the 5th and 6th were mixed in use to be transmitted into the present 8th chapter. The score of adapted obusa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various music books and is contained also in "Kasabo (music book)" by Lee Joo-whan through perfect transmission of text by singer Haa Kyu-il. Fourth, present vocalization of obusa has both folk song character demanding vibration from Im(bb) to Jung(ab) above Hwang(eb) in 5th degree and aria character demanding deep vibration of Hwang(eb). In lowering down the voice, as in standard music, singers should make exact Im(bb) sound when Im(bb) is going down to Jung(ab). Before vibrating the central sound Hwang(eb), another vibration is made in deep instant beat. Ending is made in going up from Hwang(eb) to Im(bb) and down again to Hwang(eb), and in each melodical figure Hwang(eb) and Jung(ab) make end in turn. Fifth, the time consists mainly of 6 beats 1 rhythm and there are total 132 rhythms since the 1st, 3rd, 5th, 7th passages have all 16 rhythms and the 2nd, 4th, 6th, 8th passages have all 17 rhythms. Sixth the scale is consisted of Whang, Tae, Jung, Im, and Mu. Seventh, as for melodical form, the 1st passage has the three part form of A→B→C (a·b → c·b → d·b) and the 2nd passage is made of e·b → c·b → d·b, thus having the three-part form of A →B→C. In a set of the 1st and 2nd passages, a-melodical figure appears once, b figure six times, c and d figures twice, and e-figure once. This melodical form appears repeatedly in a set of the 3rd and the 4th, 5th and 6th, and 7th and 8th passages. As seen abo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obusa and its musical characteristic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序 論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Ⅱ. 本 論 = 5 A. 어부가(漁父歌)의 사설(辭說)에 대한 특징 = 5 1. 전승된 어부가와 그 유래 = 5 2. 농암(聾岩) 이현보(李賢輔) = 6 3. 어부가의 성격 = 6 4. 개작동기(改作動機)와 그 의도(意圖) = 8 5. 개작된 어부가 = 9 가. 삭제된 부분 = 14 나. 첨가된 부분 = 15 다. 혼합된 부분 = 16 라. 어부가9장과 어부사8장의 비교 = 17 B. 어부사(漁父詞)의 음악적 특징 = 20 1. 장단(長短) = 21 2. 절(節)과 장단(長短)의 관계 = 22 3. 어부사의 선율과 음계 = 23 4. 요성법(搖聲法)·퇴성법(退聲法)·전성법(轉聲法) = 27 가. 요성법 = 27 나. 퇴성법 = 29 다. 전성법 = 30 5. 종지법(終止法) = 31 Ⅲ. 結 論 = 33 참고문헌 = 35 Abstract = 36 <부록-1> 『樂章歌詞』의 漁父歌 = 38 <부록-2> 『聾巖集』의 漁父歌 = 43 <부록-3> 『聾巖集』의 漁父歌序 = 45 <부록-4> 현행 어부사의 사설 = 46 <부록-5> 현행 어부사 사설의 해석 = 49 <부록-6> 어부사의 정간보 = 52 <부록-7> 어부사의 오선보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448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漁父詞에 대한 연구 : 辭說 및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