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경희-
dc.creator윤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6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0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4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체육의 개념과 체육학의 학문적 구조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의 성격상 포함될 수 밖에 없는 구성 요소들을 인정하고 그들을 포괄할 수 있는 구조체계를 세워보려 한다. 우선적 과제는 한국적 상황에서「체육」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이다. 따라서「체육」을 사전에서는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의미의 확장이란 측면에서 현재의「체육」개념을 살펴본 뒤 학문적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신체훈련, 신체활동, 스포츠 등의 의미로 인식되던 체육은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 개념이 구체화되어 정리되기 시작하여,「체육」(Physical Education)이란 용어가 등장하고, 체육을「신체의 교육」또는「신체를 통한 교육」으로 정의함으로써 체육이 교육의 한 분야로서 굳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교육적 의미를 지닌 체육개념이 형성되면서부터 그에 따른 체육의 학문적 지식체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체육이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나 체육의 핵심은「신체활동」즉「인간의 움직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인간의 움직임」에 대한 관심은 1950년대에 새로운 체육개념의 장을 열었다. 체육을「인감움직임」(Human Movement)의 관점에서 조명하기 시작한 것이다. 「움직임」의 개념은 1937년 Rudolf Laban의「움직임 교육」(Movement Education)에서 비롯한다. 「움직임」의 교육적 측면을 강조하여「인간의 움직임」에 관한 교육을 체육이라 보았던 것이다. 그후 교육적 의미보다는 움직임 그 자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체육을「인간움직임의 예술과 과학」(The Art & Science Of Human Movement)이라고 보는「인간움직임」의 개념에 의하여, 체육은 교육의 종속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학문성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인간움직임」의 도입으로 스포츠를 포함한 인간의 신체활동이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체육의 학문적 성격과 각 분야의 과학적 이론체계도 또한 명확히 성립되었다. 체육개념이 교육의 단계에 있을 때는 신체운동의 효과를 대상으로 한 체육교육이 발전했으며, 체육개념이「인간움직임」을 핵심으로 하는 과학의 단계에 있을 때는 신체운동 그 자체를 대상으로 체육과학의 여러 지식체계가 형성되고 발전되었다. 이렇게 단편적인 지식체계가 이루어지면서 Franklin Henly를 비롯한 일련의 학자들은 체육학의 학문성을 추구하였으며, 「인간움직임」의 개념을 체육학의 핵심개념으로 삼았다. 체육이 독립된 학문으로서 자리를 굳히기 위해서는 체육학만의 독자적인 연구영역과 확실한 연구대상이 있어야만 한다는 견해는 같으나「인간움직임」의 개념도 체육학의 핵심개념으로 삼기에 너무 포괄적이라고 보는 Harold VanderZwaag, John Loy, Earle Zeigler 등은「인간움직임」의 범위를 주로 스포츠 활동에 두고 체육을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예술과 과학으로 한정해서 생각하였다. 이들의 입장은 어느 학문과도 중복되지 않는 독자적인 학문영역의 대상은 스포츠라 보고 체육학을「스포츠과학」(Sport Science)으로 생각하였다. 지금까지의 체육학이 지니는 많은 문제점들은 데카르트적 심신이 원론과 그에 기초한 주지주의의 영향, 그리고 전통적인 과학주의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체육학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새로이 제기된 개념이 soma를 중심으로 하는 Somatics의 이론이다. 그러나 Somatics는 체육학의 하나의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수는 있지만, 역시 체육학을 대표하는 학문적 모델이 되기에는 역부족이다. Somatics의 이론을 체육학 그 자체로 대신하기에는 학문의 개념과 범주에 있어서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체육학의 학문적 연구의 초점은「인간움직임」에 그대로 두고 전체 체육학 내에서「인간움직임」의 연구영역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체육학의 학문적 범주를 구성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즉「인간움직임」그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분야는「체육과학」, 「인간움직임」의 효과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분야는「체육교육」, 「인간움직임」의 주체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분야는「Somatics」으로 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학문은 개념에 따라 그 범주를 달리하게 마련이다. 체육은 개념의 변화에 따라 그 연구영역을 달리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1960년대 이후 체육의 학문성에 관한 논의가 여러 면에서 제기되었다. 현 시점에서 서양의 인간관에 기초한 체육학의 학문성에는 ①체육학의 학문적 구조의 허술함과 정체성의 결여, ②인간의 움직임 즉 신체를 보는 시각을 과학적 측면에만 국한시키려는 편협성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스포츠, 체육교육, 체육과학 등 그 어느 것도 체육현상에서 제외할 수 없는 것이다. 지금까지 형성된 체육의 지식들은 모두 체육학의 구성 요소로서 필요한 분야인 것이다. 문제는 어느 하나를 대표로 했을 때 나머지는 제외된다는 점이다. 이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체육의 개념의 제현상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체육」(Physical Education)이라는 용어 자체가 어의상의 의미를 떠나 체육의 제현상을 포괄하는 상징적 의미로 새롭게 인식되던가, 아니면 이런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혀 새로운 용어가 등장해야만 한다. 2) 체육학의 학문적인 성격은 어느 한 가지로 규정할 수 없는 종합적인 성격의 것이므로, 인문, 사회, 자연과학의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종합과학의 의미로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먼저 올바른 체육개념을 정립하고 그 개념의 내포와 외연에 따라 체육학의 학문적 구조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 이어, ①체육학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분야의 개념 정립과, ②연구 영역의 범주를 확실히 제시함으로써 체육학이 지향해야 할 학문적 방향을 밝히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both the concept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the academic structure of the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will recognize the components implicated in the frames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establish the structures appropriate for its academic studies. The first question is what the physical education means in the situations of Korea. To answer this question, the defini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in some dictionaries will be shown, and in the sense of semantic broadening its concept as well as its academic structure will be studied. The physical education which had been considered physical training, physical activity, or sports began to concrete its concept in the nineties. The terms of the physical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was defined as ‘education of the physical’ or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which firmly made the physical education subordinate to education. After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strongly showing a meaning of education was made, its body of knowledge also was formed. The focus of the physical education was, in spite of its relation to education, physical activity namely, human movement. The interests in this human movement helped to open a new chapter in its concept in 1950, which started to make the physical education develop itself from the viewpoint of human movement. The concept of movement started from movement education put forward by Rudolf Leban in 1937. He regarded as physical education the education of human movement, emphasizing educational field. Later on, more active studies on movement itself had been made than those on educational meanings. The physical education strived to find its independent way in the academic disciplines, getting out of the subordinate field of educ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human movement, all the physical activities of man, including sports became the subjects of its academic studies. Accordingly, its academic disciplines and scientific system of theory on each field related were clearly mad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on the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ies was developed, and in the field of science, the body of knowledge about the science of the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physical activities itself was formed and delveloped. As the body of knowledge was made. Franklin Henly and some other scholars pursued the academic disciplines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looked on the concept of human movement as the focus of the physical education. Harold VanderZwaag, John Loy, and Earle F. Zeigler suggested the scope of human movement should be limited to sport activities and the physical education to the art and science required for sport activities, although they agree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have its own field of study and the clear subject of study. They stressed sports for the academic discipline on its own, and were of the opinion that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sport science. Cartesian dualism, intellectualism based on it and traditional scientism have shown many problems and questions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On the contrary, somatics based on the concept of soma is being applied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and questions mentioned above. Somatics approaches them in a new way, which does not mean that it can cover the whole paradigrams of the physical education. Somatics can be part of the physical education, but it cannot take place of the physical education on account of its weakness in the concept and categories of knowledge. The focus of the study of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put on human movement itself, and the academic scope of human movement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eld of its study in the boundaries of the physical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sport science cover the study on human movement, physical education cover the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movement, and somatics cover the study on all the phenomena in the subject of human beings. Science varies in its category according to the concept. The concept of the physical education has bee developed in its field of study with the change of its concept. Since 1960 discussions on the academic discipline of the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made. However, its academic discipline from the western point of view at the moment has two weakness. One is that is has not only the poor structure of the physical education but unstable identity. The other is that it trends to limit its physical viewpoint to the scientific features only. The physical education means physical education. Neverthless, it certainly contains sport and sport science as well. None of these is separate and independent. They are interrelated all in one. All of the knowledge of the physical education which has already been formed is indispensable for the components of the physical education because the others will be excluded, if one concept is preferr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below. 1) The concept of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accepted as the concept which can cover all the physical phenomena. The original meaning of this terms should be disregarded and recognized as an emblematic concept which can represent all the physical phenomena, or a new word should be introduced to meet all of the requirements. 2) As long as the academic character of the physical education is synthetic, i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synthetic science including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Therefore, the concept of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and then the academic system of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formed according to its intension and exten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제1장. 서론 ---------------------------------------------------------- 1 제2장. 체육개념의 검토 ----------------------------------------------- 5 제1절. 체육개념의 논리적 근거 1) 개념의 논리적 정의 -------------------------------------------- 6 2) 체육개념의 사전적 정의 ---------------------------------------- 9 3) 체육개념의 의미확장 ------------------------------------------- 12 제2절. 교육적 근거 ------------------------------------------------- 15 제3절. 과학적 근거 ------------------------------------------------- 24 1) 움직임 교육 --------------------------------------------------- 25 2) 인간 움직임 --------------------------------------------------- 28 제3장. 체육학의 학문적 구조 ------------------------------------------ 32 제1절. 학문의 요건 ------------------------------------------------- 38 제2절. 체육학의 학문적 구조에 대한 모형 1) Human Movement를 중심으로 한 구조 ----------------------------- 44 2) Sport 과학 ---------------------------------------------------- 50 3) 기타 ---------------------------------------------------------- 56 제4장. 체육학의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Somatics 제1절. Somatics의 배경 --------------------------------------------- 61 제2절. Somatics와 Soma --------------------------------------------- 63 제3절. 체육과의 관계 ----------------------------------------------- 66 제4절. Somatics의 문제점 ------------------------------------------- 70 제5장. 결론 ---------------------------------------------------------- 72 참고문헌 ------------------------------------------------------------- 79 영문초록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669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체육학의 학문적 구조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