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현섭-
dc.creator윤현섭-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5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7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0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7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지능의 사회적 개념 요인을 분석함과 동시에 이차적으로 각 지능의 개념적 요인에 전공, 성별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고 있다. 지능의 사회적 개념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세 가지의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는데 그 도구들은 지능의 본질적 특성을 측정하는 질문지와 지능의 발달 개념을 측정하는 질문지와 지적인 학생의 상을 측정하는 질문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전공은 사회과학 전공, 인문과학 전공, 그리고 자연과학 전공이었으며 성별 역시 主독립변인으로 선택되었다. 지능의 사회적 개념의 일차적 분석인 “지능의 본질”의 범주에서는 10개의 요인이 의미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그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사회성, 개성적 특성, 사회적 자조성, 성격, 사회-과학적 사고, 합리적 추상성, 사회계층간의 차이, 기득권자의 특성, 개인차, 사회적 논리-수학적 특성, 이 10개의 요인들은 고전적, 현대적 지능이론가들이 경험적 방법으로 일부분을 지적한 바 있다. 이 결과는 지능의 사회계층 특히 중상층 이상의 계층의 특성임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할 수가 있다. 물론 서구에서도 지능수준에 사회계층간 차이가 증명되었고 지능은 중산층의 가치를 나타낸다는 주장이 있으나, 지능의 개념의 한 차원으로써 특히 한국사회에서 나타난 것은 본 연구의 결과라고 할 수가 있다. “지능의 발달”에 대한 요인분석에서도 10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그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언어사회적 요인, 선천성, 사회화 요인, 학교 학습요인, 타인과의 상호작용, 가족, 교육적 지도, 사회적 논리성에 대한 이해, 인간성의 교육, 자율적 단계적 발달. 이 10개의 요인들은 Piaget-Inhelder을 중심으로 한 많은 발달 심리학자들이 부분적으로 지적한 바 있으나 모든 요인을 총 집합해서 포괄적으로 나타난 것이 본 연구의 결과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의 인간관계 그리고 인간성의 교육이, 즉 인간변인이 지능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추출되었다. “지적인 학생의 상”의 요인분석 결과 9개의 의미있는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그들은 다음과 같다: 지적 감수성, 정서적 안전성-진중성, 인지적 특성, 사회적 적응성, 능동적 돛기, 사회적 안정성, 사회성, 사회적 순응성, 사회적 수혜 아동. 역시 많은 발달 심리학자들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지적된 사실이나 본 연구는 포괄적으로 결과를 추출했으며, 특히 “능동적 동기” “사회적 안정성” “사회적 수혜 아동” 등의 요인은 독특한 연구결과라고 할 수가 있겠다. 동기와 정서는 연구가 되고 있으나 동기와 지능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있지만 아직 미약한 상태이며, 사회성과 함께 “안정성”에 대한 특성은 지적인 특성으로 본 연구에서 간주되었다. 또한 지능의 본질에서처럼 중산층 이상의 아동이 지적인 아동의 상으로 추출되고 있다. 지능의 사회적 개념의 요인분석에 이어 전공별, 성별, 전공X성별 효과에 대해서 GLM 통계 검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요인에서 전공, 성별 主효과와 전공X성별 상호작용 효과가 증명되었다. “지능의 본질”의 차원에서는 “사회성”, “기득권자의 특성”, “사회적 논리-수학적 특성”의 요인에서 자연과학 집단이 인문, 사회과학 집단보다 강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자연과학 집단이 사회/인문과학 집단보다 보다 보수적 경향을 나타내며, 사회성과 중산층 이상의 특성을 지지하는 태도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할 수가 있다. “지능의 발달”의 차원에서는 전공, 성별, 전공X성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지능발달에 관한한 이는 과학적 사실이므로 개념에 대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는다는 사실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지적인 학생의 상”의 차원에서는 “지적 감수성” “정서적 안정성” “인지적 특성” “능동적 동기” “사회적 수혜 아동”의 요인들에서 사회과학 집단이 인문과학 집단보다 보다 강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었다. 자연과학 집단은 인문/사회과학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위의 5개의 요인이 인간의 감수성내지 정서, 인간의 능동성 그리고 도한 사회적 선택성을 가치롭게 여기는 태도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할 수가 있겠다. 성별 主효과에 대한 분석도 다수의 요인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추출되었다. 먼저 “지능의 본질”차원에서 “성격”요인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보다 강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결과는 여성보다 남성이 인간의 인간적 특성을 지적인 행동으로 나타내는 차원에서 보다 강한 입장을 나타내고 있는 사실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하겠다. 즉 남성은 여성보다 지적인 개념을 사회속에서 인간성의 구현을 위한 기회가 많다는 사실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회적논리-수학적 특성”의 요인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보다 강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여성의 사회적 적응성 내지 보수성에 기인하고 있다고 하겠다. “지능의 발달” 차원에서는 두 개의 요인에서 성별 주효과가 나타났다.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요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강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인간관계 지향적인 여성의 성역할이 그 원인이 되고 있다고 추론된다. 또한 “교육적 지도”의 요인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보다 강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아동양육에 대한 성역할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판단된다. “지적인 아동의 상”의 차원에서는 9개의 모든 요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보다 강한 개념을 나타내고 있었다. 9개의 요인들이 감수성과 정서, 그리고 사회적 적응성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여성의 전통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정서적 차원과 사회적 순응성에 의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전공과 성별 상호작용 효과도 몇 개의 요인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나왔다. 사회과학 집단은 여성이 지능의 본질의 차원 중 “개성적 특성”과 “사회계층 간의 차이”의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성 중 사회과학 전공 여성의 진보성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또한 자연과학 전공 집단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적 차원에서 보다 강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자연과학 전공여성은 보다 보수적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마지막 분석단계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요인들을 한 집단의 요인으로 보고 MONOVA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지능의 본질에서 성별, 전공별, 主효과가 나타났으며, 지적인 학생의 상에서도 성별, 전공별, 주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일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지능의 개념에는 성별 그리고 전공별에 따라 차이있는 지능의 개념을 나타낸다는 결론을 내릴 수가 있겠다. ;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social constructs of intelligence i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 controlling variables of the constructs. 564 students (267 males and 297 females) were sampled by a purposeful-random sampling method. Thre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constructs: The are 1) the nature of intelligence, 2)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and 3) the image of intelligent students. These thre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Mugny and Carugati. The major independent variables are three majors; the social science major, the natural science major, and the humanities major. Sex variable was also considered. The three questionnaire data were factor analyzed by varimax, equimax, and quartimax rotation depending on the data characteristics. For the nature of intelligence, 10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are; Socialit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 autonomy, personality, socio-scientific thoughts, rational abstraction, social-class differen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privileged,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social logico-athematical thoughts. For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also 10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y are; the socio-linguistic factor, heredity, factors of socialization, school-learning, interactions with the other, family, educational guidanc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logic, humanistic education, autonomic-sequential development. For the image of intelligent student, 9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y are; the intellectual sensitivity, emotional stability, cognitive characteristics, social adaptability, active motivation, social stability, sociality, social conformity, and socially privileged child. The factor scale scores were analyzed by GLM: The results are as follows; with the nature of intelligence, the sociality, the character of the privileged, and the social logico-mathematicality showed more stronger concepts in the natural science majors as compared to the social science majors. This result means the natural science majors are more socially conservative. With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no major and sex effects were obtained. As far as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is concerned no social influences were functional. With the image of intelligent study, the intellectual sensitivity, the emotional stability, the cognitive attributes, the active in the majors. The social science majors showed more stronger concepts as compared to the humanities majors. Sex main effect was shown in the three major dimensions: With the nature of intelligence, the personality factor was more strongly supported by the male, and the social logico-mathematics was more strongly supported by the female. With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two factors showed the sex main effect: The interaction with the other was more strongly supported by the female, and the education guidance factor was also more strongly supported by the female. With the image of intelligent student, all of the nine factors were more strongly supported by the femal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ajor and sex was shown in a few factors: the social science major females supported more strongly the factor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social class differences. The natural science major females showed more strong support for the factor of the sociality. As the last stepo of analysis in this study, MANOVA was done: With the nature of intelligence, the major, and sex main effects were obtained; and with the image of intelligent student, the major and sex main effects were obtained. The conclusion made in this study is that the social concepts of intelligence in Korean college student are influenced the major and sex of the subj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문제의 제기 ------------------------------------------------------- 1 II. 이론적 배경 ------------------------------------------------------ 6 A. 고전적 이론 ------------------------------------------------------ 7 B. 현대적 이론 ------------------------------------------------------ 9 C. 발달의 인지사회적 이론 ------------------------------------------- 13 D. 지능의 사회적 개념 ----------------------------------------------- 15 III. 방법 ------------------------------------------------------------ 29 A. 피험자 ----------------------------------------------------------- 29 B. 도구 ------------------------------------------------------------- 30 C. 절차 ------------------------------------------------------------- 32 D. 통계적 분석 ------------------------------------------------------ 32 IV. 결과 ------------------------------------------------------------- 34 A. 요인추출 --------------------------------------------------------- 34 (1) 지능의 본질 ---------------------------------------------------- 35 (2) 지능의 발달 ---------------------------------------------------- 41 (3) 지적인 학생의 상 ----------------------------------------------- 48 B. 전체집단의 경향 -------------------------------------------------- 54 (1) 지능의 본질 ---------------------------------------------------- 56 (2) 지능의 발달 ---------------------------------------------------- 57 (3) 지적인 학새의 상 ----------------------------------------------- 60 C. 전문적 사회화 (전공)에 따른 차이 효과 ---------------------------- 64 (1) 지능의 본질 ---------------------------------------------------- 64 (2) 지능의 발달 ---------------------------------------------------- 69 (3) 지적인 학생의 상 ----------------------------------------------- 69 D. 성별에 따른 차이 효과 -------------------------------------------- 76 (1) 지능의 본질 ---------------------------------------------------- 76 (2) 지능의 발달 ---------------------------------------------------- 78 (3) 지적인 학생의 상 ----------------------------------------------- 81 E. 전문적 사회화 X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 ----------------------------- 89 F. MONOVA 분석 결과 ------------------------------------------------- 91 V. 요약 및 논의 ------------------------------------------------------ 93 A. 요약 ------------------------------------------------------------- 93 B. 논의 ------------------------------------------------------------- 96 참고문헌 -------------------------------------------------------------101 부 록 -------------------------------------------------------------111 질문지 I : 지능의 본질 ----------------------------------------------111 질문지 II : 지능의 발달 ---------------------------------------------117 질문지 III : 지적인 학생의 상 ---------------------------------------123 영문초록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068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대학생의 지능에 대한 사회적 개념-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