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8 Download: 0

서울의 인구 및 거주지 변화 : 1394-1945

Title
서울의 인구 및 거주지 변화 : 1394-1945
Authors
양옥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도시인구 거주지의 교외확산은 20세기 중엽 이후 미국 등 서구 도시들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주목되었으나 사실 교외로의 거주지 이동패턴은 19세기 중엽 산업화, 근대화, 자본주의의 발달 등 전반적인 사회경제체제의 변화와 더불어 시작된 것이었다. 즉, 산업화 이전의 전통적 도시에서는 도심부-상류층, 주변부-하류층이라는 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산업화에 따른 도시로의 인구집중, 사회계층구조의 변화, 교통의 발달 및 도시지역내 인구과밀 등으로 서구도시의 경우 상류층 및 중산층들은 교외주택지로 이동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산업화 초기 도시공간구조는 도심부-하류층, 주변부-상류층이라는 전산업형도시와는 정반대되는 공간구조로 전환되었던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맥락속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전산업형도시에 해당되는 조선시대 한성부 그리고 산업화초기에 해당되는 일제시대 경성부에 있어서의 인구 및 거주지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연구의 결화 한성부의 인구수는 15세기초 11만에서 20세기초 25만명으로 이 기간중 전국인구의 증가율과 비교할 때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조선조 후기 이래 봉건적 사회경제체제가 해체되고 상업자본주의체제로 이행됨에 따라 4대문밖 및 한강변의 강항에 상업적 위성도시가 발달하는 등 주로 성외지역에서 인구가 증가하였다. 1903년 및 1906년 호적자료에 의하면, 한성부의 공간구조는 상류계급 거주지로서 도성안과 하류계급 거주지로서의 도성밖 성저십리지역으로 양분되고 도성안 지역은 다시 권세가양반 및 부유상인들의 ‘대가집’들이 집중되어 있는 도성안 중앙부 지역과, 기타 전현직관리, 유생, 중인, 하급군인, 소상인, 장인들이 살고 있는 도성안 주변지역으로 나누어지는 등 전형적인 전산업형 도시의 공간구조를 표출하였다. 반면에 개항 이후 유입되기 시작한 서구문물제도는 한국의 근대적 상공업의 발달을 초래하였고, 특히 1920년대 이후의 한국경제는 식민통치하의 파행적 구조속에서 산업자본주의 단계로 발달하였다. 이에 따라 경성부 인구는 1920년 이후 급증하기 시작하였으며, 경성부의 거주지는 1920년대 후반기부터 저소득층 한국인을 중심으로 시외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반면에 당시 사회지배층이었던 일본인들의 거주지는 주로 경성부내에서 확대되고 있었는데 특히 상류층 주거지는 반경 2km이내의 도심부에 집중하였다. 또한 1920년대 후반부터는 극빈층의 주거지인 토막이 발생하여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1930년대 이후부터는 시당국의 단속을 피해 경성부에 인접한 시역외곽지대에 집중분포하였다. 1930년 이후 2~4km의 도심주변부에 신흥고급주택지들이 개설됨에 따라, 일제말기 상류층주거지는 이들 도심 주변지대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경성부의 공간구조는 여전히 도심부-고소득층, 주변부-저소득층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고 서구도시에서와 같은 역전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식민통치하 민족별 주거지분화는 뚜렷하였으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주거지분화는 명백치 않았다. ;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in Seoul, the capital city of Korea since 1394, has changed with socio-economic changes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it focuses the population growth and the changes in the residential differentiation by the socio-economic status, while passing from the medieval society through the stage of commercial capitalism to the stage of industrial capitalism. Saliant data for this study include the register of Seoul residents in 1903 and 1906, the directories of leading people recorded in the Who’s Who in 1922, 1935, 1942, and 1950, and the distribution of squatter settlement in 1927, 1931, and 1940. Following are the summaries. The socio-economic structure of Seoul during the Yi-dynasty(1394~1910) have changed from the medieval feudal system to the petty commodity mercantile stage of capitalism since the mid-17th century. Merchandizing flourished, advancing to the cornering. Employment of the casual day labors replace the forced mobilization of the people for the government’s work. The population of Seoul, however, slightly increased from 109 thousand in 1428 to 194 thousand in 1669 and since then staggered. The residential areas in Seoul during this period have expanded outside the City of Seoul, especially the area lying immediately outside the Western gate and the Southern gate, several port towns around the Han river, 4km away from the city wall, and Wangshimri, another town located in the east at the distance 2km away from the city wall. The growth of these densely-populated satellite town depends on the prosper of commercial activities. The spatial structure of Seoul shows the typical case of the pre-industrial city. Residential areas in Seoul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Wealthy merchants and well-to-do dignitaries, the highest class, occupied the central part of the City of Seoul, while some nobilities, former officials, persons of low rank in the government, petty merchants, handicraftsman, casual day laborers, and soldiers resided in the periphery within the City of Seoul. Outside the city wall, farmers predominate the scene, except several satellite towns where wholesalers, money-lenders, tradesmen, agents, and petty merchants crowded. On the other hand, Seoul under the Japanese rule(1910~1945) experienced several significant changes. Industrial capitalism and the colonialism epitomized the socio-economic changes of Seoul in this period. Industrialization brought the massive migration of farmers leaving the country for cities, forming the urban poor congregated in squatter settlements. The colonialism cause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with the ruling people of Japanese in and aground the center, and the ruled people of Korean in the periphery. The upper class including mostly Japanese officials, managerials, and professionals and a few Korean nobilities stick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city until the late 1920’s. however, as new high-quality neighborhood opened in the area at the distance of 2~4km from the CBD, some of the high-class residences began to move outward. “Tomak,” the squatter housing, flourished in the area lying immediately outside the city limit of the 1914 year boundary of Seoul, accommodating about 40 thousand people in 1940. The location of the high-class residences and the squatter housing often coexisted in the same area, although in different sites. In conclusion,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apitalism, the population and the residential areas of Seoul have greatly expanded. However, the spatial structure, the center-the upper class and the periphery-the lower class, began to change slightly, even after the 1930s with the outward movement of some upper class into the 2~4km zone outside the former city wa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