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3 Download: 0

Paradise Lost에 나타난 고전정신의 기독교적 수용

Title
Paradise Lost에 나타난 고전정신의 기독교적 수용
Authors
김인성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John Milton(1608-1674)의 기독교 인문주의의 본질을 규명하고 그에 따라 Paradise Lost를 재검토하려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Milton은 ‘최후의 기독교 인문주의자’라고 불리우며 그의 Paradise Lost’는 최고이며 거의 유일하게 성공적인 기독교 서사시로 평가되고 있지만, Milton이 Paradise Lost에서 어떻게 그의 기독교 인문주의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했는지 그 구체적인 방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서사시로서 Paradise lost가 드러내고 있는 서사시적인 특성과 독특한 영웅상을 밝혀 보았다. 서론에서는 1930년대부터 Milton과 그의 Paradise Lost를 영문학의 주류로부터 ‘축출’하려는 반밀튼주의자들의 활발한 비판 활동과 그에 대한 방어진의 논리에 초점을 맞추어 Paradise Lost의 핵심적인 문제를 유도하려고 했다. 소위 ‘밀튼 논쟁(The Milton Controversy)’이라고 불리워지는 것을 요약해보면, Paradise Lost에 대한 문제는 그 언어나 문체의 절제되지 못하고 부적절한 처리와 ‘신의 길을 인간에게 정당화 시켜준다(To justify the way of God to men)’는 지나치게 두드러진 주제에 대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로 T.S. Eliot이나 F.R. Leavis에 의해 제기된 Paradise Lost의 언어나 문체의 문제는 작품의 쟝르상의 특성을 부각한 C.S. Lewis나 F.T.Prince의 옹호, W.Empson과 C.Ricks의 신비평적인 꼼꼼한 언어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문제인 주제에 관한 불만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고 보는데, 이 문제는 Waldock과 Empson에 의해 가장 잘 표현되고 있다. Waldock은 Paradise Lost의 서술구조를 분석하면서 Blake, Shelley의 Satan 이해가 정당하다는 것을 다시 주장하였고 W.Empson은 그 특유의 정독(close reading)을 통해 Paradise Lost의 God이 부당하다는 것을 지적했는데, Fish나 Burden의 비판이 있기는 하나 Fish나 Burden의 입장이 지나치게 기독교적이어서 이교와 기독교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Milton의 기독교 인문주의의 본질과는 다소 상이한 부분이 있다. 2장은 본 논문의 중심 부분으로서 기독교 인문주의의 일반적인 성격과 그에 비추어 Paradise Lost의 문학적 특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 장의 목적은 역사적이고 이론적인 맥락에서 Milton의 기독교 인문주의를 이해하며, Milton의 작품들이 고전적이고 성서적인 요소들을 배타적인 관계에서가 아니라 상호 보조적인 차원에서 수용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려는 것이다. Milton의 작품들은 르네상스의 서사시처럼 알레고리를 도입하여 편리하지만 단면적으로 고전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전과 성서 중 일방적으로 어느 하나로 기울어지지 않고 그 두 가지 문학 세계를 조화롭게 융합시키면서 또한 그 둘의 긴장까지도 의도적으로 도모하고 있다. 2장의 B 절은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호 갈등하는 특성들을 결합시키려는 Milton의 시적인 기교와 그로 해서 발생하는 Paradise Lost의 독특성을 다루게 된다. Paradise Lost 외에도 Comus, Lycidas 등의 초기시와 Paradise Regained, Samson Agonistes의 후기시에까지 이어지는 Milton 작품의 특징은 고전과 성서의 세계의 균형을 유지하며 작품 전체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자유롭게 그 자료들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Paradise Lost에서 Milton은 고전 서사시의 형식을 수용하면서 그것을 통해 자신의 작품의 우수성을 역설하는데, 예를 들어 시의 구성이나 언어가 Virgil과 유사하다고 하나 Virgil이 Homer를 주로 모방한 것과는 달리 Milton은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Virgil뿐만이 아니라 Milton보다 앞 선 시인의 모든 작품을 연상시키며 동시에 그 모든 것을 능가한다는 것을 보이는 기법을 구사한다. 또한 Milton은 고전 서사시의 자료를 가져와서 기독교적인 영웅상을 구현하도록 변형시킨다. Paradise Lost의 5번의 기원(invocation)을 통해 알 수 있듯이 Paradise Lost는 서사시의 관습을 답습하면서도 자신이 받아들이는 고전적인 전통에 대해 비판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고전 서사시의 세계를 반성하는 과정에서 Satan의 영웅성이 고전 서사시의 주인공들 가운데에서도 잘못된 유형을 모방한다는 것이 드러난다. 2장의 마지막 부분인 ‘기독교 서사시의 영웅상’에서는 Paradise Lost의 독특한 영웅상을 보이려고 한다. 고전 서사시의 전통적인 영웅들이 영광을 구하고 또 그것을 달성하지만 Paradise Lost는 ‘영웅적인’ 인간의 탐색을 영광된 것으로 그리지 않는다. Paradise Lost에서 Adam과 Eve는 고전적이고 전투적이며 ‘외형적인’ 것에서 벗어나 성서적이고 인내하며 ‘내면적인’ 영웅상으로 향한다. Satan과 달리 Adam과 Eve는 그들의 타락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회개하고 신에게로 귀의하려고 한다. 시의 마지막에 이르러 Adam이 기독교의 이성적(rational) 미덕을 배우게 되자, 더 이상 지상의 낙원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며, 인간 내면의 낙원이 ‘훨씬 더 행복한(Happier far)’ 것임을 깨닫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Milton은 Paradise Lost를 통해 서사시의 모든 친숙한 특성들을 이용하고 있으면서도 서사시의 세계가 그리는 영광과 무훈이 사실상 헛된 것임을 보여준다. ; This thesis attempts to explore the Christian humanism of John Milton (1608-1674) and to reexamine his Paradise Lost. Traditionally it is assumed that Milton is ‘the last great exponent of Christian humanism’ and that Paradise Lost is the best product of Christian epic. A closer look, however, reveals that the way how Milton embodies his Christian humanism’ and that Paradise Lost is by no means clear. This study, then, seeks to uncover the heroic qualities and real meaning of Paradise Lost is by no means clear. This study, then, seeks to uncover the heroic qualities and real meaning of Paradise Lost as Christian epic. The introduction provides a brief history of “The Milton Controversy” and offers a survey of critical challenge to ‘dislodge’ Milton and his Paradise Lost. These myriad attempts, however, do not undermine any substantial value of Paradise Lost, but rather give a chance to produce many fruitful interpretations of Paradise Lost. We can look beyond the antagonistic attitude to Milton by concentrating on the seventeenth-century poetic convention and uniqueness of Milton’s Christian humanism. ChapterⅡ, the main body of this thesis, is a discussion of Christian epic in general and Milton’s Paradise Lost in the light of it. My purpose here is to explain the whole character of Milton’s Christian humanism in historical and theoretical contexts and to argue for my view that Milton’s poetry is a deliberate and careful unified dramatization of classical and biblical elements. It is also suggested that what Milton’s poems do reflect is the poet’s ambivalence; that is, the harmonious fusion and deliberate tension of classical and Christian materials. Section B of this chapter, consisting of three parts, is a more detailed study of both Milton’s poetic technique to reconcile the conflicting qualities and the resultant uniqueness of his Christian epic. As we can see the examples of several invocations in Paradise Lost, although Paradise Lost is in apparent epic form beneath the surface there is the suggestion Milton is not as conventional and positive about classical tradition as it may first have appeared. In Paradise Lost, we discover the distinctive heroic qualities, which stems from his deliberat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epics. Thus, in Paradise Lost although Satan’s activity seems suitable to heroic action, Satan represents the perverse pattern of classical heroes and reveals serious flaws in his relationships to his society and even to his own self. In the remaining section of chapterⅡ, ‘the pattern of Christian hero’, we try to see in Paradise Lost the movement from classical, militant, ‘outward’ heroism to biblical, patient, ‘inward’ heroism. So although the traditional epic hero desires and achieves glory, Paradise Lost does not glorify the ‘heroic’ human pursuit. Contrary to Satan, Adam, or Adam and Eve, is/are the type of Christian hero who, despite his/their fall, is/are willing to try to go back to God. When Adam has learned the rational and Christian virtues, he has no need of an earthly paradise, he has the ‘paradise within’ him, ‘happier fa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