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숙-
dc.creator김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7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0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72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작가 이태준(1904~64?)이 월북하기 전까지 남긴 小說의 作品世界 특성을 記號論的인 方法論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그는 文學창작 외 사회적 활동을 했고, 월북한 작가이기 때문에 그의 작품을 쉽게 대할 수도 없었고, 그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없었다. 작품의 연구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①주로 전기적인 그의 행적에 대한 언급들이나, ②그의 작품 중 부분적인 당시대 동료 비평가들에 의한 인상비평이나 分析으로 되어 있다. ③근대 이루어진 연구의 경우에도 작품 중 택해서 하거나, 장·단편을 분리해서 연구되었다. 그러므로 그의 作品世界의 특질의 규명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에서 小說全作品에 나타난 문학의 불변적 요소를 축출함으로써 그의 문학세계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했다. 그는 個人的으로는 사회주의적 活動을 했지만, 그의 문학적 出發은 九人會로부터이다. 이러한 점은 그의 문학적 특성을 個人的인 사회활동과 분리해서 볼 수 있게 해 주는 근거가 된다고 생각한다. 그의 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기호론적 이론을 택했다. 그 중 발신자(작가)-수신자(독자)의 관계에서 정보체로 주어지는 텍스트(作品)를 다음 관계에서 다루었다. 텍스트 → 標題, 서사내용 ˝+(S₁→Np+Vp)+S₂+S₃… ˝+(고유명사+①靜態語 ②動態語 ) + S₂ 分析기본 이론으로는 標題의 部分에서는 야곱슨(Jacobson)의 발신자, 수신자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로랑 바르트(R.Barthes)의 해독코드 기능에 따라 분류를 했다. 그럼으로써 문학 텍스트를 정보체로 쓰는 작가의 정보기능 층위를 알아볼 수 있다. 서사내용을 分析하는 기본이론의 적용은 서사문장의 불변하는 요소를 찾아내서 그 기능을 살펴보고자 하는 점에서, 문장의 주요소에 해당하는 행위주(NP)인 고유명사와, 고유명사에 관계된 서술어에서의 의미소 축출, 변화양상을 살피는 데서 시작했다. 이용된 이론은 그레이마스의 행위주체 이론가, 토도로프의 서사 구분 분석 이론을 원용했다. Ⅱ章에서는 이태준의 小說을 분석하는 모델로서「복덕방」을 택했다. 그 이유는「복덕방」(1937)이 그의 作品活動 과정에서 중반기에 해당되며, 本論文 진행方向과 부합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Ⅲ장에서는 李泰俊 全作品의 標題語 設定의 양상과 정보기능을 살펴보았다. 분류한 근거는 로랑바르트가 S/Z分析한 이후 기본 5가지 코드를 확장하여 분석시도한 사도행전(Analyse Structurale despecils)의 분류기호를 따라서 했다. 이러한 분류를 검토한 결과 그는 標題語 設定에 있어 人物에 해당하는 標題를 가장 많이 쓰고 있으므로 標題 어휘의 출처를 作品의 끝부분에서 반드시 드러내줌으로써 그 근거를 알게 해 주는 정보체가 Hot정보적 양상을 지닌다. 이러한 정보양상을 기초로 표제어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은 이 표제가 지니는 내용에 대한 기능의 관계로서 함의, 등가, 전도, 내포 양상으로 분류했다. 나타난 결과는 등가기능가 내포기능의 작품을 가장 많이 쓰고 있으며, 작품 활동초기에 나타나는 전도기능의 작품은 作品生活 중반기 이후부터는 쓰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Ⅳ장에서는 텍스트의 구성이(S₁→Np+Vp)+S₂…로 되어있으므로 Np에 해당하는 텍스트의 행위주인 人物들의 존재양상을 서술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그 결과 李泰俊作品의 人物들이 존재하는 층위는 서술자와 다음과 같은 거리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① 主人公들이 男性인 경우, 인칭과 인명과 무관하게 사회적 지위나 학식의 정도가 사회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상층부류의 人物이며 그들의 직업이 기자, 교원, 대학생 등 지식층인 경우 그들은 서술자와 밀착된 거리에서 존재하고 있다. ② 그 외의 人物들(老人·男·女) 중 특히 여자들의 서술자의 관찰대상이며, 비판적 대상이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서술은 감정어와 서술자 가치기준에 의한 평가의 어휘들로서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작가가 男·女主人公들의 행위에 변별성을 두고 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Ⅴ장에서는 Ⅳ章에서 드러난 변별 대상들의 ?Sp의 部分으로서 행위어의 양상과 行爲主와 관련된 行爲語 中 가장 불변하는 요소에 해당하는 핵 의미소 ‘떠나다’가 이루어내는 서사내용 구축과 거기에 따르는 /內/ 공간해체와, 移動空間인 /外/ 공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部分에서는 李泰俊의 ‘떠나다’의 언표가 심층적 의미에서도 女性과 男性의 변별성을 이루고 있음을 알았다. 男性들의 ‘떠나다’의 어휘는 生産性과 관련이 되고 있다. 여성들의 ‘떠나다’의 어휘는 背反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대부분 가족공간인 /內/ 공간의 해체를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의 공간은 ‘정착하다’의 巨視的 행위 언표에 이르면 부정적 아내의 공간과 긍정적 어머니의 공간으로 귀결되고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miotic approach with Lee Tae-Jun’s novels. The established studies about his novels had been either biographical surveys or comment by various critics with their impressions on the novel, and had never been done in any depth to prove semiotics literary values. In this study I have tried to understand his literary world by examining the meaning of characters departure at the end of the most of his works. He was known among us a socialist but he started his literary career with Gu In Hae (Nine Person’s Group) from the beginning and his zeal for literary achievement has been ardent all through his life. His concern in literary had been to draw the personality of his characters by ‘description’. I took his meaning ‘description’ as a narration by the author. In this context the relation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becomes the sender and the receiver of semiotic method. The semiotic method is applied for the analysis of the text as follows: Text - Title, narrative content Title, (S₁→Np+Vp)+S₂+S₃… Title, (S₁→proper noun +⑴ static verb(predicate) ⑵ dynamic verb The titles of the text are analyzed by Jacobson’s communication theory and Barthes’ code. As a result I could identify the text as functioning as an information by the writer. I have come up with the unchangeable element after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content, characters’ name, and have found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per names of male and female character. In chapterⅡ, I have chosen for a close analysis Bok Duk Bang(A Real Estate Agency) which was written during middle period(1937). ChapterⅢ, is devoted to the study of the titles and the information functions to be found in Lee Tae-Jun’s novels. In the course of the analysis, I found out that titles are made-up characters’ name and the information is Hot medium through disclosure of the source of title at the end of each novel. Based on this information analysis, I classified the meaning of the title with four functions: i.e., the implicative, the equivalent, the inversive, the connotative to examine the functions of title.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he used the equivalent and the connotative function and have not used the inversive function after middle period. Chapter Ⅳ, shows the relation between actor and narrator,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f the heroes are men in educated class, such as journalist, teacher or university student, they are identified with the narrator. 2) If other characters such as old man or women, are the objects of narrator’s critical observation, the narrator in these case is criticized with the writer’s emotional viewpoint. In chapterⅤ, I examined the action verb ‘depart’ as a part of ?Sp, and I found out that the unchangeable kernel meaning ‘leave’ also shows the distinguished between man and woman. The meaning of ‘leave’ is differentiated by the characters’ sex: ‘leave’ by man is in connected with productivity and ‘leave’ by woman means betrayal or dismemberment of home. It naturally follows that wife who is sterile most of the time is considered with negative, and mother’s space are posi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5 A. 문제제기 ---------------------------------------------------------- 5 B. 연구방법 및 범위 -------------------------------------------------- 9 Ⅱ.「복덕방」을 모델로 한 분석 ---------------------------------------- 12 A. 표제어「복덕방」의 의미 해독의 의미와 기능 ------------------------ 13 B. 행위주 존재와 서술자의 층위 --------------------------------------- 18 C. 이야기의 구조와 행위어 떠나다 의 기능 ---------------------------- 25 Ⅲ. 표제언표의 설정 양상과 정보기능 ----------------------------------- 28 A. 표제언표의 설정양상 ----------------------------------------------- 28 B. 표제언표와 이야기 구조 관계 --------------------------------------- 81 Ⅳ. 행위주 존재와 서술자 층위 -----------------------------------------100 A. 행위주의 존재와 서술기능 ------------------------------------------100 B. 행위주 명명 층위 --------------------------------------------------129 Ⅴ. 이야기의 구조와 행위어 떠나다 의 기능 ----------------------------144 A. 행위어 떠나다 의 기능과 공간의 변별성 ----------------------------149 B. 대립 공간의 순차적 변이 양상 --------------------------------------181 C. 행위어 정착하다의 공간기능 ----------------------------------------197 Ⅵ. 결론 --------------------------------------------------------------208 참고문헌 --------------------------------------------------------------210 ABSTRACT --------------------------------------------------------------2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202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태준 소설의 기호론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