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화윤-
dc.creator박화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8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0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과 유아들의 놀이 형태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밝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놀이 형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즉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 인지적 놀이, 사회 인지적 놀이, 기타행동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 교육기관환경의 질적 수준에 다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아놀이형태에는 어떠한 변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이리시내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환경 평정 척도에 의해 질적수준이 우수한 곳과 그렇지 못한 곳 각 1개씩을 선정하고 각 기관의 유아 30명씩 합계 60명이다. 연구기관은 12주로서 2주 관찰기관과 3주의 간격을 두고 3기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놀이장면은 2주 관찰기간마다 유아당 10초 40회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되었으며, 놀이형태 빈도는 2명의 분석자에 의해 관찰지에 표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각 놀이형태별로 SPSS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놀이형태 변화를 알기 위해 각 놀이 형태별 빈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놀이 형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환경의 질이 좋은 기관의 유아들은 그렇지 못한 기관의 유아에 비해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 인지적 놀이, 사회인지적 놀이의 모든 형태에서 복잡성 수준이 높은 놀이들을 더 많이 선호하였다. 특히 두 기관의 유아간에 가장 차이있는 선호성을 나타낸 놀이 형태는 상호역할사회놀이, 구성놀이, 규칙있는 게임, 집단구성놀이등으로 환경의 질이 좋은 기관의 유아들이 더욱 높은 선호성을 나타냈다. 기타 행동은 환경의 질이 낮은 기관의 유아들이 좋은 기관의 유아들에 비해 더 많은 선택을 보였으며 특히 부정적 행동에서 더욱 높은 선호성을 나타냈다. 둘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아들이 선호한 놀이형태는 변화가 있었고 이러한 변화는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선호도가 가장 높은 놀이형태의 전이현상을 비교해보면, 교육환경의 질적수준이 좋은 기관의 유아들은 복잡성 수준이 높은 놀이형태로의 전이현상을 보였다. 즉 고립놀이에서 단순사회놀이로, 기능놀이에서 구성놀이로 집단기능놀이에서 집단구성놀이로 변화했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기관의 유아들은 전이변화가 없거나 수준이 더 낮은 놀이형태로 전이를 나타냈다. 즉 고립놀이, 기능놀이만을 계속 가장 선호하였으며 집단기능놀이에서 병행기능놀이로의 전이가 있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아들이 비교적 많이 선호한 각 놀이형태별 변화를 비교해보면, 환경의 질이 좋은 기관의 유아들은 수준 높은 놀이형태의 증가와 수준 낮은 놀이형태의 간소를 보였다. 즉 비교적 수준 높은 놀이형태인 단순사회놀이, 구성놀이, 집단구성놀이는 증가를 보였고 수준이 낮은 놀이형태인 단순병행놀이, 기능놀이, 병행기능놀이는 감소현상을 나타냈다. 환경의 질이 낮은 기관의 유아들은 이와 유사한 변화를 보이는 놀이도 있지만 그변화는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놀이 수준이 낮은 놀이형태인 단순병행놀이의 증가와 비교적 수준이 높은 단순사회놀이와 집단기능놀이의 감소가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놀이형태 변화에서 상반된 변화를 보인 놀이형태는 단순병행놀이, 단순사회놀이, 병행기능놀이, 집단기능놀이이다. 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놀이형태의 변화현상에서 환경의 질적수준이 다른 두기관의 유아간에는 뚜렷한 변화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ignific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preschool environment and children’s play patterns. Two research question were set up in this study.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play patterns between the children in high quality environment and the children in low quality environment? In other words, what are the differences in Howes’ peer play categories, Smilansky’s cognitive play categories, Rubin and his assosiates’ social cognitive play categories, and other behaviors between the two groups?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trends of play patterns between the children in high quality environment and the children in low quality environment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In other words, what are the differences in Howes’ peer play categories, Smilansky’s cognitive play categories, and Rubin and his associates’ social-cognitive play categori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is study, 60 children of two preschools in Iri city were selected. Their mean age was 56 months.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developed by Harms and Clifford(1980) was used to select two preschools which were different in the quality. The play activities of children in two preschools had been recorded by videocameras for 3 periods through 12 weeks, Each child had been videotaped in a randomly determined order 6-7 times 10 seconds during indoor free play time in a day, a total of 40 times for two weeks every one period. Two raters checked frequency of play patterns using observational check list.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of play patterns, and x^2 using SPSS. Graph was used to represent the trends of play patterns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high and low quality preschools in the children’s preference of play patterns. The Children in high quality environment preferred the higher levels of play pattern in the peer play category, the cognitive play category, and the social-cognitive play category but the children in low quality environment preferred the low level of play pattern. Especially children in high quality environment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reciprocal social play, game with rule, and group-constructive play than children in low quality environment. The children in low quality environment preferred other behaviors. Especially they were more engaged in negative behavior among the other behaviors than children in high quality environment.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rends of play patterns which children preferred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The children’s preference of play patterns changed through passage of time differently according to quality of preschool environment. The most preferred play patterns of children in high quality environment were changed progressively from functional play to constructive play, solitary play to simple social play, and group-functional play to group- constructive play. But the most preferred play pattern of children in low quality environment was not changed. In other words, they preferred only solitary play and functional play in spite of passage of time. In changing trend of play patterns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children’s play pattern trend in high quality environment changed desirably: The frequencies of simple social play, constructive play, and group-constructive play which were high of in level were increased. The frequencies of simple parallel play, functional play, and parallel-functional play which were low in level were decreased. Children of low quality environment reveal the same pattern of change, but change is not so presently. And also, the frequences of simple parallel play and parallel-functional play in low level were increased and the frequencies of simple social play and group-functional play in higher levels were decrea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7 C. 용어의 정의 ------------------------------------------------------ 7 II. 이론적 배경 ------------------------------------------------------ 10 A.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변인 ------------------------------------- 10 B. 유아의 놀이형태 -------------------------------------------------- 19 C. 유아교육기관 환경과 놀이행동의 관계 ------------------------------ 38 III. 연구의 방법 ----------------------------------------------------- 52 A. 연구대상 --------------------------------------------------------- 52 B. 측정도구 --------------------------------------------------------- 54 C. 연구절차 --------------------------------------------------------- 58 D. 자료분석방법 ----------------------------------------------------- 62 IV. 결과 및 해석 ----------------------------------------------------- 63 A. 교육환경의 질에 따른 놀이형태의 차이 ----------------------------- 63 B. 교육환경의 질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놀이형태변화의 차이 ------ 70 V. 논의 및 결론 ------------------------------------------------------ 87 A. 요약 및 논의 ----------------------------------------------------- 87 B. 결론 및 제언 ----------------------------------------------------- 95 참고문헌 ------------------------------------------------------------- 99 영문초록 -------------------------------------------------------------111 부록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468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과 유아의 놀이형태와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