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주거환경 스트레스가 주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주거환경 스트레스가 주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Authors
곽인숙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resulting rapid urbanization in Korea in several decades caused the problem of housing shortage and the various residential stressors. A number of stimuli identified as potential stressors are noise, pollution, crowding, and crime. In spite of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that analyses systematically the effects of residential stressors on the housing adjustment behavior and housing management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such effects by identifying, on the basis of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 the factors that cause residential stress. For this purpose, 822 housewives were sampled from the household in Seoul and Chonju-city. The data collected from them were analysed by such statistical methods as multiple regression, crosstabul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urban households surveyed are observed to suffer from resiential stressors. The components of resodential stressors are housing facilitiesm family living space, social interaction woth the neighborhoods, physical condition of house. 2.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residential stress the most important household environment factors are, the level of family controllability, which is followed by the family adaptation ability, the size of living space,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 type of housing tenure. The result of analysis show that the higher degree of perception resedential stress is observed, such as the lower level of family controllability and adaptation ability, the smaller the size of living space, the low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lso the renters are perceived strong stress than homeoweners. The level of family income, education level,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have no significant bearing on residential stress. 3. Higher tendendy to housing adaptation than adjustment was observed in residential stress reation. The level of residential stress affect housing adjustment attitudes. The lower level of stress is observed in housing adjustment than housing adaptation. Socio-demographic factors have turned out ro play some role in housing adjustment and adaptation attitudes. The higher level of income and the status of head’s occupation were more actively coped woth residential stress. 4. The higher level of housign management behavior is observed in the lower level of residential stress, the smaller level of living space, the higher level of family adaptation ability and social support. 5. The need of family living space and housing tenure is observed to induce residential stress by middle-high income family, the need of housign facilitie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ress in low income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residential stress associated with not only residential size but also at the level of housing facilities and social interaction. Overall upgrading of residential quality requires efficient allocation of living space and facilities on the basis of resident’s needs. For instance, homeowners want more living space and renters want higher level of residential facilities. This conclude that solution to the problem of residential stress should be thoght from resident’s quality of life.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자극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접근법을 적용한 개념적 모형을 구성하고 주거환경 스트레스의 유발요인, 가족이 인지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반응으로서의 주거조절태도, 주거공간의 확보를 위한 주거관리 행동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과 전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 82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가족의 주거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주택 내 시설설비 수준이 낮아 가족에게 불편함을 주는 스트레스가 가장 많은 문제를 가진 요인이었으며, 다음은 가족단란의 공간 부족에 의한 스트레스, 주택의 가격이나 소유에 대한 불만에 의한 스트레스, 소음이나 공기오염과 같은 주택의 물리적 환경 결함에 의한 스트레스, 공공서비스시설의 이용불편에 따른 스트레스, 이웃집과의 프라이버시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인지하게 되는 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환경 스트레스의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검토한 결과, 주택의 규모가 영향을 많이 미쳐 주택의 규모가 적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 다음은 주택의 소유결함에 의한 스트레스로 임차가의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았다. 가족의 심리적 자원의 영향력이 크며, 조정력이 높을수록, 적응력이 높을수록, 생활에 만족할수록 주거환경에서 인지하는 스트레스 의 수준이 낮았다. 셋째, 스트레스의 요인별 영향변수의 분석결과 주거욕구의 단계중 가장 낮은 생리적 시설과 설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택의 소유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나 임대주택의 주거수준이 낮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주택의 유형 중 아파트가 난방설비나 취사설비, 전기조명시설이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보다 우수하여 가족의 안락과 편리의 욕구를 가장 잘 충족시켜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생활주기에 따라 가족이 주로 인지하는 스트레스의 종류가 다르며, 자녀 교육기에는 이웃의 환경이 자녀의 교육에 적합한가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며 자녀의 교육이 끝난 시기에는 소음이나 공해와 같은 주택의 물리적 환경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거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반응으로서 주거조절태도는 비교적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가족이 많았으며, 스트레스 의 수준이 낮을수록 적극적인 주거조절태도를 가지고 있다. 주거 조절태도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는 남편의 직업수준이나 가구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의 심리적 자원이 많을수록 적극적인 주거조절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거환경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주거관리 행동은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관리행동의 수준도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오히려 낮게 나타난다. 이는 주거관리행동이 정보와 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구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주택의 규모가 작을수록 가족의 적응력이나 사회적 지원이 높을수록 주거관리행동의 수준이 높았다. 가정생활주기의 초기에 주거관리 행동의 점수가 높고, 가정생활주기의 진전에 따라 주거관리 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가정형성기가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고 차츰 가족의 경제적인 여건의 호전과 함께 주거에 대한 요구가 감소되므로 주거관리의 필요성이 적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섯째, 가족의 주거관리의 계획능력과 수행능력은 주거환경의 조절에 대한 태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주거조절의 의사가 없는 가족은 관리의 계획과 수행이 모두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 현재의 주택에 만족하는 가족도 주거조절의사를 가지고 있는 가족과 비교할 때, 계획 능력에서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수행능력은 조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행동에 대한 제약 중 주택가격이나 일반물가에 의한 경제적 제약을 인지하는 가족이 주거관리의 수행능력이 낮았다. 연구결과 임차가구의 주거환경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주거욕구의 단계 중 가장 낮은 생리적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임대주택의 생리적인 시설과 설비를 일정수준이상 보장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가정생활주기의 변화는 가족의 주거에 대한 요구를 변화시켜 가족이 인지라는 주거환경 스트레스 요인도 다르다. 가정생활주기에서 가족이 소유한 자원의 양이 가장 적은 시기이므로 주거공간의 획득을 위한 장기적인 금융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대단위의 주거단지 계획시 주택의 규모 및 공간 구성, 주거위치의 결정 과정에서 가정생활 주기에 따른 주거욕구의 차이에 대한 배려가 요망된다. 주거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가족의 대처행동으로서의 주거관리행동은 가족의 심리적 자원이 중요한 영향요인이며 동일한 주거 환경인 경우 가족의 심리적 자원의 수준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대처태도를 가지므로 교육을 통한 의식의 변화를 모색함이 필요하다. 또한 주거행동제약이 주거관리 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주택가격과 일반물가의 안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주거환경 스트레스의 문제는 가정생활의 질적 향상을 고려하고 가족의 주거요구를 단계적으로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합리적인 자원관리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으므로 주거관리행동에 초점을 둔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