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4 Download: 0

바로크 논의와 로트루의 연극미학

Title
바로크 논의와 로트루의 연극미학
Authors
김경옥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프랑스 17세기의 극작가인 쟝 드 로트루 Jean de Rotrou의 극작품에 나타난 연극미학을 바로크와 관련시켜 이해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첫째는 로트루 극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바로크에 대한 논의와 두번째는 바로크 논의를 통한 몇가지 가설을 토대로 한 로트루 극작품의 분석이다. 서론에 해당하는 I장에서는 바로크에 대해서 이 시점에서 거론하게 된 배경과 그 의의를 살펴 보았다(1절). I장2절에서는 로트루 연구의 역사적 개관과 우리 연구가 로트루의 극작품들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연구방향과 의의등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I장의 1절과 2절은 각각 이 연구의 두 부분인 II장<바로크 논의>와 III장<로트루의 연극미학>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우리가 본론에서 다루게 될 문제들을 조명해 본 것이다. II장 <바로크 논의>는 세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1절의 <역사적 범주>에서는 시공時空이 제한된 역사적 실상속에서 바로크를 이해했던 구체적 작업들을 소개하였다. 역사속에서 바로크를 이해했던 뵐플린 Wolfflin의 문제제기와 그의 연구가 갖는 한계들을 사회적 현상속에서 보완하려했던 연구들을 소개하고 우리 나름의 비판도 첨가하였다. 2절의 <미적범주>에서는 역사적인 개념을 벗어난 초역사적인 바로크연구가 거론된다. 역사속의 하나의 예술양식의 범위를 넘어선 바로크 개념은 그 개념을 탄생시킨 20세기와 긴밀한 관계에 놓여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20세기초의 유럽 여러나라의 바로크 열풍에 관해 논하면서 20세기와 바로크를 총괄적으로 비교, 검토해 보았다. 3절의 <바로크 수용과 성과>는 우리의 관심사인 프랑스 문학의 바로크 수용과 성과를 다루는 장이다. 우선 미술사적으로 분석된 양식적 특징을 문학에 적용시키는 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이러한 성찰은 연극속에서 바로크 미학이 가장 분명하게 발현되었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바로크에 대해 논하는 것은 곧 연극에 대해 논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바로크 시대는 연극의 제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토론해 온 시대였기 때문이다. 로트루의 극작품에 대한 분석은 이러한 전제하에서 출발한다. III장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1절 <희비극:불연속적 미학>에서는 서로가 서로에게 연극적 상황을 연출하는 등장인물들의 극적유희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에 동참하는 관객을 상정하여 무대란 배우와 관객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장소라는 로트루의 미적인식을 살펴보았다. 2절 <희극:분신의 미학>에서 우리는 두쌍의 등장인물의 정체성正體性의 위기를 통하여 드러난 로트루의 연극적 성찰을 살펴보았다. 등장인물들이 느끼는 본질적 자아와 역할을 하는 자아사이의 거리는 극적 체험에 임하는 관객자신이 현실에 대해 갖는 이중적 거리로 확산되었다. 등장인물의 분신은 연극 그 자체를 분신의 대상으로 삼았다. 3절의 <비극:극중극의 미학>을 극중극이라는 극적 기법을 통해 나타나는 로트루의 연극미학을 고찰해 본 것이다. 배우예술속에 연극의 총체적 역설이 들어있다는 인식하에 우리는 배우의 이중의 현존이 드러내는 역설적 의미를 천착해 보았다. 또한 바로크 시대의 극중극의 의미작용을 로트루의 극작품과 총괄적으로 제고해 보면서 로트루 극작품의 현대적 의미를 일별해 보았다. 이와같은 고찰을 통하여, 로트루의 극작품들은 바로크시대의 연극성의 본질을 드러내주는 동시에 바로크의 일반적 테두리속에서 사장되지 않으면서 현대 극작가들의 연극에 대한 인식의 물꼬를 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Notre these a pour but de demontrer la relation existant enter le Baroque et l esthetique theatral chez Rotrou, dramaturge du XVII Siecle en France. Nous avons d abord etudie le Baroque pour mieux comprendre less pieces de Rotrou, ensuite essaye de les analyser selon quelques theories qui s emergent du travail sur le Baroque. Dans les chapitres 1,2 de la partie I, nous avons vn la circonstance contemporaine dans laquelle le Baroque se montrait crucial comme style et Rotrou ecrivait. nous avons aussi justifie de facon breve le choix de cet acteur et il nous a fallu aussi expliquer l importance et la direction du theme de notre etude. Dans la partie II, nous avons reflechi sur le baroque et l esthetique theatral chez Rotrou qui se presententde facon concise. Cette partie essentielle qui nous amene a voir le role important du Baroque se compose en 3 chapitres comme suit. 1^er chap, Catergorie historique : nous avons expose de facon breve les travaux concrets sur le Baroque. Nous avons presente les etudes de Wolfflin et aussi critique les limites de ces travaux. 2^ene chap, Categorie esthetique : nous avons discute sur le probleme au dela de l histoire. Le Baroque qui ne se limite pas seulement dans la dimension du style d art est relie de facon etroite au 20 ene skecle qui fait naitre la perception du terme du Baroque. Aussi nous sommes nous efforce de voir et d examiner de maniere generale la mode et L enthousiasme du Baroque qui regnent dans l Europe au debut du siecle. Dans le chap 3, nous avons examine la reception du Baroque et le fruit de ce travail dans la litterature fracaise. D abord, nous avons concu la methodologie qui applique l element stylistique a la litterature. Cette reflexion nous amene a merrre l accent sur le fait que le theatre est la plus claire monifestation de l esthetique Baroque. Car, discuter sur le Baroque veut dire discuter sur le theatre. D ou le point du depart de notre etude sur les pieces de Rotrou. La partie III se devise en trois chapitres. Dans le premier chapitre , nous avons discute sur le jeu theatre des personnages qui se provoquent la situation theatrale l un a l autre. Dans le premier chapitre , nous avons examine la perception theatrale de Rotrou a travers la crise de l identite des personnages. la distance existant entre le moi essentiel et le moi theatrale se repond jusqu a celle du spectateur vis a vis de la realite. Dans le chapitre III , nous avons essaye de montrer la conception theatrale de Rotrou a travers le theatre dans le theatre. C est dans la conclusion que nous avons reflechi le sens moderne des pieces de Rotrou et des oeuvres de Baroq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