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영미-
dc.creator백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0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96-
dc.description.abstractInnovation is necessary for sustaining firm s competitive advantage. Past success doesn t guarantee the future success any more. Sources of profit are also very dynamic and rapidly changing. However, the innovation theory has not accumulated sufficiently that could provide significant meaning to academician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s yet.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are very mixed, inconsistent and frag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and its antecedents.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roblem solving style, leader-member exchange, attitude toward innovation, perception of competitive pressure on innovative behavior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integrated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y of employee and the degree of innovative behavior were also examined. This research explores how task autonom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nd its antece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a sample in Korea including 354 employee of 12 firms from 5 major industries(construction, automobile, telecommunication, electricity, and insurance) from big busines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Hp. 1> The effect of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nnovative behavior. <Hp. 2> The effect of systematic problem solving style i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innovative behavior. <Hp. 3> The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nnovative behavior. <Hp. 4>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nnovative behavior. <Hp. 5> The effect of perception about competitive pressure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nnovative behavior. <Hp. 6> The effect of demography of employee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nnovative behavior. <Hp. 6-1> The higher the degree of position is, the higher the degree of innovative behavior is. <Hp. 6-1> The higher the degree of education level is, the higher the degree of innovative behavior is. <Hp. 7>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and innovative behavior, task autonomy acts as a moderator. <Hp. 8>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atic problem solving style and innovative behavior, task autonomy acts as a moderator. <Hp. 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and innovative behavior, task autonomy acts as a moderator. <Hp. 1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innov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ask autonomy acts as a moderator. <Hp. 1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competitive pressure and innovative behavior, task autonomy acts as a moderat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supported that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attitude toward innovation, perception of competitive pressure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testing of hypotheses. The results found in the ANOVA indcate that the higher one s position in the firm is, the more innovative behavior occurs. It was provided that the higher one s education level, the more innovative bahavior expressed. (2) It was partially supported that task autonom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nd its antecedents. The task autonom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systematic problem solving style, attitude toward innov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While moderating effects in the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perception of competitive pressure and innovative behavior were not supported. From the standpoint of interactionist perspective, the person and the perceived environment are critical for innovative behavior. But the major source of innovation is the traits of individual. Task autonomy was inhibitor/promoter that could be managed through organizational design or managerial efforts. Key words: interactionist perspective, innovation, innovative behavior,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systematic problem solving style,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attitude toward innovation, perception of competitive pressure, task autonomy. ; 혁신은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혁신의 경제성 내지는 효율성이 주는 혜택 덕분에 선행연구자들의 혁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다양한 학문적 배경하에서 상당히 광범위한 조직을 대상으로 혁신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혁신연구의 양과 빈도에 비해 그 결과는 통합적인 이론적 틀을 제시할만큼 충분히 축적되지 못했다. 연구의 결과는 변수간의 양상이 혼재되어 있거나, 결과자체가 일관되지 못하며 단편적인 설명만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기업에서도 갖가지 이름의 혁신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으나, 실행결과는 좋지 못했으며 그 원인은 혁신의 내용을 충분히 설명해 줄만한 통합적인 모형의 구축을 통해 학문적으로 뒷받침해주지 못했다는데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 기업의 궁극적 목표인 이익은 그 원천 자체가 매우 동적이며, 급변하는 특성을 갖는다. 과거의 성공이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과거의 성공이 미래의 실패가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혁신 즉, 새로운 아이디어의 제시 및 실행이라는 주제는 현재 상태와는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기업에서 추구해야할 활동이며 종업원에게는 혁신할 수 있는 역량을 일깨워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경쟁우위에 필수적이고 종업원에게는 고무해야할 역량이 되는 혁신을 개인 차원에서 실천하는 점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종업원의 혁신적인 행동을 설명하는 원인변수들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려 하였다. 상호작용주의자(interactionist)의 관점에 따르면 어떠한 행동은 사람의 특질과 환경 특성이라는 두가지 요소에 영향을 받아 발생한다. 혁신적인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상호작용주의자의 관점에 따라 선행연구를 분류하면 모든 요인이 원인변수이다. 그러나 West & Farr(1989), O Reilly & Tushman(1997)의 견해는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들간의 관계를 보다 학문적으로 정립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데, 조직이라는 강력하거나 심지어는 강압적인 상황안에 있는 무기력한 개인들을 혁신행동의 주요 원인변수로 보자는 것이다. 종업원 측면에 중점을 두고 혁신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일종의 긍정적인 연구방향 정립이며, 그런 경우 혁신행동을 더욱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와 같은 관점에 입각하여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개인차원의 변수들로 문제해결 스타일,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질, 혁신에 대한 태도, 조직의 경쟁압력에 대한 지각을 중심으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종업원의 인구통계변수인 직급과 교육정도에 따라서도 혁신행동의 수준이 달라질 것으로 파악하여 이를 가설화하였다. 또한 조직의 과업설계 특징을 나타내는 조절변수로 과업수행시 부여되는 자율성 내지 자유재량권의 정도인 과업자율성이라는 요인을 고려하였다. 조절변수인 과업자율성의 정도에 따라서 혁신행동과 선행요인간의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나거나 더 약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내의 주요 6개 산업(건설, 자동차, 통신, 전자, 보험, 서비스 업)에 종사하는 12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354명의 종업원에게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수준에서 혁신적인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요인들, 즉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 리더-멤버 교환관계의 질, 혁신에 대한 태도, 조직의 경쟁압력에 대한 지각은 혁신적인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이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기한 선행변수가 혁신적인 행동의 42.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2=.426). 그러나 체계적 문제해결 스타일은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종업원의 인구통계 특성에 따라서 혁신적인 행동의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종업원의 직급이 높을수록 혁신적인 행동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종업원의 교육정도가 높을수록(대졸이상, 대졸이하) 마찬가지로 혁신적인 행동의 수준이 높았다. (3) 과업자율성의 고저(高低)에 따라 혁신적인 행동과 선행요인들간의 관계가 달랐다.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 체계적 문제해결 스타일, 혁신에 대한 태도는 과업자율성이 높은 경우에 과업자율성이 낮은 경우보다 보다 혁신적인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회귀분석(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결과 결정계수의 값이 증가했다. 그러므로 종합하면 기업의 인사관리 정책은 혁신행동의 발휘를 위해서 요구되는 과업자율성을 가능한 한 보장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업원의 특질에 우선권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원천을 구분함으로써 객관성 제고를 위해 노력했으며 상급자와 종업원의 인식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객관적 측정치로 조사한 혁신적인 행동의 통합적 모형을 한국적 상황에서 구축한 점도 본 연구의 의의가 된다. 혁신연구가 기술적 차원(기술혁신 위주), 심리적 차원(창의성 위주)에서 진행된 것에 비해 작업장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일반사무직원을 대상으로 관리혁신 차원에서 다양한 산업표본을 가지고 혁신행동을 설명한 것도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혁신행동에 대해 남아있는 변량을 설명하기 위해서 혁신과의 개연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변수를 포함하는 확대된 연구가 요구되며, 가능하면 보다 다양한 원천에서 혁신행동을 측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수준 ---------------------------------------------- 7 C. 논문의 구성 ----------------------------------------------------- 9 II. 이론적 배경 ----------------------------------------------------- 10 A. 혁신의 개념정립 ------------------------------------------------- 10 B. 혁신적 행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들 ---------------------------- 21 C. 문제해결스타일과 혁신적 행동에 관한 연구 ------------------------ 28 D. 리더-멤버 교환관계와 혁신적 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35 E. 혁신적 태도와 혁신적인 행동 ------------------------------------- 42 F. 조직의 경쟁압력에 대한 지각과 혁신적인 행동 --------------------- 45 G. 인구통계적 특성과 혁신적인 행동 --------------------------------- 49 H. 과업유형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52 III.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 64 A. 연구모형 -------------------------------------------------------- 64 B. 본 연구의 가설 -------------------------------------------------- 65 IV. 연구조사방법 ---------------------------------------------------- 67 A.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 67 B. 표본설계 -------------------------------------------------------- 75 C. 분석방법 -------------------------------------------------------- 82 V. 실증연구결과 ----------------------------------------------------- 83 A.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 83 B. 가설검증 -------------------------------------------------------- 87 VI. 결론 ------------------------------------------------------------102 A. 연구결과의 논의 -------------------------------------------------102 B.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112 C. 앞으로의 연구방향 -----------------------------------------------114 참 고 문 헌 ---------------------------------------------------------115 Abstract ------------------------------------------------------------133 설문지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708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개인 혁신 행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