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신-
dc.creator이상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0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0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91-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의 小說의 文體論은 어떤 문학쟝르에도 적용 가능한 일반적인 방법론에 근거를 두고 연구되어 왔다. 그것이 어떤 쟝르가 되건, 문학이란 ‘言語’라고 하는 기호를 매체로 하여 표현된 예술이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지니므로, 문체론의 궁극적인 목적 또한 ‘언어가 문학텍스트의 예술적인 기능과 어떤 관계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해명함에 있다’는 것이 문체론에 대한 지금까지의 통념이었다. 本 論文은, 소설의 문체론은 ‘소설’이라는 문학쟝르의 특성을 감안한 개별적인 방법론에 근거를 두고 연구되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시도되었다. 小說의 文體論에 대한 본고의 방법론 상의 의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항으로 요약된다. 첫째, 시 텍스트와는 달리 소설 텍스트는 다양한 발화의 주체들 간의 의사전달행위를 함축하고 있는 多聲的인 언어적 진술체이다. 그러한 까닭에 소설의 문체론은 당연히 소설 속의 ‘말(speech)’의 구조적 재현양상이 창출해내는 문제의 특성 분석으로 귀착되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말’이란 물론 추상적인 언어학의 대상으로서의 언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이고도 생동감 있는 실제적인 발화상황에서의 언어를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소설의 문제분석은 사실상 소설 속의 ‘말’의 분석이라기 보다는 소설 속의 ‘언어’이거나, 특정한 작가의 ‘언어’를 분석한 것에 가까웠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특히 소설을 ‘본질적으로 社會的이며 對話的’이라는 쟝르상의 개별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하여 소설 속의 ‘말’ 또한 그 작품이 쓰여졌던 당대의 사회·이념적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모될 수 밖에 없는 중요한 특성을 아울러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소설의 문체론은 추상적이며 獨白的(통일적 체계성)인 언어학적 층위에서 분석될 것이 아니라, 실제적이고도 구체적인 발화상황에서와 같은 引用語法(reported speech)의 층위에서 분석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둘째, 言語的 文體素들의 ‘詩的機能’이 문체분석의 최대의 범위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문체연구가 진정한 文學的 文體論이 될 수 있으려면 언어적 문체소들이 소설 속의 ‘말’의 구조적 재현양상과는 어떻게 관련되며, 그것이 소설텍스트 전체의 감동적 정서와는 또 어떻게 유기적으로 관련되는지를 총체적으로 아우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작품 전체성이 전다하고자 하는 중심 메시지까지도 읽어낼 수 있는 일종의 새로운 ‘텍스트 독해법’이 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효석의 문학적 특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중에서 문체의 특성이 차지하는 영역을 매우 깊고도 넓다. 그러한 까닭에 연구의 유형과는 상관없이 문체의 특성이 문제로 제기된다. 또한 이효석의 소설은「豚」을 기점으로 前期의 傾向的 小說과 後期의 純粹小說로 구분된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통념이었다. 그 결과, 문체 및 이야기의 구조적 특성도 전·후기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효석 문학의 본령은 후기소설에 있는 것이라고 하여 대부분의 연구가 후기소설을 중심으로 편향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논문은 문학의 記號論的 관점에서 이효석의 소설 중 특히 前期小說의 문체를 화법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그 분석결과를 근거로 효석의 전·후기소설은 사실상 상호 단절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 지속적 관계로 존재함을 문체론적으로 해명하였다. 여기에서의 ‘화법’이란 곧 소설 속의 말의 구조적 재현양상을 의미한다. 좀 더 엄밀한 의미로 말하자면, 소설 속의 말의 구조적 재현양상이 창출해내는 문체의 특성까지도 포괄하는 의미로 광범위하게 사용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語法, 表現技法, 이야기구조 등의 세 가지 言述의 층위에서「豚」의 문체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이효석의 소설을 전·후기로 구분짓게 하는「豚」의 轉移的 특성을 문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그 결과,「豚」은 언술의 표현과 의미의 영역이 일관성있게 조응됨으로써 이야기의 박진감 및 구성력을 확보한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즉, ‘繪畵的 文體’의 성향과 ‘多聲的 이야기’의 성향이 ‘열려진 문체’에 대한 ‘열려진 이야기’로 긴밀성 있게 조응됨으로써 이야기의 박진감과 구성력을 확보한 작품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전기소설의 화법적 특성을 引用語法의 층위에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그 결과를 후기소설의 그것과 비교분석하여 전·후기소설 상호 간의 지속적 계승과 변이의 관계를 문체론적으로 해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전기 소설텍스트의 표현기법을 聯脈的 技法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Ⅲ장의 결과인 인용어법적 문체의 특성과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종합하였다 .그리하여 전기소설의 형식적 표현영역의 특성을 문체론적 층위에서 총체적으로 해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전기소설의 이야기 구조를 意味論的 층위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시 Ⅲ,Ⅳ장의 결과인 언술의 표현적 특성과 어떻게 유기적으로 관련되면서 작품의 전체성에 통합되는지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였다. ; Up to the present time the stylistic analysis of novels has tended to be based on a general methodology which could be applied to all literary genres. As literature is a from of art which uses language as the medium, whatever the literary genre may be, the ultimate purpose of stylistics, i.g., the scientific relation of how language is structured with the artistic function of the literary tex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In this thesis I have tried to argue that the literary stylistics of novels must by analyzed on the base of an individual methodology which consider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genre, the ‘novel’. The methodological idea of this thesis is summarized by the following two facts. First, a novel text unlike poetry has a linguistic method of polyphonic statement through which is implied the behavior of communication among the characters various utterances. For that reason, the stylistics of novels, of course, should resolve itself into an analysis of literary style characteristics, which the structural representative aspect of speech in the novel creates. Speech here does not mean language as an abstract linguistic object, but means language in the concrete, vivid, and practical utterance situation. The literary style analysis of novels so far has been, actually, language analysis of novels rather than speech analyses. It is also not wrong to call in an analysis of an author’s word. Especially a novel retains its own characteristics, which are essentially social and dialogic in genre. Thus, speech in the novel maintains even thos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which vary according to the socioideological situation existing when the work written. Therefore, the literary stylistics leads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novel is to be analyzed more on a level with reported speech, like a practical and concrete utterance situation, than on a level of an abstract and monologic (monophonic system) linguistic situation. Second, the poetic function of linguistic style markers should not be the main category of literary style analyses. In a study of literary stylistics, how linguistic style markers are related to the structural representative aspect of speech in the novel, and how they are organically related with touching emotion, are to be mixed together and must act as a basis for a new kind of text reading method for grasping the main message of the whole matter of the work. As is generally known, though there are many elements that make up Lee’s literary characteristics, his literary style is wide and deep. For that reason,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style lead us to certain questions regardless of the type of analysis. It is a commonly accepted idea that Hyo-Seok Lee’s novel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rough his landmark work Don-a pig; his works in the first period show a trend toward KAPF (Korean Artists Proletarian Federation) and then toward pure novels in the later period. As a consequenc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literary style and recit should also be divided into the earlier and the later terms. And for the most part, research has shown a tendency toward looking mainly on the novels in the later period, which were expected Lee’s original works. From this viewpoint, this thesis dealt with Hyo-Seok Lee’s literary styles, based on the semiotic analysis of literature. This study explored primarily characteristics of reported speech of the literary style of the earlier novels. This thesis explained stylistically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rlier and the later novels was not broken, but was continuously coexiste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ose analyses. Reported speech here means the structural aspects of the representative speech of a novel, precisely speak, even it’s creativ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styles can be said the term used more inclusively. In chapterⅡ, the literary style of Don was analyzed on a level with reported speech, technique of expression, and structure of recit. Thus,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Don which divide Hyo-Seok Lee’s novels into the first period and the later period were examined stylistically. As a result, it is known to us that Don possesses the reality of recit and the power of construction which are seen consistently in the scope of expression and content of the work’s discourse. That is to say, as the tendency of pictorial style and that of polyphonic recit were coherently consistent with an open content open expression, it was explained that dual structural sides were not found between the surface and the inside. In chapterⅢ, the characteristics of reported speech of the earlier novels were analyzed on a level with reported speech.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ovels in the later period with the earlier results made clear stylist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istent succession and variation of the novel in both periods. In chapterⅣ, the technique of expression about the earlier novel text was pointed out mainly by characteristics of a cohesive technique. And the result as it related organically to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reported speech from chapterⅢ was synthesized. At the end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expressive domain were found, on the whole, on a level with stylistic matter. In chapterⅤ, the recit structure of the earlier novels was explained on a level with semantic matter. And how the results were related organically to the results of chapterⅢ·Ⅳ an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combined in the whole work were interpreted coll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問題提起 및 硏究目的 ---------------------------------------------- 1 B. 硏究方法 및 硏究範圍 ---------------------------------------------- 5 Ⅱ.「豚」의 記號論的 文體分析 ----------------------------------------- 16 A. 화법의 구조와 文體 ------------------------------------------------ 16 B. 텍스트의 反復과 變異 ---------------------------------------------- 30 C. 이야기의 구조와 機能 ---------------------------------------------- 41 Ⅲ. 話法의 구조적 특성 ------------------------------------------------ 55 A. 引用語法의 線型的 構成과 文體 ------------------------------------- 55 1. 相互依存的 引用語法 ---------------------------------------------- 55 2. 線型的 文體形式 -------------------------------------------------- 62 B. 이중목소리의 기능과 繪畵的 引用語法 ------------------------------- 69 1. 이질적 발화의 병치적 구성 ---------------------------------------- 69 2. 이중목소리와 회화적 구성 ----------------------------------------- 72 C. 話法의 變形과 對話體的 敍述 --------------------------------------- 79 1. 間接話法의 변형과 대화체적 서술 ---------------------------------- 79 2. 直接話法의 변형과 대화체적 서술 ---------------------------------- 86 D. 詩的 文體素의 기능과 言述의 다양성 -------------------------------- 90 1. 삽입시 와 言述의 다양성 ----------------------------------------- 90 2. 詩的 文體素의 기능과 二重構造的 특성 ----------------------------- 95 Ⅳ. 텍스트의 表現的 특성 ----------------------------------------------107 A. 形式的 反復과 聯脈의 繼起性 ---------------------------------------107 1. 形式的 반복과 表面的 연맥 ----------------------------------------107 2. 意味素的 반목과 繼起的 연맥 --------------------------------------110 B. 意味素的 反復과 聯脈의 連鎖性 -------------------------------------112 1. 形式的 반복과 連鎖的 연맥 ----------------------------------------112 2. 意味素的 반복과 指示的 연맥 --------------------------------------118 C. 隱喩的 反復과 聯脈의 긴밀성 ---------------------------------------121 1. 隱喩的 반복과 내면적 긴밀성 --------------------------------------121 2. 隱喩的 반복과 의미대립 기능 --------------------------------------123 D. 共示的 聯脈과 指示的 聯脈의 기능 ----------------------------------126 1. 共示的 연맥과 의미대립 기능 --------------------------------------126 2. 指示的 연맥과 상호텍스트적 긴밀성 --------------------------------129 Ⅴ. 이야기의 意味論的 특성 --------------------------------------------134 A. 核心行爲의 의미대립 기능 ------------------------------------------134 1. 行爲의 의미대립 구조 ---------------------------------------------134 2. 意味對立의 상호텍스트적 기능 -------------------------------------137 B. 空間的 意味項의 모티프 기능 ---------------------------------------138 1. 空間的 意味項과 핵심모티프의 기능 --------------------------------138 2. 空間的 意味項의 구조적 기능 --------------------------------------141 C. 用言敍述語의 敍事的 기능 ------------------------------------------143 1. 用言敍述語의 기능과 敍事的 전개 ----------------------------------143 2. 核心行爲의 의미대립 기능 -----------------------------------------146 D. 體言敍述語의 敍情的 기능 ------------------------------------------148 1. 體言敍述語의 기능과 敍情的 전개 ----------------------------------148 2. 敍情的 전개와 二重構造的 특성 ------------------------------------151 E. 詩的 文體素와 상호텍스트적 연맥의 기능 ----------------------------153 1. 詩的 文體素와 體言敍述語의 기능 ----------------------------------153 2. 상호텍스트적 연맥과 의미대립 기능 --------------------------------155 F. 상호텍스트적 意味對立의 기능 --------------------------------------158 1. 상호텍스트적 연맥과 이중구조적 특성 ------------------------------158 2. 상호텍스트적 의미대립과 이중구조적 특성 --------------------------165 Ⅵ. 結論 --------------------------------------------------------------169 參考文獻 --------------------------------------------------------------173 ABSTRACT --------------------------------------------------------------1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586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효석 문체의 기호론적 연구 : 전기소설에 나타난 화법의 특성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