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비공식 지지망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비공식 지지망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Authors
황미영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Doctor
Advisors
이정숙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support networks of the urban low-income elderl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ir structure and functioning. Firstly, with regard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l support networks, we can identify five network type by cluster analysis and show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eeds according to those networks. Secondly, with regard to the functioning of the informal support networks, we examine theoretical issues concerning relationship specialization and substitution which reflect the essential research themes of two competing perspectives; hierarchical compensation model and task specific model . 1. The major components of the urban low-income elderlies are less-educated, 65-74 years old women.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the abilities of daily living are worse, whose size of the networks are also smaller than the common elderlies. 2. A sample of 312 urban low-income elderlies in Ulsan is distinguished as five different informal support network types by K-means cluster analysis of the relational and intera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network. The derived informal support networks types are termed (1) the private restricted support network, (2) the family dependent support network, (3) the brother and neighbor support network, (4) the friend focused support network, (5) the diversified support network. The derived informal support network types also significantly differed on a collection of background, structural network variables and mental health-need variables. Their prevalent type of the informal support network structures is the private restricted support network , which has the lowest level of both numbers of proximate children and the friendliness with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formal support networ type can be helpful in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interpersonal environments among urban low-income elderlies. 3. The functioning of the informal support network of the urban low-income elderlies reveals the relevance of Cantor s hierarchical compensation model, for the immediate families such as spouse and children support them hierarchically regardless of the specific tasks. 4. If immediate families are not available to the elderly, the substitution of those supportive functions by the relatives is more frequent than the non-kin. Moreover, we can find that the substitution in the case of the instrumental tasks is more difficult than the case of emotional ones. 5. Relatively young male elderlies among others may be dispense with informal helpers. And the support norms focusing the first son are realized to the actual functioning of the informal support network.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ith respect to the social gerontology, this study empirically testifies the weakness of the relationship specialization and the existence of the substitution between immediate familes and relatives, which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hierarchical compensation model to the informal support network functioning for the urban low-income elderlies.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social work practices, we can predict the mental health condition, long-term care needs, and the personal environmental resources as well as the informal helpers of the elderly client group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es of the informal support network structures. ; 본 연구는 확대가족의 해체 경향 가운데 국가의 공적 부조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도시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노령기 지지과업의 원조를 책임져야 하는 비공식 지지망의 특성을 그것의 구조와 기능의 관련성 아래 경험적으로 해명한다. 먼저 비공식 지지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해서는, 저소득층 노인이 처해 있는 비공식 지지망의 구조적 양상을 경험적으로 유형화시켜 비교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별 해당 노인의 망 구조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욕구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각 유형의 노인이 일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배우자, 혈연, 친구, 이웃 등의 대인관계 자원들을 확인하고 이들과 유지하는 사회적 접촉의 패턴, 해당 노인의 위험정도, 망 유형내 고유한 지지의 잠재성 등을 관찰한다. 다음으로 비공식 지지망의 기능은 기존 연구들에서 중요한 주제인 관계전문화 와 대체 의 쟁점을 기초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노인의 비공식 지지망 기능에 관한 두가지 이론적 모형들, 즉 위계적 보완모델 과 특정 과업모델 가운데 어느 것이 우리나라 저소득층 노인에게 좀 더 적합한지를 검토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연구대상인 도시 저소득층 노인은 여성과 65-74세의 초기노인 세대가 많으며, 대부분 저학력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인 혼자 살거나 부부만 거주하는 가구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 한편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의식,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낮은 편이며, 우울도는 일반 노인에 비해 심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일반노인에 비해 저소득층 노인의 망 크기는 2배 가까이 작으며, 근접거주 자녀수와 자녀친밀도 또한 낮은 편이다. 둘째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비공식 지지망 구조를 유형화시킨 결과, 자기제한적 지지망이 가장 두드러지고 그 다음으로 자녀의존적 지지망, 친구초점 지지망, 분산된 지지망, 형제 및 이웃 지지망의 순서로 분포되어 있다. 각 유형별 망 구조의 특성을 볼 때, 망의 크기는 자기제한적 지지망이 가장 작으며, 분산된 지지망이 가장 크다. 자기제한적 지지망의 경우 자녀친밀도와 자녀의 지리적 거리 또한 가장 낮다. 또한 지지망 유형별 가구형태를 보면, 자기제한적 지지망의 경우 부부가구와 단독가구의 비율이 높은 반면에 분산된 지지망에서는 자녀 동거가구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와 함께 자기제한적 지지망의 노인은 다른 집단에 비해 우울을 좀더 많이 겪는 것으로 발견된다. 셋째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비공식 지지망 기능은 Cantor의 위계적 보완모델대로 지지과업에 상관없이 직접적 가족이 위계적으로 기능함을 보여준다. 즉 저소득층 노인의 비공식 지지망 기능은 지지과업별로 관계가 전문화되지 않고, 정서적, 도구적 지지과업에 상관없이 배우자와 아들, 딸 등 직접적 가족이 우선적으로 선택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직접적 가족 다음으로 친척과 비혈연 중에 어느 집단이 차선적인 원조자로 기능할 것인가를 알아 보면, 일상적으로는 비혈연의 원조가 좀더 많지만 적절한 원조의 차원에서는 친척의 역할이 더욱 크게 나타난다. 넷째 도시 저소득층 노인에게 직접적 가족이 가용하지 않거나 결함을 지닐 때, 친척이나 비혈연으로 지지기능의 대체가 발생하는지 분석한 결과, 배우자, 자녀, 형제친척, 이웃, 친구등의 위계에 따라 원조자가 원활하게 대체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배우자, 자녀등 비혈연에 의한 대체는 거의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원조자의 구성이나 최적 원조자 면에서 도구적 지지과업은 직접적 가족에 의존하는 정도가 더욱 커서, 정서적 지지과업에 비해 대체가 상대적으로 원활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욕구특성 요인은 비공식 지지망의 기능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비공식 지지망 구조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작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주목할만한 사실은 도시 저소득층 노인 가운데 남성, 젊은 연령층일수록 지지과업과 상관없이 원조자가 부재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다는 점이다. 이는 남성 노인이나 젊은 노인일수록 비공식 지지망으로부터의 지지 기능을 더욱 상실한 채 생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장남, 아들의 책임을 강조하는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부양규범은 아들을 원조자로 하는 모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1보다 큰 odds 값을 갖는다. 따라서 장남 위주의 부양가치관은 실제의 비공식 지지망 기능에서 현실화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먼저 이론적으로는 비공식 지지망 기능에서 관계전문화가 미약하고 직접적 가족과 친척의 대체가 뚜렷이 나타남으로써, Cantor의 위계적 보완모델의 적용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그런데 본 연구의 결과와 위계적 보완모델의 차이점은 혈연이 부재할 때 비혈연으로의 대체가 일어나지 않고 원조자가 없는 지지의 부재상황으로 이어진다는 데에 있다. 다음으로 실천적 함의로 중요한 것은 본 연구가 개발한 비공식 지지망의 유형을 통해 노인에 대한 비공식 원조자의 특성과 우울도 등 정신건강의 측면을 예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비공식 지지망을 유형화하기 위해 사용한 기준변수들과 더불어 이러한 망 유형들은 도시 저소득층 노인들의 대인환경 자원의 특성, 잠재적인 비공식 지지의 출처, 장기적 보호 욕구 등 사정하는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