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영-
dc.creator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46-
dc.description.abstract무용동작의 기술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무용현장에 적용하여 공연과 학습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할 이론적 토대 구축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는 기술적 무용동작 수행의 핵심적인 요인인 무용동작 기술성의 본질과 특성을 심리학적 관점, 특히 인지심리학에 기초한 정보처리이론과 물리생물학적 역동체계이론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다. 일반적인 동작의 기술성과 그 특징에 비추어 무용동작의 기술성과 그 접근방법을 서술하고 운동행동 심리학의 주류를 이루는 두 이론의 내용을 가설로 그 본질을 검증하는 실험결과를 지지근거로 제시하였다. 무용동작의 기술성은 구성요소에 비추어 시간요소의 시제화, 공간요소의 조형화, 힘요소의 역동화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동작의 기술성에 비추어 고도의 조직성, 목적지향성, 연습을 통해 학습된 항구성, 지속성, 일관성, 적응성, 독특성, 효율성, 심리적 상태와의 관련성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동작기술 생성과 습득기제와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심리학적 이론모형인 TOTE 모형, 폐환이론, 도식이론, Fitts의 3단계모형, ACT 모형, NODE 모형을 설명함으로써 plan 설정, 피드백정보에 의한 오차수정, 도식의 형성과 강화, 인지적-연관적-자동적 단계화, 서술지식-절차지식-전략지식 단계로의 이양, 감각분석 nodes와 근육운동 nodes, 그리고 정신적 nodes의 결합으로 무용동작 기술성의 본질을 설명하였다. 이상의 모형들은 인지심리학에 기초한 내용으로 그 이론적 기저가 되는 정보처리이론에서 프로그램으로서의 무용동작, 그리고 일반화된 동작 프로그램의 불변특성과 가변특성의 적정한 결합을 무용동작 기술성의 본질로 파악하였다. 또 물리생물학에 기초한 역동체계적 관점에서는 신체의 자유도를 목적에 적합하게 속박시킴으로써 적정한 협응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무용동작 기술성으로 설명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전문적인 무용수와 초보 무용수와의 수행을 비교하는 실험결과를 통해 각 이론의 내용을 경험적으로 지지할 수 있었다. 즉 정보처리적 관점에서는 무용수의 기술수준별로 기억구조적 측면과 제어구조적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이중과제기법을 통해 정보처리역량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역동체계적 관점에서는 무용동작과제의 특성이 변화함에 따라, 또는 환경적 수행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동작의 속박유형이 무용수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절각도를 측정함으로써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인지적 기억과 운동적 기억에 차이가 없었고, 기술수준이 낮을수록 인지적 기억에 비해 운동적 기억이 낮았다. 숙련된 무용수의 경우 오히려 인지적 기억에 비해 운동적 기억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무용동작 기술의 동작기술로서의 특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기술의 학습을 통한 자동화를 시사한다. 그리고 과제의 성격과 환경적 수행조건이 달라짐에 따라 관절각도로 조작된 속박유형이 기술수준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무용동작 기술성의 역동체계적 관점에서의 해석이다. 즉 과제특성에 따른 기술수준별 속박유형에도, 수행조건에 따른 기술수준별 속박유형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초보자의 경우 barre의 유무라는 환경속박에, 그리고 숙련자의 경우 과제특성별 속박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무용동작의 기술성에 있어 적응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적정한 속박유형을 기술성의 본질로 설명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심리학적 관점의 주요이론인 정보처리이론과 역동체계이론에서 각각 적정한 동작프로그래밍과 적정한 속박유형을 무용동작 기술성의 본질로 파악하고 있으며 차후 각 이론에서 해결되지 못한 문제점을 보완한 다양한 기자재와 과제 등을 활용한 기법을 동원하여 무용동작 기술성의 본질을 검증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the core determinants of dance performance, i. e., the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s, based on two contrasting psychological theorie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Exp.Ⅰ), human being assumed to be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alyzes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ensory systems and thereupon select an appropriate response and then program it into a structured movement to meet the environmental need. In contrast, the dynamic system theory (Exp.Ⅱ) assumes that human being is a self-organizing system and thereby, control the numerous degree of freedom inherent in the system via organismic, task, environmental constraints to form a coordinative structure which is designed to conform to the task demands. Thre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Exp.Ⅰ): 1) cognitive and motor memories of experts would be better than those of novices; 2) cognitive and motor memories of experts would not be different as the task condition varies; 3) cognitive and motor memories of novices would be different as the task condition varies. To test these hypotheses, ballet enchainement movements were used as experimental tasks. Thirty two subjects(16 experts and 16 novices) were required to perform cognitive and motor memory tasks in 2(skill level)×2(task condition)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ask. Two-way ANOVA on the data revealed that :1) the main effect of task condition was significant in cognitive memory, but it was nonsignificant for skill level; 2) the main effect of skill level was significant in motor memory but it was not for task condition; 3)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kill level and task condition were shown to be nonsignificant; 4)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kill level and task condition were also shown to be nonsignificant. Based on the dynamic system theory(Exp.Ⅱ),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1) constraints used by experts would differ as a function of movement type; 2) constraints utilized by novices would not be different as a function of movement type; 3) constraints employed by experts would not be different as the environment condition varies; 4) constraints used by novices would be different as the environment condition changes. To test these hypotheses, ballet movements(fondu developp devant en flat, fondu developp devant en relev, fondu developp devant en saut) were used. Twenty four subjects(12 experts and 12 novices) were required to perform three ballet movements with and without barre in 2(skill level)×2(movement type)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movement type.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movement type disclosed that: 1) the main effects of skill level as well as movement typ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when barre was used; 2) the main effects of skill level and movement typ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when barre was not used; 3)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kill level and movement typ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when barre was used; 4)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kill level and movement typ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when barre was not used. In conclusion,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s is viewed to be an outcome of properly combining the invariant features and variable parameters of generalized motor program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whereas, in dynamic system theory, the essence of skillfulness of dance movements resides on the autonomous specification of deep structure with surface features of coordinative structure.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dance performance, dance education, and dance appreciation would be facilitated much more through further future researches with technical diversity and application of more scientific devices for valid measurement, so that dancers, choreographers, educators and audiences can play their respective roles efficient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 목 차 ------------------------------------------------------------ ⅳ 도 목 차 ------------------------------------------------------------ ⅴ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가설 ------------------------------------------------------------ 5 D.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무용동작 -------------------------------------------------------- 7 1. 무용의 이해 ---------------------------------------------------- 7 2. 무용동작의 개념 및 분류 ---------------------------------------- 9 3. 무용동작의 구성요소 -------------------------------------------- 11 B. 무용동작의 기술적 특성 ------------------------------------------ 15 1. 동작기술과 기술적 동작 ----------------------------------------- 15 2. 무용동작의 기술성 ---------------------------------------------- 16 3. 무용동작 기술성의 심리학적 접근 -------------------------------- 22 C. 정보처리이론 ---------------------------------------------------- 29 1. 정보처리단계(과정) --------------------------------------------- 29 2. 프로그램으로서의 무용동작 -------------------------------------- 31 3. 정보처리역량 --------------------------------------------------- 33 D. 역동체계이론 ---------------------------------------------------- 37 1. 자율조직현상 --------------------------------------------------- 38 2. 자유도와 속박유형 ---------------------------------------------- 40 3. 협응구조 ------------------------------------------------------- 41 Ⅲ. 실험 Ⅰ: 기술성의 정보처리적 속성 실험 -------------------------- 43 A. 연구방법 -------------------------------------------------------- 43 1. 피험자 --------------------------------------------------------- 43 2. 과제 및 설계 --------------------------------------------------- 43 3. 절차 ----------------------------------------------------------- 48 4. 분석 ----------------------------------------------------------- 48 B. 결과 ------------------------------------------------------------ 49 1. 인지적 기억 ---------------------------------------------------- 49 2. 운동적 기억 ---------------------------------------------------- 51 C. 논의 ------------------------------------------------------------ 52 Ⅳ. 실험 Ⅱ: 기술성의 역동체계적 속성 실험 -------------------------- 54 A. 연구방법 -------------------------------------------------------- 54 1. 피험자 --------------------------------------------------------- 54 2. 과제 및 설계 --------------------------------------------------- 55 3. 절차 ----------------------------------------------------------- 55 4. 분석 ----------------------------------------------------------- 56 B. 결과 ------------------------------------------------------------ 56 1. barre가 있는 경우 ---------------------------------------------- 57 2. barre가 없는 경우 ---------------------------------------------- 59 C. 논의 ------------------------------------------------------------ 62 Ⅴ. 종합논의 -------------------------------------------------------- 64 Ⅵ. 결론 ------------------------------------------------------------ 68 참고문헌 ------------------------------------------------------------ 71 영문초록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179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용동작의 기술성에 관한 심리학적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