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종남-
dc.creator조종남-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6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9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임신 말기에 양수내 prostaglandin(PG) F_2α 및 PG E의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는 동시에 아울러 진통시의 PG 농도의 변화 및 진통과의 관계를 규명코저 하였다. 즉 합병증이 없는 만삭 임부 80예를 대상으로 하여 진통 시작 전의 임부 및 자궁수축 자극검사군의 임부에서 PG F_2α 및 PG E 농도의 변화, oxytocin 유도진통군과 자연진통군과의 비교, 자연진통시 자궁경관 개대별로 본 PG F_2α 및 PG E 농도의 변화를 연구였다. 양수내의 PG F_2α 및 PG E 농도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한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 말기에 있어서 진통 시작전 양수내 PG F_2α농도는 평균 1.09±0.27ng/ml로서 비교적 일정하였다. 이 농도는 임신 주수가 증가 할수록 38~40주 간에서는 상승하고, 41~42주 간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PG E 농도의 임신 주수별 변화의 경향도 PG F_2α 농도와 유사하였다. 2. 자궁수축 자극검사(Contraction stress test)후의 양수내 PG F_2α 및 PG E 농도는 임신 말기 또는 대조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로서 단시간의 자극 즉, 자궁수축 자극검사는 유도분만과 다르며 확실히 구별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3. 만삭 진통 제 1기초(경관 확대 3~4cm)에 있어서 양수내 PG F_2α 및 PG E 농도는 자연진통군이 oxytocin 유도군에 비하여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양자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요컨데, 양수내 PG 농도의 상승은 일정한 자궁수축 즉, 진통이나 자극에 기인된다고 보며 자궁수축을 유발시키는 촉매적인 요소는 되지 않는다고 추정되었다. 즉, 자궁수축 유발의 직접 원인은 따로 있을 것으로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암시된다. 4. 양수내 PG F_2α 농도는 자연진통 제 1기 전반에 걸쳐서 경관확대의 정도가 증가 할수록 현저하게 상승하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PG E 농도에서는 경관 확대에 의한 상대성 상승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요컨대, PG F_2α는 진통 즉, 자궁수축에 있어서 확실히 PG E 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라고 추정된다. 진통이 일단 유발된 후에는 양수내 PG F_2α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경관의 신전, 성숙(ripening) 또는 자궁수축의 정도가 증강될 것이라고 추정된다. ; In this study prostaglandin F2α and PGE concentrations in amniotic fluid during the late pregnancy of 38-42 weeks and different types of labor such as contraction stress test, and induced or spontaneous labor have been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Eighty subjects of normal term gravidas were studi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concentration of PGF_2α in amniotic fluid at term was 1.09±0.27ng/ml, being relatively constant. Although there was a tendency of a progressive rise in PGF_2α during 38-40 weeks with gestation advanced and of a fall thereaft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Profiles of PGE concentration with gestation advanced were similar to those of PGF_2α. 2.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PGF_2α and PGE concentrations in amniotic fluid between the short stimulation or contraction stress test and control groups. 3. Both PGF_2α and PGE levels in amniotic fluid at early part of labor(cervical dilatation 4 cm or 3) during onset of spontaneous labor seemed to be higher than those during the oxytocin induced labor, although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Concentration of PGF_2α in amniotic fluid at 1st stage of labor was significantly raised with advancing degree of cervical dilatation,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PGE levels.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PGF_2α, compared with PGE, plays a major role in view of parturient aspect and once labor is initiated, PGF_2α increment in amniotic fluid facilitates ripening of uterine cervix and uterine contr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대상 및 방법 ----------------------------------------------------- 4 A. 대상 ------------------------------------------------------------- 4 B. 양수 채취 -------------------------------------------------------- 4 C. 양수내 PROSTA GLANDIN 농도의 측정 -------------------------------- 4 Ⅲ. 결과 ------------------------------------------------------------- 7 A. 임신 말기 양수내 PROSTA GLANDIN 농도 ----------------------------- 7 B. 자궁수축 자극검사시 PROSTA GLANDIN 농도 -------------------------- 7 C. OXYTOCIN 유도와 자연진통시 PROSTA GLANDIN 농도 ------------------- 7 D. 자연진통시 자궁 경관 확대에 따른 PROSTA GLANDIN 농도 ------------- 8 Ⅳ. 고찰 ------------------------------------------------------------- 14 Ⅴ. 결론 ------------------------------------------------------------- 19 참고문헌 ------------------------------------------------------------- 21 논문초록 ------------------------------------------------------------- 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27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임신 말기 및 진통시 양수내의 prostaglandin F₂α와 prostaglandin E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