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1 Download: 0

한국 근대 서양인 顧問官 연구

Title
한국 근대 서양인 顧問官 연구
Authors
김현숙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Korean goverment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employed the expertise of foreign advisers and technicians in searchr for "wealth and power" and diplomatic equality with the West. Some of them played an active role in adopting modern diplomacy, institution and techniques but others acted as an infiltrator of foreign aggression. There are, however, limited studies concering their activities in the current Korean historiography.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roles played by them in the modernization and in the penetration of the imperialistic countries to Korea. To achieves in Korea were closly examined. Those are Paul G. von Mollendorff, O.N. Denny, J. McLeavy Brown, C. W. LeGendre, C. R. Greathouse and F.W. Sands. The Korean government drafted necdssary advisory regulations and policy after Mollendorff s employment and established their final form after the Kapo Reformation. In the early stage, there was no formal advisory posts and full charge of administrative works. In the later stage, advisory post, thus all the foreign empliyees were given traditional Korean official posts and full charge of administrative works. In the later stage, advesory posts appeared in the official system but as Kaps Reformations were strontly influenced by the Japanese, certain means of imperial infiltration was connotated in the advisory laws and contracts. The Korean government wanted the advisers to contribute in the modernization and to frame foreign policy with their special experience and knowledge, but also expected them to act as a check mate of Sino-Japanese infiltrations and abduct advisers father-lands as allies to Korea. As Korea was lacking of modernized officials, the government vested them full powers to administer and supervise the newly founded modern organizations. Due to these policies, the foreign advisers acquired political characters rather than pure advisory capacity. On behalf of Korean officials who were lack of western international legal knowledge, the advisers took in charge of consulting and concluding commercial treaties with the western countries and settling international disputes. Some acted in favor of foreign countries but others faithfully followed the orders of the Korean govirnment and gave appropriate legal advice. These kinds of advice surely helpee in modernizing the Korean foreign policy. The foreign advisers were appraised in oprating the modern institution successfully, by adopting modern managerial skills. But in reality, they contributed to the economic infiltration of the imperialistic countries. As in the case of J. McLeavy Brown, the government entrusted him wuth broad authority needed in the management of Financial Deparment and Maritime and Maritimd Customs. However, the Maritime Customs opeuated independently and refused to receive orders from the Financial Department and King Kojong, By using the right of disposal of customs duties, Brown blocked the French and American loan, and purposely extended the period of Dai Ichi Bank s right to receive customs duties, circulated Japanese suamped silver coin and unauthorized Dai Ichi Bank s notes. It benefited Japan in establrshing solid base in ets monetary field. As an other example, for Finance Department, by the dint of retrenchment policy in finance, Brown saved two million won which was used in paying back the Japanese loan bofore the due date. He faithfully followed the British foreign policy to blockade the Russian loan. He also used the national treasury funds for private purposes. The advisers acted like private staffs to King Kojong and therefore the brain pool in making policies for the King and acting as a buffer against foreign aggressions. They confronted against the Chinese protectorate scheme and proved legally that Korea was an independent country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w. And they guarded the King after the asassination of Queen Min and defended monarchial authority against the Independence Club s civil movement. Moreover they co-operated in proclaiming the Korean National Constitution which bestowed full power to the King. The foreign policy of the advisers could be surmised as a balanced power treaty system. It was to certify the Korean independence by breaking the traditional legal Chiness foreign system(華秩序). By applying the western international legal system and abducting super powirs to balance the Sino-Russo-Japanese infiltration. But in reality, they led pro Russo-American policy, which wa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most advisers were recruited from America. This foreign policy proved limitations as none of the countries stood by Kore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This made the advisers to support concession policy and foreign loan policy, which were designed to inducd foreign powers and make them buffers against the Japanese Russian influences. The advisers also proposed the neutral policy to maintain national sovereignty and territorial autonomy. This plan can be surmised as the Belgian type permanent neutrality under the joint guarantee of super powers. But the main characterics of this policy was that the foreign powers intended to take leading parts in guaranteeing neutrality, in return they tried to gain the right to conduct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reform in Korea. They ignored the possibility of economic dependency to the western powers. Thus we could conclude that the advisers tried to secure the Kordan territorial autonomy and the national sovereignty but allowed heavy western influencd which will eventually lead Korea to a semi-colonial state like Chin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Due to this basic position, they explained unequal treaty and the international law as a guarantee of Korean independence. The advisers asserted capitalistic ecocomic development programme based on the western mode. They advocated the abolition do traditional caste system to create modern free labor force. They wanted to revise the land tax lsw to alleviate the distress of people and at the same time ensuring receipt of sufficient revenue to meet the goverment expendituries. They also asserted the needs of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commercd and industry,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modern firms. They insisted upon in getting foreign loan to provide social infra-structure such as the development od mineral resources, construction of roads and railways, construcion of electricity and water works, reformation of new currency and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banking system. In the realization of these economic plans, they strongly asserted on opening the Korean market and economy through the unepual treaty system. The advisers reduced customs duties from 10-30% to lowest 5% valorem, opened other new ports, opened financial and monetary system, attracted foreigh investment, westernized Korean custom office and tured to construct new roads and railways. They strongly stood against monopolizing the Kordan market and resources and insisted upon free trade. They also mediated foreign loans to modernize the country. But in the course of this, they insisted on establishing financial institution likd the one in Egypt and Turkey, which will take full charge of the funds and lead the Korean reforms and modernkzstion. From this point we could get the rdal insight of the advisers econmic policy. That they illustrated commercial concession and open market as modernization, moreover by acquiring foreign loan, they planned to lead and control the Korean economy. This naturally represents western capitalists interests and eventually leads to semi-colonial state. The advisers participated in concession business and asserted necesities through their political and econoical plan as they worked for the foreign and trade departments. In return for getting loans, they helped the western capitalist to acquire concessions. They were behind the scene and introdyced the Korean officials to the concession seekers and helped them acquiring the ri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advisers and the foreign delegates was a knid of symbiotic relations. The advisers represented and secured foreign delegation interests in return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ir advisership and power. They were regarded as representatives of their own legations.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delegates also used them as a channel to influence their powers and interests. Overall we could conclude, the foreign advisers to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played as stimuli in Korean modernisation in cdrtain aspects and secured the Kordan territorial rights. However, in the respect of their political and economical policy, they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infiltration and colonization of Japan and western powers. ; 구한말 조선정부의 근대화 정책과 주권수호를 위한 국정개선 추진에 따라 중앙 행정부처에 서양인 고문관들이 고빙되었다. 고문관들의 자문을 통하여 조선외교는 근대체제로 전환되기 시작하였고 서구문물제도가 도입·개선되는 효과를 거두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을 통하여 제국주의 세력이 침투하는 결과도 초래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고문관들의 총체적인 성격을 규명하기 위하여 구한말 조선정국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주요 서양인 고문관, 묄렌도르프(P.G. von Mollendorff), 데니(O.N. Denny),맬리비 브라운(J. McLeavy Brown), 러젠드르(C.W. LeGendre), 그레이트하우스(C.R. Greathouse), 샌즈(W.F. Sands)에 대한 실증적인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특성들을 도출 해 낼 수 있었다. 조선정부는 고문관을 고빙하면서 고문직에 대한 법적 규정과 함께 고문관정책을 마련하였다. 정부는 고문관의 지식과 경험을 활용한 조선의 근대화 및 대외교섭문제 처리 등 기술적인 면도 중시하였지만 이들을 이용하여 청국 및 일본을 견제하고자 하였고 고문관의 모국을 조선의 우방으로 유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부는 자체적인 근대관료를 배출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으므로 고문관들에게 행정부서를 운영하고 감독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였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은 조선의 고문관들로 하여금 실무자 및 감독관으로서의 특성과 정치고문관으로서의 특성을 띄게 하였다. 고문관들은 언어 및 국제법에 어두운 조선관리들이 전담하기 어려웠던 여러 실무들, 즉 각종 조약의 협상 및 체결과 국제적인 분쟁사건에 트입되어 조선정부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또한 이들은 조선정부를 대신하여 외국과의 국제법 논쟁을 이끌었고 조선이 국제법적으로 독립국가임을 논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밖에도 정부의 정책 입안자들에게 세계 여러 나라의 사례 및 실무 경험들과 개혁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정책결정에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고문관들의 실무·자문 활동은 조선외교의 근대적 업무체제 확립과 독립수호에 기여하였다. 고문관들은 조선관리들이 자체적으로 설립·운영하기 어려웠던 정부 산하기관을 맡아, 이 기관의 운영에 근대적 경영기법과 엄격한 감독체제를 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고등재판소는 근대식 재판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운영되었다는 호평을 받았으며, 해관과 탁지부도 관리들의 부정없이 효율적인 경영체제로 운영되어 수입이 증가 되었다. 이러한 성과의 이면에는 정부기관들이 제국주의 국가의 침투로 역이용된 측면도 있었다. 해관과 정부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서양인들에 의하여 독자적인 운영되는 半植民地的인 外人機關化 되었다. 맥리비 브라운은 관세수취권을 빌미로 이용익의 차관도입을 저지 시켰으며, 제일은행의 해관세 예치권 연장, 차관제공 독점권의 유보, 일본의 刻印付門銀 및 제일은행권의 유통 등 일본의 경제 및 화폐침투에 일조하였다. 탁지부의 200萬元 잉여금도 영국의 동아시아정책에 따라 러시아 차관을 저지하기 위해 일본차관을 조기 상환하는데 충당되는 등 외세의 이해관계를 위해 이용되었다. 고문관들과 고종의 관계는 일종의 측근 참모로서의 관계였다. 고문관들은 고종의 정책과 그들의 이용가치에 따라 권력의 핵심에 진입하기도 했다가 퇴출당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치외법권을 향유하는 서양인이라는 신분을 이용하여 주로 대외적인 위기에 맞서 고종을 지원하고 정권을 안정시키는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그들은 고종의 군주권 강화를 위한 논리를 제공하는 군주권을 수호하였다. 고문관들은 서양과의 조약체결을 통해 전통적인 華夷秩序의 질곡으로부터 조선을 萬國公法的인 세계질서에 편입시켜 독립을 확인받고, 조약체결국들의 세력을 유인하여 청·일·러를 견제한다는 다변회교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다변외교가 청일전재을 통해 한계를 노정하자 그들은 이권외교정책과 차관외교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는 이권양여와 차관도입을 통해 구미열강들과의 경제적인 유대관계를 강화시쿄, 조선이 위기에 처하였을 때 자국의 이익 수호를 위하여 열강들이 개입하여 조선의 독립을 수호하여 준다는 것이었다. 또한 고문관들은 조선의 영토를 보장받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조선의 중립화안을 제시하였다. 그들의 중립화안은 대체로 벨지움형인 열강의 공동보증을 전제로 한 영세중립화 방안으로 집약된다. 이 중립화안의 특징은 열강들이 이해조정의 주도권을 쥐며 중립화를 보증하는 대가로 열강들로 구성된 협의체가 조선의 정치·사회·경제개혁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조선의 예속화는 간과되었다. 따라서 고문관들의 외교정책과 중립화안을 연결지어 볼 때 이들이 목표로 하는 자주독립국가라는 것은 결구 열강의 세력균형 속에서 영토주권만 가질 뿐 정치·경제적 자립의 완전한 주권국가의 형태는 아니었다. 이와같이 고문관들은 조약질서의 유지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조선의 불평등조약을 조선의 독립을 보증해 주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만국공법에 대한 환상을 심어주었던 것이다. 고문관들은 서구를 모델로 한 자본주의 경제개발정책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신분제의 타파를 통해 자유로운 노동력을 창출하고 지주제를 온존하는 가운데 부분적인 조세경감과 수취체제의 개혁을 통해 봉건모순을 해결하려 하였다. 그들은 회사의 설립을 권장하고 상공업과 무역의 육성을 촉구하였으며, 경제개발을 위한 자금 유치를 위해 해외차관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이 자본으로 산업기반시설응 조성하고, 화폐를 개혁하고 국립은행을 설립하여 근대적인 경제기반을 구축한다는 안을 제시하였다. 고문관들의 경제개발안의 초점은 수출 확대를 통한 국부증진이었다. 고문관들은 이러한 경제개발안을 실천에 옮기는 작업으로 관세율의 인하, 개항장의 추가 개방, 금융·화폐의 개방, 해외자본의 유치, 해관의 外人機關化, 국내외 교통·운송망 건설등을 추진하였다. 고문관들은 근대화 이행의 자본확보를 위하여 해외차관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차관도입안에는 차관을 관리할 일종의 재정위원회를 열강의 주도로 구성하여 이 위원회에서 조선의 개혁과 갭발사업을 주도·장악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안은 서양 자본가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조선경제의 예속성을 심화시키는 것으로서 조선정부의 자주적 근대화 의지와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따라소 고문관들의 정치·경제의 요체는 조선의 영토와 통치권은 보장하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서구에 예속된 경제구조를 유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서양인 고문관들은 국내외 외교·통상문제를 담당하면서 필연적으로 이권업무에 관여하게 되었다. 고문관들의 이권알선은 공개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그들의 경제 개혁안을 통하여 이권 사업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차관도입을 통하여 그 반대급부로서 이권을 알선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들은 이권을 획득하려는 외국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조선인 담당관리들을 소개시켜 주었다. 또한, 고종에게 이권 양여의 필요성을 설파하고 비공식적으로 청원하는 보조역도 맡았다. 고문관들은 이권 알선의 대가로 중개역인 조선 측 관리들과 함께 비자금을 수수하였다. 서양인 고문관들과 열강과의 관계는 공생관계였다. 외국 공사관과 외국인들은 고문관의 지위와 금전적인 이득을 보호·제공하여 주었으며, 고문관들은 이의 대가로 그들의 이해를 대변해 주었으며 관련 정보를 제공하였다. 고문관들 스스로도 자신들이 자국 공사관의 대리자로서 행동하려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각국공사들 또한 고문관들의 고문직 임명에 기여하고 그들의 직위를 보호해 주면서 고문관들은 국내정치 침투의 기반으로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서양인 고문관들은 조선정부에 고용된 직업인으로서 조선의 근대화및 주권 수호에 일정한 자극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외국이라는 한계와 제국주의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외세와 결탁하게 되었고, 정치·경제적으로는 조선의 영토와 통치권은 보호하되 서양이 주도하는 예속 근대화를 조장하였다. 조선정부가 서양인 고문관 고빙을 통하여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은 정부의 근대화에대한 의지와 분명한 목표설정 그리고 개혁을 추진할 확고한 정치력의 부재로 인하여 고문관들을 효율적으로 경영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