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의사결정 과정 분석

Title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의사결정 과정 분석
Authors
안미숙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의 직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의 구체적인 사례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 상이한 입장을 취하는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에 비추어 분석해 봄으로써, 각각의 관점이 실제 교육과정 개발의 어느 측면을 어느 정도 설득력 있게 설명해 주고 있는 지를 살펴 본 연구이다.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통적 관점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제반절차를 포괄적으로 일관성 있게 설명해준다는 측면에서 하나의 체계적, 과학적, 합리적 접근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교육과정 개발 현상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실질적인 지침도 줄 수 없다는 접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와서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대안적 과점이 제시되어 왔고, 이러한 관점은 나름대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방법적 원리는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안적 관점이 전통적 관점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또한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에 있어서는 여전히 전통적 관점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이 각각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를 얼마나 잘 설명해주고 잇는지의 문제를 교육과정 개발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바로 이 연구의 과제이다. 이 연구에 있어서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의 내용 및 특징은 각각 타일러 모형과 워커모형을 중심으로 하여 규정하였다.‘전통적 관점’은 실증주의적 접근을 기초로 하여,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을 기술 공학적인 절차와 단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합리적인 과정으로 이해 한다. 이에 비해‘대안적 관점’은 주관주의적이거나 상대주의적 접근을 기초로 하여, 교육과정 의사결정을 그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정치적인 이해 관계의 조정에 의해 이루어 지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전자의 경우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원리를 합리성 또는 규범적 적절성으로 특징지울 수 있다면, 후자의 경우 그것은 실제성과 정치성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이 연구의 구제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직업기술 교육과정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는가? 둘째,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대한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에 비추어 볼 때, 한국의 직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의사결정의 근거는 어떻게 특징 지워질 수 있는가? 셋째,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대한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에 비추어 볼 때, 한국의 직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의사결정의 방법 및 절차는 어떻게 특징 지워질 수 있는가? 넷째, 한국의 직업기술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분석의 결과가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의 타당성 및 제한점을 밝히는 데에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2·1 체제』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게 적합한 새로운 교육과정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의 특징을 기술하는 데에는 참여 관찰 및 문서자료의 분석에 의한 현상의 기술 방법과, 참여자와의 면담을 통한 현상의 기술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이중에서도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발에 집적 참여한 인사들과의 면담내용을 분석의 주된 대상으로 삼았으며, 다만, 필요 시 각종 기록 및 문서 자료를 함께 활용하였다. 면담 결과는 본 연구사에 의해 개발된‘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의 분석 준거’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이 분석 준거는 교육과정 의사결정 측면을 크게 의사결정의 근거 측면과 방법 빛 절차의 측면으로 구분하고 각 측면별로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이 취하고 있는 입장을 비교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분석 방법은 면담 결과를 그 내용에 따라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위주로 하되, 면담 대상자의 전반적인 견해를 파악하기 위해 양적 분석을 동시에 시도하였다. 면담내용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드러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목표의 우선성과 구체성은 그 수준에 따라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으로 각각 설명된다. 둘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목표는 전과정을 통해서 변하고 수정되면서 일관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목표의 일관성 정도는 대안적 관점으로 더 잘 설명된다. 셋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에서 목표는 의사 결정자들에 의해 각각 다르게 이해되면서,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근거로서 불확실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목표에 대한 이해와 역할은 대안적 관점으로 더 잘 설명된다. 넷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목표와 내용 선정에는 객관적인 자료로서 직무분석 자료가 많은 참고가 되기는 하였지만 의사 결정자들의 주관적인 경험, 가치 및 선호, 전통 등이 결정적인 근거가 되었다. 따라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목표와 내용선정의 근거는 대안적 관점으로 더 잘 설명된다. 다섯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는 체계적인 절차가 존재하였지만 그 실제적인 진행은 의사결정의 쟁점에 따라 절차에 준해서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역동적으로 진행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의사결정의 체계성은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으로 각각 설명되는 측면이 있다. 여섯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는 목표의 달성 정도와 관련된 평가가 수행되지 않았고, 의사 결정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교육과정이 최종 결정되었다. 따라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평가의 역할은 대안적 관점으로 더 잘 설명된다. 일곱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의 의사 결정자들은 그들의 전문성에 근거하여 선정되었지만 의사결정 쟁점에 따라서 그들의 역할과 권한이 한정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의사결정자의 역할과 권한은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으로 각각 설명되는 측면이 있다. 여덟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는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대체적으로 외부의 압력 없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 졌다. 따라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의사결정의 성격은 전통적 관점으로 더 잘 설명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의 주요 특징의 의미를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의 특수성에 비추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은, 교육과정 정책이나 개정의 취지가 매우 실제적이고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전반적인 과정에는 『공고 2·1 체제』교육긔 목표가 그 근거로서 큰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고 끊임없는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나는 공고 교육의 새로운 체제로서 『공고 2·1 체제』에 대한 학교와 산업체 현장의 부정적이고 회의적인 반응과 관련된 것이다. 즉, 『공고 2·1 체제』교육긔 목표에 대해서는 현장으로부터 끊임없이 의문이 제기되었고 새로운 체제의 방향설정으로서 목표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었던 것이다. 또 하나는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각 학과별 의사결정자의 다양한 배경과 관련된 것이다. 의사결정 참여 인사들은 학교, 학계, 산업체, 교육행정 등 각 분야의 전문가로서 각기 나름의 독자적인 입장을 갖고 있으며 그 결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제기되는 각종 쟁점에 대한 의견 절충이 특히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체적인 쟁점이 논의도리 때마다 보다 근원적인 것으로서의 상위수준의 목표가 자주 거론되었고, 그 목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또는 그 목표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어떤 방향으로 접근할 것인가에 관한 논란이 많았던 것이다. 둘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이 직무분석 자료를 근간으로 하여 개발되었다는 사실은, 특히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의 목표와 내용 선정의 근거 를 전통적 관점에 의해 해석하도록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의사결정의 근거 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에 있어서는 오히려 대안적 관점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는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의 근거로서 전통적 관점에서 언급하는 원천들은 그 자체로 의사결정의 근거가 된다기 보다는, 오히려 의사 결정자들의 주관적인 견해에 따라 해석되어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개발의 전반적인 과정은 상당히 융통적이고 자율적이었다. 따라서 『공고 2·1 체제』교육과정 의사결정은 외부의 압력에 의하기 보다는 전통적 관점이 설명하는 대로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쟁점에 따라서는, 특정 개인이나 주관하는 측의 주도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진 경우도 있었다. 이점은 특히, 최상위 수준의 목표인 『공고 2·1 체제』교육의 목표가 교육과정 개발의 초기단계부터 정부수준에서 결정되었고, 그 목표 자체에 대해서는 근본적인 회의나 논란이 허용되지 않았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즉 비록 자율성과 융통성, 그리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허용되기는 하였지만 그것은 교육과정 개정을 주관하는 정부기관이 설정한 제한된 범위 안에서의 자율성과 융통성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와 검토를 기초로 본 연구가 일반적인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의 교육과정 개발과정을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이는 곧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는 두 관점에 의해 각기 설명될 수 있는 상이한 측면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관한 두 관점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상반되는 관점으로 보기 어렵다.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은 전통적 관점 또는 대안적 관점으로 각각 설명될 수 잇는 측면이 있을 뿐 아니라 두 관점에 의해 동시에 설명될 수 있는 측면도 존재한다. 이점에서 교육과정 의사결정에 관한 두 관점은, 하나의 관점이 다른 하나의 관점을 대치할 수 밖에 없는 상반되는 관계라기보다는, 오히려 의사결정의 상황에 따라 상호 보완적인 설명을 제공해 주는 관계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의사결정과정은 그 과정에 참여하는 의사결정자의 인식에 따라, 비록 동일한 현상이라고 서로 다른 관점에 의해 특징 지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의사결정자가 교육과정 정책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서 교육과정 개발의 과정은 각각 다르게 파악된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의사결정의 과정은 명시적으로 드러난 현상뿐만 아니라 암묵적으로 깔려 있는 참여자 개개인의 주관성에 비추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이론적인 수준에서 서로 대립되는 주장을 제시해 온 전통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에 비추어 한국의 직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이라는 하나의 구체적인 실제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실제적인 교육과정 개발 과정이 각각의 관점에 의해 어느 정도 이해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서 두 관점의 타당성과 제한점이 무엇인지를 실제사례에 기초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검토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wo major perspective on curriculum development; a traditional perspective and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I analyze a case of technical and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in Korea, and try to determine which perspective explains the actual decision-making process more accurately. It has been argued that a traditional perspective offers a consistent and holistic explanation of the overall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at it explains the process as a systematic, scientific, and rational process. It has also been pointed out, however, that this perspective provides neither a sufficient explanation of, nor a practical guideline for, the actual proces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On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many scholars have suggested alternative perspectives. It is unclear, however, whether alternative perspectives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perspective which still has strong influences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evaluate these two perspectives in terms of how well they can explain the actual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offer substantial guidelines for it. The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the curriculum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was developed?; Second, how efficient is a traditional and an alternative perspectives in explaining the foundation of decision-making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Third, how efficient is a traditional and an alternative perspectives in explaninig the methodology and procedure of decision-making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Forth, what can be learned about the two perspectives by analyzing the decision-,aking proces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Method and Producer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new technical and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under“The 2+1 syste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documents and interviews. However,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in-depth interviews with 20 decision-makers, including professors, teachers, researchers, industry representativ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for “The 2+1 system”. The interview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the“Reference table for the analysi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curriculum development.”The reference table wa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in order to examine the two major aspect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 aspect of foundation and the aspect of methodology and procedure. This study examines how a traditional perspective and an alternative perspective differ in these two major aspects. This study primarily relies on a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interview data and use a quantitative analysis to grasp an overall tendency among t he interviewees. Result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in the context of the specifics of the curriculum for“The 2+1 system”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a traditional perspective which emphasized the important role of an educational objective in decision-making process lacks practical explanatory power. Despite the fact that the curriculum developed under“The 2+1 system”is much more clear in its direction and goals compared under“The 2+1 system”is much more clear in its direction and goals compared to previous curricular, the reason for revision did not work as a foundation for a decision; Second, it is difficult to make a generalization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a traditional perspective and the item -“the foundation for the objective and the content in curriculum development.” Under“The 2+1 system”the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upon the data from job analysis. This means that a traditional perspective should explain this item better. However, an alternative perspective explains this item better in the actual d ecision-making process; Third, the actual situation in decision-making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lf-perceived role and power determine which of the two perspectives explains better the decision-making methods and procedures in curriculum development. Compared to previous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the process under“The 2+1 system”was much more self-regulatory and flexible. Also, participants in the process had more diverse backgrounds. With these differences, one expects a traditional perspective to explain“decision-making methods and procedures”better. However, it turns out that both perspectives can explain certain parts at the same time, depending upon the agenda, actual situ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role and power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Conclusions This case study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under“The 2+1 system”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general decision-making processes in curriculum development: First, it is not possible to explain curriculum development with a single perspective; Second, a traditional perspective and an alternative perspectiv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urriculum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ere are certain aspects in the process that can be explained by either as well as both perspectives; Third, the same phenomenon in the decision-making of a curriculum can be explained in different perspectives depending up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decision makers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This study brings up the need for a new evaluation of an alternative perspective in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has been continuously critical of a traditional perspective. In explaining an actual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 traditional perspective and an alternative perspective complement each other and therefore,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ey need to be understood as mutually complementary and not as completely different, bound to replace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subjectivity of the participant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needs to be considered in evaluating these two perspectives. Up until now, the discussion on the respec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s of a traditional perspective and an alternative perspective in curriculum development has been limited to a theoretical level and has presented these perspectives as mutually exclusive.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scussion in the context of an actual decision-making process through a cas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