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가정생산성과 시장생산성간 관계에 대한 동시적 분석 : 사무직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Title
가정생산성과 시장생산성간 관계에 대한 동시적 분석 : 사무직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Authors
한지혜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기혼남성의 가정생산성과 시장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고, 기혼남성의 가정생산성이 시장생산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와 시장생산성이 가정생산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정생산성의 대용변수로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가족의 응집성·적응성, 가족의 경제적 자원을 보았고, 시장생산성은 기혼남성의 직무수행도, 직무만족도, 임금률을 통하여 그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 100위 이상의 대기업에 종사하는 20-40세의 기혼남성 37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실시하였다. 특히 20-40세는 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시기인 동시에 가족생활에서도 결혼 및 출산이라는 역할전이를 경험하면서 다중역할의 어려움이 집중되는 시기임을 고려하여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백분율, 상관관계, 2Stage least squares(2SLS)를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및 그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생산성 변수인 가사노동시간을 놓고, 직무수행도, 직무만족도 및 시장임금률 등의 각 변수를 시장생산성 변수라 하여 각 변수간 관계를 동시적으로 분석한 결과, 가사노동시간과 직무수행도, 가사노동시간과 직무만족도는 서로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시장임금률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역으로 기혼남성의 시장임금률은 그의 가사노동수행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에게는 가정노동이, 남성에게는 시장노동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하는 핵심역할로 간주되는 성별분업체계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기혼남성의 높은 시장임금률은 가족 의사결정에서 권력을 주어 가사노동시간을 줄이는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가정생산성 변수인 가족의 응집성·적응성을 놓고 직무수행도, 직무만족도 및 시장임금률 등의 각 변수를 시장생산성 변수라 하여 각 변수간 관계를 동시적으로 분석한 결과, 가족의 응집성·적응성은 기혼남성의 직무수행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가족의 응집성·적응성도 기혼남성의 직무수행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장영역에서의 낮은 직무수행도는 직업스트레스와 피로를 증가시키고 가족생활과 활동의 공유를 방해함으로써 가족의 응집성·적응성을 낮출 수 있으며, 반대로 가족의 응집성·적응성이 높을수록 가족원의 요구나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가족원의 취업태도 향상 등을 통해 직무수행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의 응집성·적응성은 기혼남성의 시장임금률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가족의 응집성·적응성은 시장임금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기혼남성의 시장임금률 증가는 가정에서 이용가능한 재정자원을 증가시키고, 가정내의 재정적 문제를 감소시킴으로써 가족간의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가족의 경제적 자원을 가정생산성 변수로 놓고 직무수행도, 직무만족도 및 시장임금률을 시장생산성 변수로 한 동시적 분석결과, 기혼남성의 직무수행도는 가족의 경제적 자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가족의 경제적 자원이 많아질수록 기혼남성의 직무수행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경제적 자원 증가는 가족원의 목표나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직업역할 수행의 동기를 부여하고, 직무수행도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가족의 경제적 자원과 기혼남성의 직무만족도는 서로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경제적 자원과 임금률의 동시적 분석결과, 가족의 경제적 자원은 기혼남성의 시장임금률에 따라 변화한 반면, 가족의 경제적 자원은 기혼남성의 시장임금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부분의 여성이 가정일을, 대부분의 남성이 시장일을 담당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성별 분업구조하에서 가족의 경제적 자원이 주로 기혼남성의 시장노동을 통한 근로소득에 의존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가정생산성과 시장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보면, 먼저 가정생산성의 경우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막내자녀연령이 어릴수록, 핵가족일수록, 취업주부가계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응집성·적응성은 막내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핵가족일수록 가족원간에 공유할수 있는 시간과 활동이 많아지고 정서적 유대가 강해지기 때문에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취업주부가계일수록, 기혼남성의 직장직위가 높을수록 가계소득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의 경제적 자원이 증가하였다. 한편, 시장생산성의 경우 직장직위가 낮을수록, 근속년수가 높을수록 기혼남성의 직무수행도는 높아졌는데, 이는 업무부담이나 일에 대한 경험, 보상등이 직무수행도에 중요한 영향 변수임을 나타낸다. 직무만족도는 직장직위가 높을수록,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남성의 연령이 증가하고, 직장직위가 높아질수록 일에 대한 경험과 근속년수가 증가하여 더 높은 임금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시장임금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단편적으로 제시되어 있던 가정생산성과 시장생산성의 상호역동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시장생산성은 가정생산성의 여러 가지 대용변수에 영향을 주고, 가정생산성 또한 시장생산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혼남성의 경우 시장생산성이 가정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이 지배적인 것을 볼 때, 우리나라의 경우 여전히 남성과 여성의 성별 분업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남성의 경우 시장노동이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하는 역할이며, 가정생산성의 부분은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부차적인 부분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가정생산성과 시장생산성간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이용가능한 자원의 최적분배와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노동의 재분배 방안을 고안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업이나 기타 이유 등으로 정체감을 상실할 수 있는 가장에 대한 지원책 및 동기 부여를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가족의 응집성·적응성이나 가족의 경제적 자원은 현재의 시장생산성을 높이기도 하지만 실직이나 기타 이유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재취업의욕이나 동기를 높일 수 있으므로 총체적인 경제위기에 대처하고 근본적으로 가족복지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동시장에서의 열등한 지위와 임금격차로 오랜 논쟁의 대상인 취업주부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모색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남성의 경우 시장생산성이 지배적이라는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성별분업상황이사회참여와 이를 통한 자아실현 및 독립성에 점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고 노동시장에 지속적으로 종사하기를 원하는 여성들에게 주요 갈등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남성들뿐 아니라 여성들이 가정역할과 시장역할 모두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족적, 사회적, 제도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즉 전통적인 성별노동분담 의식에서 탈피하여 융통성있는 역할분담이 이루어지도록 평등주의적인 사회분위기의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나아가 미래의 맞벌이 혹은 여성 생계책임자 가정에 부합하는 국가의 가족복지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productivity and market productivity of the married men in their early adulthood. Proxy variables of the household productivity were housework time, family cohesion?adaptability and family economic resources. Also proxy variables of the market productivity were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wag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bjective is to analysis the level of household productivity and market productivity on the married men. Second objective is to find out factors which affect the married men s household productivity and market productivity. Third objectiv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productivity and market productivity. Datas were obtained from 375 households with employed-married men between 20-40. An interview-style questionnaire was also prepared and utilized. Gathered datas were analysed by percentile, frequency, correlation, 2stage least squares regression, and reliability was based on Cronbach s α valu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en s housework time is insignificantly related to men s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wage. But men s housework time is reduced as men s wage. Second, family cohesion?adaptability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married men s job performance. The married men s job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family cohesion?adaptability. And the married men s wage goes up as the family cohesion?adaptability. Third, family economic resources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the married men s job performance. And wage goes up as the family economic resources. Forth, variables which affect household productivity were last child s age, family type, women s job, the married men s job position. And variables which affect market productivity were the marred men s age, job position, the lengh of his service, working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productivity and market productivity. It also indicated that for the married men, market productivity had a powerful direct effect on household productivity. This study can provide a frame of reference and a base of evidence for the preparation of unemployed men s support. Furthermore, it will also serve as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in recognizing and resolving the dual roles problems faced by employed married women. Future researches hav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productivity and market productivity on the married wom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