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중년기 직장남성의 노후 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Title
중년기 직장남성의 노후 생활계획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지은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Korea, by the year 2000,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in their age over 65 is expected to the rate of 7.1%. And by the year 2005, there is expected the rate of increase reaching 8.7%. The middle-age is the most important time in human life cycle. Because middle-age is the time which is the peak of personal & social activity in human life cycle. At this time, they must be prepare for their elderly life. This study is the middle-aged worker s life plan for their elderly life, what relations between whether it is for their elderly life plan and their satisfaction and variables are in this thesis. This gives the basic data for the elderly life plan program which help an individual to his best elderly life plan satisfied with his property by researching elderly life plan in each region. By this study, we intend to gives the higher quality for the elderly lif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y the middle-aged worker s life plan for their elderly financial life plan, what relations between whether it is for their elderly financial life plan and their satisfaction Second, we identify the middle-aged worker s life plan for their elderly life plan of their leisure, what relations between whether it is for their elderly life plan of leisure and their satisfaction Third, we identify the middle-aged worker s life plan for their elderly life plan of family, what relations between whether it is for their elderly life plan of family and their satisfaction The data used in this thesis were collected in 1999 for the 40, 50-aged male workers residing in Seoul and Kyoung-ki area for the aim of this thesis. Final analysis used total 686 copy as analysis data. The gather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ies, Mean, Percentile,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aged male workers thought that the health is most important in their elderly life and wanted to comfortable environment. And about the start time of elderly economic life plan, 40s give an answer about 30s and 50s give an answer about 40s. About leisure life plan, 40s give an answer about 40s, and 50s gives an answer about 50s. About family life plan, 40s & 50s give an answer about 50s. At the attitude of the start time of each elderly life plan, the middle-aged male workers are like what elderly life plan except financial plan near by retirement. Second, age, income, total assets, elderly expected saving ratio, and current home economy assessment have some influences for whether elderly financial life plan is or not. And the satisfaction for elderly financial life plan is influenced by the variables of age, total assets, and prospect of future home economy. Third, age, total assets, and elderly expected saving ratio have some influences for whether elderly leisure life plan is or not. And the satisfaction for elderly leisure life plan is influenced by only the total assets. Fourth, age, income, total assets, and elderly expected asset ratio have some influences for whether elderly family life plan is or not. And the satisfaction for elderly family life plan is influenced by the variables of age, existence of son, total assets and elderly expected asset ratio. The result shows that the middle-aged workers the ratio of whether elderly life plan is or not is low and they don t feel the need to prepare for it early. Also, real current elderly life plan, whether the plan is or not, and the satisfaction between the 40s and the 50s are the different results. Financial preparation has the uniform effect for all life planning territory. By this result, those who have the economic status have more the condition and possibility to establish elderly life plan than those who do not and they can establish elderly life plan really. All people cannot establish the elderly life plan by their economic status. As the average span of life is long and retirement time is short, the method to determine the best elderly life plan in various environments and the limited conditions should be found and the social regime to promote the people s consciousness for the need and importance of the uniform establishment of each life plan territory should be found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elderly life plan and its activity are urgently needed. The understanding for the need of the personal elderly life plan and the national and social efforts for its accomplishment should be done together. ; 본 연구는 중년기 직장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노후 생활계획 실태를 파악하고, 노후생활계획여부와 그 만족도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재정적 특성, 사회심리학적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영역의 노후 생활계획을 포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각 개인의 특성에 맞는 최선의 노후 생활계획을 돕는 노후 생활계획관련 및 노후 생활설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년기 직장인의 노후 생활계획 실태와 노후생활계획여부를 살펴보았고, 또 노후생활계획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노후생활계획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40, 50대 남성 직장인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총 686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빈도, 백분율 및 평균을 산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연령 대에 따른 노후 생활계획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빈도, 백분율, 평균 및 χ²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노후생활계획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Logistic Regression을, 노후생활계획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파악을 위해서 각 변수간의 다중공선성을 파악해 변수를 조정한 후 노후생활계획을 하고 있다고 답한 대상자들만을 추출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노후 생활계획실태를 간단히 정리하면, 우선 응답자들은 노후생활에서 건강하게 사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미래 노후생활에 신체적 건강이 가장 문제가 될 것이라 여기고 있었으며, 노후 주거생활 계획시 주변환경의 쾌적함과 공원 등 자연 녹지 시설을 원하고 있었다. 또 노후생활계획 시작 시기에 대해서 노후 경제생활계획은 40대나 50대 모두 현재 연령보다 앞선 시기에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즉, 40대는 30대에, 50대는 40대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여가생활계획은 40대는 40대, 50대는 50대, 가족생활계획은 40대는 40-50대, 50대는 50대에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태도를 보였다. 노후 경제생활계획에서 전체 대상자의 47.8%가 계획을 세우고 있었으며, 월평균소득, 총 자산, 노후대비 저축률, 노후 대비 자산율, 부채보유여부, 현재 가계경제상태 평가 변수가 노후 경제생활 계획 여부에 있어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대비 저축률은 평균 24.4%이었으며 노후대비 자산율은 평균 39.9% 이었으며, 연금을 대표적인 미래 주 수입원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여가생활계획여부에 있어서 윌소득, 총자산, 노후대비 저축률, 노후대비 자산율 변수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미래에 하고싶은 여가활동은 신체적 여가활동, 가정지향활동 순이었고, 현재 느끼는 가장 큰 여가제약은 시간부족이었으며, 미래에는 여가 시설 및 장소의 부족이 가장 큰 여가제약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노후 가족생활계획여부에서 월소득, 자산, 노후대비 저축률, 노후대비 자산율, 부채보유여부 변수가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40대는 시간부족, 경제적 문제, 여가를 즐길 장소의 문제 순으로, 50대는 시간부족, 경제적 문제, 여가에 대한 정보부족 문제의 순으로 현재 여가제약을 느끼고 있다. 조사대상자의 83.4% 이상이 자녀와 별거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노후 생활계획시작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중년기 직장인은 노후 경제생활 계획을 제외한 나머지 노후 생활계획을 성인 초기부터가 아닌 은퇴 가까이 되어서 시작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40·50대 즉, 중년 초기와 중년후기의 노후 생활계획에 대한 요구는 일치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욕구와 필요를 효과적으로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각종 프로그램들을 차별화 다양화되어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노후 경제생활계획여부에 어떤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결과, 연령, 월평균소득, 총자산, 노후 저축율, 현재 가계경제 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후 경제생활계획에 대한 만족도에는 연령, 총자산, 미래 가계경제에 대한 전망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 여가생활계획여부에는 연령, 총자산, 노후 저축율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 여가생활계획 만족도에는 자산만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넷째, 노후 가족생활계획여부에는 연령, 월평균소득, 총 자산, 노후자산율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후 가족생활계획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 아들의 유무 자산 노후 자산율이었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아직 중년기 직장인들은 각 생활영역의 노후생활계획 수립여부율이 낮았으며, 일찍부터 준비해야할 필요성을 그리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후생활계획 실태나 계획 여부, 만족도 등은 40대, 50대가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생활계획영역에는 경제적 준비도가 고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경제력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노후 생활계획을 할 수 있는 여건과 가능성이 높았고 실제 더 많이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모두가 경제력이 충분해 노후 생활계획수립에 있어 유리한 입장에 있는 것은 아니다. 점차 평균수명은 길어지고 은퇴시기는 빨라지고 있는 현 상황을 감안해볼 때 다양한 환경과 제한된 조건 속에서 최선의 노후 생활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전체적으로 각 노후 생활계획영역의 고른 계획 수립의 필요성 중요성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고취를 위한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다. 노년기 이전의 각 연령층의 요구에 맞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노후생활계획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가 절실히 요구되며, 개인적인 노후 생활계획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와 함께 국가·사회적인 노력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