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은아-
dc.creator오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3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9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가족의 부양행동과 노인의 생활양식이 건강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울러 가족의 부양행동과 노인의 생활양식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문숙재, 최혜경, 정순희(1997)의 노년기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환경모형의 개발 을 위한 연구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전국에서 표집한 노인 463명으로 자료의 분석은 SPSS 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중다회귀분석과 Logistic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 s α값을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이 제공받는 가족의 부양행동은 정서적 부양, 경제적 부양, 활동부양, 도구적 부양의 4가지의 기능 요인으로 나뉘었고, 이러한 기능 요인을 조합한 결과 빈약형, 다양형, 울타리형, 친구형의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또한 노인의 생활양식은 자기개발, 사회비판, 외형미 추구, 가족중심, 보수주의, 자기중심, 생활불만의 7가지 차원을 조합한 결과 보수적 가족중심형, 적극적 자기개발형, 순응적 일상영위형, 보수적 불평불만형, 보수적 자기본위형의 5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가족의 부양행동은 그 유형에 따라 노인의 건강관리 행동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부양행동을 유형별로 보았을 때 다양형과 친구형의 가족의 부양행동 유형은 빈약형에 비해 건강관리 행동과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다양형과 친구형은 모두 정서적 부양 수준이 높은 부양유형이므로 결국 정서적 부양 기능이 건강관리 행동에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노인은 생활양식 유형에 따라 건강관리 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극적 자기개발형의 노인은 순응적 일상영위형 노인에 비해 일상생활습관, 예방, 대처차원에서의 건강관리 행동에서 바람직한 경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적극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노인의 건강관리 행동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외의 생활양식 유형은 건강관리 행동과 긍정적 경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의 부양행동은 노인의 생활양식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다. 가족의 부양행동 유형의 영향을 살펴보면 다양형의 노인이 빈약형에 비해 보수적 가족중심형과 적극적 자기개발형의 생활양식 유형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으며, 친구형의 노인은 보수적 자기본위형의 특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가족의 부양행동과 생활양식은 노인들의 건강관리 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이 제공받는 가족의 부양행동은 노인의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의 부양행동 중 다양형과 친구형의 노인이 건강관리 행동에 긍정적인 경향을 일관성 있게 나타낸 것은 노인생활에 있어 정서적 부양의 중요성을 보여준 결과라 하겠다. 또한 적극적 자기개발형의 노인이 건강관리 행동에서 긍정적인 경향을 높게 보인 것은 자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노인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the life-styles and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of elderly. In particular, after controlling the socio-economic variables, it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of elderly according to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and the life-styles of the elderly. And it wa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and the life-styles of elderly. For the objective, 463 questionari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aged people over sixty. To classify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and their life-styles, gathered data were analysed by factor analyse and cluster analyse. And to analyse the relations of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the life-styles and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of elderly,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These are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all family supporting", "people who poorly supported in all family supporting",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economic supporting",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emotional supporting". And the elderly a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These are "people who are conservative and regard family as of great importance", "actively self developing people", "people who adapt to their environment and life", "people who are conservative and discontented", "conservative and egocentric people".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were found out according to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Comparing to "people who poorly supported in all family supporting",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all family supporting" and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emotional supporting" were related to positiv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Because both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all family supporting" and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emotional supporting" are emotionally well-supported, emotional supporting behavior have an important effect on health management behaviors of elderly. Third,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of elderly differ from their life-styles. Especially "actively self developing people" are related to positiv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Except to "actively self developing people", the life styles of elderly had no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Forth,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effect on the life-styles of elderly.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all family supporting" related to "people who are conservative and regard family as of great importance" and "actively self developing people". And "people who well supported in emotional supporting" related to "conservative and egocentric people". So the family supporting behaviors has important meaning in the life-styles of elder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6 A. 노인의 건강과 건강관리 행동 = 6 1.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 = 6 2. 건강과 건강관리 행동의 관계 = 7 B. 가족의 부양행동과 건강관리 행동 = 11 1. 가족 부양행동의 개념 = 11 2. 가족의 부양행동과 건강관리 행동의 관계 = 13 C. 생활양식과 건강관리 행동 = 14 1. 생활양식의 개념 = 14 2. 생활양식과 건강관리 행동의 관계 = 16 D. 가족의 부양행동과 생활양식의 관계 = 17 E. 연구문제 = 20 III. 연구 방법 = 21 A. 연구대상 = 21 B. 측정도구 = 23 1. 가족의 부양행동 = 23 2. 생활양식 = 26 3. 건강관리 행동 = 30 4. 일반적인 특성 = 31 C. 자료분석 = 32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34 A. 가족의 부양행동과 건강관리 행동과의 관계 = 34 B. 생활양식과 건강관리 행동과의 관계 = 38 C. 가족의 부양행동과 생활양식과의 관계 = 43 V. 논의 및 결론 = 45 참고문헌 = 50 부록 = 61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087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족의 부양행동, 노인의 생활양식과 건강관리 행동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