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3 Download: 0

개항이후 부보상의 정치화과정 연구

Title
개항이후 부보상의 정치화과정 연구
Authors
임경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thesis is aimed at analysing the process in which the Bubosang(the registered peddlers)got politically involved. This job will be carried out by showing how the Bubosang was politicized while being absorbed as a part of the executive or the military by the conservative ruling force which was centered around King Ko-jong and Qeen Min. How the Bubosang was taken advantages of in this process will be illustrated. Therefore, the Bubosang’s politicization includes the process by which the Bubosang got deeply involved with politics 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Bubosang was politically mobilized. The period this paper is mainly focusing on is the early years of the reign of King Ko-jong, particularly from 1880s to 1900s when the reorganization of the Bubosang started in the wake of the opening of ports. The Bubosang had been around as peddlers who locally provided living staples for people before the door-opening. Although the Bubosang belongs to one of the lowest class, it had a strong organization under the motto of ‘propect the nation with true royalty’. The Bubosang functioned as a public labor force or a voluntary army in the time of contingency. Based upon the consolidate organization and ideology, the Bubosang was able to rise to a political power. The Bubosang was politicized when King Ko-jong began to establish his own political power. That is, the Bubosang was being restructured in full swing while King Ko-jong, who was driven home the need of economic boost and strong military, encouraged commercial activities and tool several measures to build up to make use of the Bubosang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his imperial power.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Bubosang gained the political power can be observed in three aspects. 1. Tapping governmental officials in the top positions of the Bubosang 2. Connections with the military. 3. Connections with the local ruling power. All these had been maintained from the period in which Heasanggonguk(a governmental agency set up to protect the Bubosang)was on operation to the Chamber of Commerce and The Commercial Enterprise. The government expanded their influence on the Bubosang by providing salary for its leaders or appointing governmental officials as top leaders of the Bubosang. The local officials played a key role in forging a solid connection between the Bubosang and the central government. The close tie between the Bubosang and the military was an intended outcome. Witnessing the social unrest and the Byungin war, King Ko-jong recognized that the build-up of the military was urgently needed. Since then, the Bubosang was reorganized as a paramilitary group under the control of the national military and functioned in line with military purposes. Along with the military duties, the Bubosang had to do intelligence activities and catch looters if requested. The Bubosang financed for the local government in part by leving market tax. However as was the case in Koryung, Kyungsang province, the Bubosang was closely related to the local power by and was controlled by influential clans or local officials. Since the local authorities which were in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tried to solve the problems by delegating rights to levy market tax to the Bubosang who were practically controlling the markets, the linkage between the Bubosang and the local government was naturally generated. In short, the Bubosang functioned in connection with political powers by maintaining the links with the military and by fielding its leaders with governmental officials. The Bubosang acted under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Bosnagchung, Heasanggongguk, The Chamber of The Commerce and The Commercial Enterprise which replaced one after another. Now comes a hierarchy of control of the Bubosang under which the Bubosang met the financial need of the ruling power through commercial activities and turned into a political force with the ability to mobile its members if needed: the King- a head of organization of the Bubosang-the central office or the military department which controlled the organization of the Bubosang- the local office or the military department-the local organizations of the Bubosang-the Bubosang. However, gaining political power did not necessarily mean growing into an independent political power. As the Bubosang grew to have political power as much as the ruling power and King Ko-jong planned and needed, it simply turned into another low-notch exploiting body enhancing the social and political position of the Bubosang only a bit. The cases in which the politically involved Bubosang served political purposes can be easily found when it was mobilized to suppress the Dong-hak movement in 1894 and activated by the Imperial Association in 1898. Particularly, in the midst of the enthusiastic movement unfolded by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in 1898, the Bubosang helped ruin the radical political movement of the reformative force led by Yun chi-ho and Park jung-yang. The Imperial Association supported by King Ko-jong and conservative ruling power encouraged the bubosagn into the action. Namely, the Bubosang, though politically involved, was only used for military and political purposes to keep the imperial power. The very limitation of the Bubosang’s activities was revealed again when the Bubosang was mobilized by Lee yong-ik in frustration the attempt to distribute the bank notes of the Bank of Japan in 1903 and when it was encouraged to register collectively to pro-Japanese organization Iljinhwe in 1908 ; 이 논문은 개항이후 부보상이 고종과 집권세력에 의해 행정조직, 또는 군영조직의 일부로 편입되어가면서 정치세력화 한 과정과,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후 정치적으로 이용당했던 사례들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이 정치에 연관되어 간 과정을 분석하려고 한다. 따라서 「負褓商의 政治化過程」은「개항이후 부보상의 정치세력화과정」과 「정치적으로 동원」되기까지의 과정을 함게 의미하는 것이다. 이 논문이 對象으로 삼고 있는 시기는 주로 개항 이후 부보상집단이 재정비되기 시작한 고종조, 특히 188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이다. 개항이전 負褓商은 지방의 생필품을 공급하기 위한 행상으로서 존재해 왔다. 이들은 신분적으로는 당시 사회에서 가장 비천한 집단에 속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원들을 조직화하고 조직원들은 「진충보국」이라는 조직 이념하에 결속함으로써 공고한 조직력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 유사시에는 공역을 부담하거나 상병으로서 기능해 왔다. 부보상이 가진 이러한 조직이념과 공고한 조직력은 이후 이들이 정치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부보상의 정치세력화는 고종이 친정체제를 확립하는 시기에 이루어 지고 있다. 즉 고종은 개항이후 부국강병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상업을 육성하고 군비를 확충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데 부보상조직의 정비는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고종이 부보상집단을 왕권강화의 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부보상의 정치세력화는 1)부보상 중앙조직의 관인화 2)군영조직과의 연계 3)지방지배집단과의 연관이라는 세 가지 경로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이는 1881년 부상청을 설립한 이래 혜상공국?상리국의 시기와 상무사의 시기에 이르는 동안 지속되고 있다. 부보상 중앙조직의 관인화는 임방 임원의 삭료를 부담하거나 중앙조직의 임원들을 관인으로 차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로 하여금 부보상을 통괄하도록 함으로써 負褓商組織과 中央政府와의 연관을 점점 강화할 수 있었다. 부보상의 군영조직과의 연관은 당시 국내적으로도 사회적 소요가 극심했을 뿐만 아니라 병인양요 등을 거치면서 군비의 증각이 절실하게 필요함을 고종이 인식한 결과이다. 그 때문에 부보상집단은 이 시기 軍營의 統攝을 받는 軍營의 한 부분으로 組織되고, 軍事的 目的을 위해 기능하여 왔다. 또 이들에게는 군사적 목적의 동원외에 국가가 필요한 경우 정보를 탐지하고, 도적을 잡는 의무도 부여되고 있었다. 또 負褓商集團은 場稅라는 매개수단을 통해 地方官衙나 地方支配勢力의 財政 일부를 충당해 주면서 이들과 연관을 맺고, 慶尙道 高靈地方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地方土姓集團이나 鄕吏에 의해 조직이 장악됨으로써 지방지배집단과도 긴밀하게 연관되고 있다. 그것을 재정궁핍이 심화되었던 지방관아가 이의 해결을 위해 場稅를 매개로 하여 실질적으로 지방의 장시를 장악하고 있던 부보상에게 장세를 납부하는 상인 또는 장세를 수봉하는 지단으로서 場稅를 사용하는 지방관아와 연결될 수 있는 契機를 만들어 주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負褓商集團은 1)支配勢力과의 聯關過程?중앙조직의 관인과, 군영조직과의 연관 2)地方 支配勢力과의 聯關과정을 통해 부상청-혜상공국-상리국-상무사로 기능하는 동안 사실상 「王-구관당상-負褓商集團을 句管하는 中央관아 또는 군영-지방관아 또는 군영-부보상임방-負褓商」이라는 動員體制下에서 기능하면서 한편으로는 상업활동을 통해 支配勢力의 財政的 必要를 충당하고, 동시에 필요한 경우 政治的 動員이 가증한 정치세력으로 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負褓商의 정치세력화」는 이들의「독자적 정치세력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이들의 정치적 성장이 고종의 집권세력의 보호와 필요에 의한 것이었던 만큼 그 결과가 단순히 부보상의 정치사회적 지위를 상승시키고, 이러한 지위를 이용하여 지역에서 다른 常民을 수탈하는 하급지배세력으로 성장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1894년 東學운동의 진압에 있어서의 부보상의 동원, 1898년 황국협회에 의한 부보상의 동원은 이렇게 정치세력화한 부보상이 정치적으로 동원되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특히 1898년 독립협회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자 부보상조직은 고종과 수구파집권세력의 지원을 받는 황국협회에 의해 동원되어, 윤치호·박정양등의 지원을 받는 개화파세력의 급격한 정치운동을 좌절시키고 수구파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도록 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즉 이는 부보상집단이 비록 정치세력화했다고는 하지만 이들의 정치적 행동이 여전히 왕권의 유지를 위한 군사적 정치적 동원의 대상에 머물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또 1903년에는 이용익에 의한 일본 第一銀行券유통기도를 沮止하는 운동에, 1908년에는 일진회의 가입에 다시 동원됨으로써 이들의 정치세력화가 가지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