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화-
dc.creator김정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1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9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6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극화놀이 영역에서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유아의 문식성 행동 및 주변 환경의 문자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아울러 문식성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양상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극화놀이 영역에서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유아의 문식성 행동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즉 유아의 전체 문식 행동, 문식성 자료 탐색행동, 읽기 행동, 쓰기 행동은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극화놀이 영역에서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유아의 문식성 행동의 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즉, 유아의 전체 문식 행동, 문식성 자료 탐색 행동, 일기 행동, 쓰기 행동은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극화놀이 영역에서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유아의 주변 환경의 문자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즉 극화놀이 영역 안에서의 주변 환경의 문자 읽기 능력은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극화놀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문식성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의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Y유치원과 D유치원의 만 4세 유아반 세 학급의 유아 87명으로, 이들 세 학급은 통제집단과 두 실험집단에 무선으로 배정되었다. 실험집단 II는 극화놀이 영역에 주제를 설정하여 주제와 관련한 문식성 자료를 풍부하게 비치하고, 자유 선택 활동 시에 교사가 개입하여 적절히 상호 작용하였다. 실험집단 I은 극화놀이 영역에 주제를 설정하고, 주제와 관련하여 문식성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자료를 풍부하게 비치하였다. 통제집단은 극화놀이 영역에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을 제한 하였다. 두 실험 집단에 제시된 자료는 각 주제별 주변 환경의 문자표지판, 읽기·쓰기를 자극 할 수 잇는 자료, 주제와 관련한 극화놀이 자료 등이었다. 질험집단 II 에서 행해진 교사개입의 형태는 Neuman 과 Roskos(1993)가 유아의 문식성 관련놀이를 격려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규정한 관찰자, 놀이자, 지도자의 역할이다. 연구는 사전 관찰과 검사, 6주간의 실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양상의 관찰, 그리고 사후 관찰과 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전체 연구기간 동안 각 집단의 극화놀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자유선택활동 상황을 매회 당 40분간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로서 대상 유아의 주변환경의 문자 읽기 검사를 각 주제별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 관찰빈도(검사점수)를 매개변인으로 공분산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문식성 행동의 빈도는 극화놀이 영역에서의 문식성자료와 교사의 개입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문식성 자료를 제시하고 교사가 개입한 집단 유아들의 읽기, 쓰기, 문식성 자료 탐색행동과 전체 문식성 행동이 교사가 개입하지 않은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 유아들보다 더 빈번히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문식성 행동의 지속시간은 극화놀이 영역에서의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문식성 자료가 제시되고 교사가 개입한 집단 유아들의 전체 문식성 행동, 읽기, 쓰기, 문식성 자료 탐색행동이 교사가 개입하지 않은 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에 비해 더 오래 지속되었다. 셋째, 유아의 주변환경의 문자 읽기 능력은 극화놀이 영역에서의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들의 주변환경의 문자읽기 능력은 문식성 자료가 제시되고 교사가 개입한 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며, 문식성 자료와 교사개입의 효과는 극화놀이 영역 안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넷째, 문식성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는 문식성의 기능과 관련된 상호작용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문자자체에 대한 관심이었고, 문자의 의미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내용면에서도 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통제 집단은 전반적으로 문식성과 관련된 상호작용의 빈도가 낮을 뿐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빈약한 반면, 두 실험 집단에서는 다양한 내용이 다루어 졌다. 특히, 교사가 개입한 집단에서는 주변환경의 문자와 문자의 의미가 다른 집단보다 더 많이 다루어 졌다. 교사가 개입한 집단 뿐만 아니라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만 이루어졌던 집단에서도 문식성을 주제로 한 상호작용들이 이루어 졌다. 다만 상호작용의 효율성 면에서 볼 때 성인과의 상호작용과는 달리 유아들간이 상호작용은 전달되는 정보의 정확도와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한계를 지닐 수 있음이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극화놀이 영역에 제시된 문식성 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유아의 문식성 행동과 주변환경의 문자 읽기 능력, 그리고 문식성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교사의 개입은 보다 영향력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play intervention through teacher and literacy-related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literacy behavior and environmental print reading ability and literacy-related social interaction in dramatic play area. To meet the above purpose, four study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Ⅰ. Do three different types of play interventions (control, exposed to literacy materials, exposed to literacy materials and teacher intervention) affect the frequency of children’s literacy behaviors in dramatic play area?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hildren’s total literacy behaviors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hildren’s exploring literacy materials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hildren’s reading behavior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hildren’s writing behavior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Ⅱ. Do three different types of play interventions affect the duration of children’s literacy behaviors in dramatic play area?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otal literacy behaviors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exploring behavior of literacy materials,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writing behavior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writing behavior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Ⅲ. D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affect the score of environmental print reading?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core of environmental print reading in the play context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2. Is there nay difference in the score of environmental print reading in the play context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play interventions? Ⅳ. What is the literacy-related social interaction in dramatic play area? Three classes of four year old in private Y.D. Kindergarten in Seoul, were chose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a neighborhood of upper-middle class. Each of the classes were designated as experimental group II (28 children), experimental group I( 29children), and control group (30 children). Experimental group I was exposed to both teacher’s intervention and literacy materials while experimental group II was exposed to only literacy material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re-test and pre-observation, six-week intervention and observation, post-test to investigate children’s environmental print knowledge and post-observation to analyze children’s literacy demonstrational. During the entire period of research, children s spontaneous free play activities in dramatic play area were video taped for forty-minutes per a visit in each group. As pre and post observation, children’s free play activities were video taped for eight times in each group, and then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each child’s reading, writing, exploring behavior and the total literacy behavior were calculated. During intervention, children’s free play activities were video taped for twelve times in each group. After reviewing the video tape, children’s play situations were trascripted, and literacy related episodes were deprived. The content and type of literacy related episode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categories. The rated data were analyzed by adjusted means and ana lysis of covariance (ANCOVA) for statistical control and by using scheffe method for planned comparis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children’s literacy behavior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interventions. The frequency of reading, writing, exploring and total literacy behavior was higher in the group exposed to literacy materials and teacher intervention than in the group behaved without teacher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The detailed contents of literacy behavior appeared different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intervention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uration of children’s literacy behavior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interventions. The engaging time in reading, exploring and total literacy behavior was longer in the group exposed to literacy materials and teach intervention than in that behaved without teacher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environmental print knowledge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interventions. The score of environmental print reading out of play context was higher in the group exposed to literacy materials and teacher intervention than in control group. The score of environmental print reading in play context was higher in the group exposed to literacy materials and teacher intervention than in that behaved without teacher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4. Among the three category of the content of literacy-related social interaction, the frequency was showed highest in the function of literacy, followed by the feature of literacy. The meaning of pirnt was the least frequently showed. In the group exposed to literacy material and teacher intervention, children concentrated on the environmental print reading and the meaning of print a little more than on other two group. The literacy-related interactions was performed in the group exposed to literacy materials only as well as the group exposed to literacy materials and teacher intervention. In terms of the efficacy of interaction, it should be mentioned than, unlike the adult-child interaction, there were limitations in peer interaction due to the accuracy of transferring information and the lack of effective skills in commun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7 Ⅱ. 이론적 배경 A. 극화놀이와 문식성과의 관계 --------------------------------------- 10 B. 극화놀이에서 나타나는 문식성 행동 -------------------------------- 16 C. 극화놀이에서 유아의 문식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9 Ⅲ. 연구방법 A. 연구대상 --------------------------------------------------------- 49 B. 연구도구 --------------------------------------------------------- 51 C. 연구절차 --------------------------------------------------------- 55 D. 연구가설 --------------------------------------------------------- 67 Ⅳ. 결과 A. 문식성 행동의 빈도 ----------------------------------------------- 70 B. 문식성 행동의 지속시간 ------------------------------------------- 88 C. 주변환경의 문자 읽기 ---------------------------------------------102 D. 문식성과 관련된 상호작용의 양상 ----------------------------------109 Ⅴ. 논의 및 결론 A. 논의 -------------------------------------------------------------131 B. 결론 및 제언 -----------------------------------------------------142 참고문헌 -------------------------------------------------------------147 부록 1. 대상유아 부모의 문자교육에 대한 관점 -----------------------------160 2. 유아의 읽기와 쓰기 발달 정도 -------------------------------------161 3. 주변환경의 문자 읽기 검사의 문항내용 -----------------------------163 4. 주변환경의 문자 읽기 검사의 평정 예 ------------------------------164 5. 주제별 극화놀이 영역의 공간 배치 ---------------------------------165 6. 극화놀이 영역에 제시된 문식성 자료의 내역 ------------------------167 7. 대상 유아의 부모용 질문지 ----------------------------------------169 ABSTRACT -------------------------------------------------------------1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904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극화놀이 영역에서 문식성자료와 교사의 개입이 유아의 문식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