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
dc.creator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4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9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04-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이 공동생활을 시작하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왔던 생활도구 중에 음식을 저장하거나 담은 도구로서 여러 가지 기(器)가 사용되어왔다. 이런 기(器)는 예전에는 단순한 생활의 도구로서 사용 되었지만 문화가 발전하고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기능에만 만족되지 않고 생활공간에 아름다운 장식물로 수요자들은 요구하고 있다. 탐스럽고 풍성한 열매의 형태에서 이미지를 얻어 시각적으로 공간적인 장식의 효과를 위하여 흙을 매개체로 자연의 결실을 실내공간의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제작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사회의 생활공간에 흙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 요소와 시각의 장식효과를 가미하고자 한다. 열매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열매의 종류와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한 장식에 대한 일반적 고찰은 문헌을 통해서 알아보고 장식성이 풍부하면서 기능을 겸비한, 현대인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디자인한 열매를 응용한 작품사례를 제시하여 열매의 형태를 응용한 장식기의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문명의 발전과 고도 산업사회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획일화 되어지고 분업화 되어지면서 자연과는 점점 멀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자연의 결실인 열매 형태를 응용하여 공간 장식성이 풍부하고 기능을 겸비한 장식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열매의 종류와 구조를 디자인에 응용하였다.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열매형태를 단순화하고, 재해석하여 받침부분과 안쪽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각각 디자인 한 후 제작하였다. 제작방법은 다량제작과 정밀성을 위해 석고틀을 이용하여 이장주입 성형을 하였고 백색도가 좋은 자기질점토를 사용하였다. 소성 온도는 형태 처짐을 방지하기위하여 형태에 따라서 저화도 소성과 고화도 소성을 겸하였다. 고추, 수박, 피망은 1차 소성을 0.3㎥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850℃로 7시간 땅콩, 코코넛, 완두콩, 도토리, 오렌지, 호박, 딸기는 마침온도 1150℃로 9시간 소성한 후 1차 소성 온도에 따라서 고화도 유약과 저화도 유약으로 시유한 후, 2차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고추, 수박, 피망은 마침온도 1250℃로, 땅콩, 코코넛, 완두콩은, 도토리, 오렌지, 호박, 딸기는 마침온도 1000℃로 소성하였다. 3차 소성은 부분적인 장식을 위해 금체를 사용하여 마침온도 800℃로 4시간동안 소성하였다. 아름답고 다양한 열매 형태를 응용하여 장식성이 풍부하며 기능을 겸비한 장식기를 제작하면서 연구자에게 창의성과 흥미를 갖게 하였으며, 생활공간에 공예적이면서 디자인적인 효과를 가진 도자기의 필요함을 느꼈다. 현대사회 대중의 생활 속에 더욱 다가가는 공예의 가치를 느끼며 많은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 There has been many kinds of household device used for filling and storing foods since the communal society was arised. The demander wants to be not only as a household device but also as a decoration. This work has an intention of making a beautiful handicraft in interior space, materializing the soil based on an image obtained from the fruit of nature which is the attractive and abundant shape. The soil tries to a role in combine its natural factor to a visual decorative effect in design, in the living space of the modern society.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an decoration of an decoration has been executed by referring to records and documents.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applying a fruit which can satisfy the aesthetic need of modern to the manufacture. In a developing civilized and high-tech society, moderns come to be stereotyped, fractured, far from nature . In this respect, by using the shape of fruit, an ceramic were will be an multipurpose household device. Also, the type and structure of fruit were applied to its design, in the process of design, after simplifying the shape of fruit and interpreting the that of fruit in new aspects, this work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a part of bottom and inside of fruit. The method for this was to take an injected transformation for its mass-production and accuracy and to utilize kaolin good at white chromaticity. In case of pepper, green pepper and strawberries (called group A), the first broiling was taken for 7hours at 850℃ (in the highest) in the 0.3㎥ gas iron-pot. In case of nut, coconut, pea, water-melon, aaron, orange and pumpkin (called group B), the broiling was done for 9 hours at the 1150℃ (in the highest) and then glazing in the utilization of a high and low quality enamel. The second broiling of group A was taken at the 1250℃ (highest) at the 0.3㎥ gas iron-pot and that of group B at the 1000℃ (highest). The third broiling was executed for 4 hours in the highest, adding to use paints and gold for a partial decoration. In the course and result of designing and making a ceramic ware having a function and decoration, this study inspired an investigator to the creativeness and interest of emotion. This study gave an homework for making an ceramic ware which have an function of handicrafty and designal effect of visuality.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manual work would be popular in modern society and expected an creative trial and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내용과 방법 = 3 2. 본론 = 4 2.1. 열매에 대한 고찰 = 4 2.2 장식의 일반적 고찰 = 8 2.3 실생활의 공예 = 10 2.3.1. 장식과 실용을 겸한 도자기 = 12 3. 작품제작 및 해석 = 24 3.1. 디자인 과정 = 24 3.2. 작품제작 과정 = 36 4. 결론 = 57 참고문헌 = 58 영문초록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020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열매 형태를 응용한 장식도자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