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1 Download: 0

한국과 일본의 불교설화 비교연구 : [삼국유사]의 '감통편'과 [일본영이기]의 '공덕담'을 중심으로

Title
한국과 일본의 불교설화 비교연구 : [삼국유사]의 '감통편'과 [일본영이기]의 '공덕담'을 중심으로
Authors
가납지미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의 의도는 한국의 「三國遺事」와 일본의 「日本靈異記」의 불교설화를 비교 분석하여 고대 양국의 불교 수용 양상을 고찰하고, 나아가 민중불교를 발전시킨 당시 사람들의 정신풍토를 살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일본 양국에서 가장 오래된 불교설화인 「삼국유사」의「感通編」과 「일본영이기」의 「功德譚」을 역사적 흐름과 연결시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 사람들의 독특한 의식구조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신라와 일본의 불교수용에 대한 역사적 검토를 하였다. Ⅲ장에서는 「삼국유사」의 「감통편」을 중심으로 신라 上代부터 신라 下代까지의 민중불교의 양상과 「일본영이기」의 「공덕담」을 중심으로 大和(야마토) 시대부터 奈良(나라) 시대까지의 양상을 비교하여 살펴 보았다. 고대 신라는 항상 하늘신을 숭배하는 정신 풍토를 바탕으로 불교의 힘을 수용하고 융합해 가는 巫佛習合的인 경향을 보였다. 반면 당시의 일본은 神佛 習合的인 경향을 보인다. 이후 두 나라가 적극적으로 불교를 받아들이기 시작하여 신라는 왕실과 귀족을 중심으로 호국적인 불교를 적극적으로 선택수용하였고, 일본은 씨족의 수호신인 氏族神을 대신할 한층 더 강한 힘을 불교에서 얻으려고 했던 차이점을 보인다. 다음 불교의 전성기를 맞이한 신라·일본 양국의 사람들은 각 나라의 정신 풍토에 알맞게 불교를 받아들였다. 신라는 하늘을 절대적인 것으로 삼는 의식구조의 바탕 위에 하늘에서 명령을 받아 왕생한다는 往生譚이 탄생하였다. 서민들은 佛國土 사상에 기반을 둔 왕생에 대한 강한 소원을 가지고 불도 수행을 하게 되었다. 한편 나라시대의 일본은 주로 개인이 복을 얻기 위해 불교에서 힘을 구하는 현실 개인주의적인 의식구조를 기반으로 한 공덕담이 탄생하였다. 이후 신라 하대에서는 불교가 국가와 밀착되면서 승려가 입신출세하게 되는 등의 불교적 변화가 일어나지만, 나라 하대는 중대에 이어 여전히 현세 개인 이익을 위해 불교를 필요로 하였다. 나라 말기에 이르면 신라와 비슷하게 승려가 정치의 실권을 잡아 독재정치를 행하기도 한다. 시대적 전환기를 앞두고, 신라·일본 양 불교계의 변화의 양상을 볼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불교수용 형태의 세가지 특징을 언급하였다. 첫째, 수용기인 신라는 불교를 받아들이면서도 한국의 고유한 하늘신 숭배의 특징을 보여주고 일본은 자연신 숭배를 바탕으로 불교를 수용하였다. 둘째, 불교문화가 발전되자 신라는 주로 호국적인 불교를 받아들이기 시작하였고 일본은 氏族을 가호(加護)하기 위해 불교를 받아들였다. 셋째, 불교의 전성기인 신라는 불국토 사상에 기반을 둔 의식구조를 보이고 일본은 현세 개인 이익주의에 기반을 둔 의식구조를 보였다. 시대가 흘러도 하늘을 절대적인 것으로 믿는 신라인의 의식구조와 현실적인 이익을 구하는 일본인의 원래의 정신 풍토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 이어져 갔음을 규명해 보았다. 이 논문은 불교문화를 기반으로 둔 한일의 민족적인 정신풍토를 밝히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compare and analyse Buddhistic fables in Samkuk Yusa of Korea and Reiiki of Japan and study the circumstance of acceptance of Buddhism by both countries in ancient time and also to investigate spiritual state of people at that time who were main players for growth of Buddhism. To this end this writer linked Gamtongpyun of Samkuk Yusa of Korea and Koutokutan of Reiiki of Japan, both of which are eldest Buddhistic fables in Korea and Japan to historical stream and this writer intends to examine unique way of thinking of people in both countries on the basis of such finding. In Chapter II, historical examination on acceptance of Buddhism in Shilla and Japan has been performed. In Chapter III the state of popular Buddhism from earlier half and later half of Shilla Dynasty in Korea with a focus on Gamdongpyun of Samuk Yusa was compared to such circumstance in Japan from the time of Yamato to the time of Nara with a focus on Koutokutan of Reiiki of Japan. Ancient Shilla showed a trend of combination of Buddhism and shamanism by accomodating strength of Buddhism on the spiritual basis of worshipping gods in heaven. On the other hand Japan at that time showed a trend of combination of gods and Buddhism. Since then both countries began to accept Buddhism more positively and in case of Shilla Dynasty royal courts and nobles embraced Buddhism enthusiastically as a religion for protection of the country whereas in Japan Buddhism was embraced with an intention of finding source of strength greater than gods of clans by replacing with Buddhism. And then during the heyday of Buddhism people of both countries accepted Buddhism on the basis of their spiritual milieu of their respective countries. In Shilla Dynasty was born Wangsaengdam which was a belief that people return to the other world after their death at the order of heaven which was worshipped as an absolute entity in the mind of Shilla people. People devoted themselves to Buddhistic ways with a strong desire for Wangseang which was rooted in the thought of Boolkukto (land where Buddha lives). On the other hand during Nara Era of Japan Koutokutan was born and it was rooted in realistic and individualistic consciousness people at that time seeking for personal blessings through Buddhism. During the later half of Shilla Dynasty Buddhism became very attached to the state itself and Buddhistic priests found their ways for success in the world but during the later half of Nara Era they were in need of Buddhism for seeking the personal interest in this world same as during the middle period. During the last period of Nara Era similar to that of Shilla Buddhistic priests grabbed the power and ruled the country as in a form of dictatorship. During the age of impending transitional period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state of change in the sectors of Buddhism both in Shilla Dynasty and Japan. In Chapter IV three characteristics in the form of accomodation of Buddhism in Korea and Japan are mentioned. First during the period of accomodation of Buddhism Shilla showed worship for god of heaven, a unique phenomenon in Korea at the same time embracing Buddhism whereas in Japan Buddhism was accomodated on the basis of worship of god of nature. Second, as Buddhistic culture was further advanced Shilla began to accept it as a religion for defense of fatherland while in Japan it was accepted as a religion for protection of clans. Third, at the height of its prosperity Shilla showed a Buddhism rooted in the thought of Bulkukto (land where Buddha is living) whereas Buddhism during this period in Japan showed its root implanted in search for individualistic interest in this world. In this treatise the writer attempted to identify the way of thinking of Shilla people who worshipped heaven as absolute being and mentality of Japanese seeking interest in this world both of which are still maintained without change even today. The significance of this treatise may be found with an attempt to identify way of thinking of the Koreans and Japanese which is rooted in the tradition of Buddhistic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