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3 Download: 0

지각운동기능활동이 잠재적 학습부진아의 학습준비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지각운동기능활동이 잠재적 학습부진아의 학습준비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uthors
최혜라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學習의 基礎를 이루는 學習準備度는 多樣한 要素로 構成되어 있다. 특히 兒童의 均衡的 發達을 이루게 하는 知覺運動領域이 차지하는 比重은 發達初期에 크며, 그렇기 때문에 幼兒期의 學習準備度는 知覺運動技能 發達여하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그러므로 知覺運動技能의 伸張을 위한 訓練을 體系的으로 實施하면 知覺運動能力이 開發될 수 있으며 그 結果 學習準備度의 向上을 가져올 수 있다는 理論的인 뒷받침이 提示되고 있어 本 實驗에서는 知覺運動技能 向上을 위한 訓練 프로그램을 作成하여 訓練을 實施한 集團과 實施하지 않은 集團 사이에 學習準備도에서 어떠한 差異를 보이는 가를 검증코자 하였다. 따라서 本 硏究는 潛在的 學習不振兒의 學習準備度를 向上시키기 위한 知覺運動技能活動을 開發하여 그 效果를 살펴보는 데 目的을 두었다. 硏究의 對象은 서울市內 Y 幼稚園 全兒童(186名)에게 幼兒 學習準備度 檢査를 실시하여 學習不振 領域에 屬하고 있는 兒童의 基準點數(70점 이하) 및 年齡(5-6歲), 性, 社會經濟的 背景, 知覺運動 檢査의 點數를 考慮하여 45명을 選定하였다. 그리고 兒童들은 體系的 無線方法(systematic randomizing)으로 집단 I. II. III에 각각 15명씩 配定하였다. 그 다음 集團 I에는 知覺運動技能活動을 實施하였고, 집단 II에게는 正規 體育授業을 實施하였다. 集團III은 아무런 體育授業을 實施하지 않았다. 實驗은 19週동안 實施하였으며, 學習 準備度 向上値는 檢査-再檢査(test-retest)方法을 이용하여 測定하였다. 實驗結果 學習準備度는 知覺運動活動을 實施한 集團이 實施하지 않은 集團에 比하여 統計的으로는 有意있는 增加를 나타냈다. 結果分析은 分散分析(ANOVA)과 多重回歸分析을 하였다. 本 硏究의 結論은 다음과 같았다. 1. 知覺運動技能은 學習準備度 向上에 높은 影響을 미쳤다. 2. 學習準備度의 水準은 集團 I이 集團 II보다 有意하게 向上되었다. 3. 學習準備度의 水準은 集團I이 集團 III보다 有意하게 向上되었다. 4. 學習準備度의 水準은 集團II와 集團 III間에는 有意한 差가 없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erceptual motor skill activities for the potential underachiever, to examine its effects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readiness and further to acquire the practical data on the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pretest were administered to 186 subjects of boys and girls who were selected by the result of standard score. Subjects(N=45) were selected from the school according to a given pretest resul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of 15 group I, 15 group II and 15 group III by some criteria. The group I was trained with the perceptual motor skill activities. The group II was participated in regular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group III was not participated in regular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1 hours three days during 19 weeks and then the three groups were post-tested with the infant learning readiness test. For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roup I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group II in the learning readiness level. 2. The group I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group III.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II and the group III in the learning readiness level. 4. The Areas of perceptual motor skill was effected significant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readiness. 5. The subareas of learning readiness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in motor coordination, discrimination and mem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