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 및 과정연구

Title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 및 과정연구
Authors
조지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of counseling after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and also to examine the process of counseling according to career indecision subtypes, that is specifically divided to developmentally indecisive and chronically indecisive clients. This study is to offer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process of change in career group counseling by career indecision subtypes. So that it will help developing vocational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intervening in the career counseling discrimative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following questions. First, after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with the woman university students, will the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and the vocational indentity increase significantly in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in control group? Second, in each case of the developmentally indecisive student and the chronically indecisive student, what is different in the effect and the process of counseling? For investigating this question, the best session and the worst session are considered through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program evaluating questions, and indivisual contact by researcher. In both session, self closure depth is examined in each students. And the experience of clients about counselors’ intervention is evaluated to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ctual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sessions. The number of subjects in this study is totally eight, and all of them are female. The researcher presented during all the program was going on. Two group leaders were chosen using the same program. To achive these 2 major research problems, 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is tested using CDS and vocational identity scale of MVS. And, SEQ, a part of BSR, CRS and GPVRC were used for content analysis. For discriminating clients, STAI-T, CDDQ, PSI which was translated by researcher, and decision making style questionnaire were use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both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and the vocational identit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 best session and the worst session were different in each students. When each student evaluated both the sessions, private self disclosure category had the highst ratio in all the sessions. However, in case of developmentally indecisive client, that private self disclosure was more in the worst session than in the best session, and the public self disclosure was more rated in the best session than in the worst session. On the contrary, in case of chronically indecisive client, more private self disclosure was expressed in the best session, and comparatively more public self disclosure in the worst session. At the results of evaluating each client’s experience about counselor’s intervention, developmentally indecisive client had positive experiences(feelings and thoughts) about counslor’s intervention more than negative experiences and had few negative experiences. Chronically indecisive client also had positive experiences more than negative, but in the sixth and the seventh sessions negative experiences were more than positive. And according to career indecision subtypes, their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be effective in the developmentally indecisive students more than the chronically indecisive students, and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be needed according to the career indecision subtypes in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Many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in having been developed now, ye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more various programs which are suitable to the career indecision subtypes. ;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진로 미결정자의 유형, 즉 구체적으로는 발달적 미결정형과 만성적 미결정형 내담자에 따른 상담과정을 조사하였다. 진로미결정의 하위유형에 따른 진로집단상담 상황에서의 변화과정에 대해 더 좋은 차별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나아가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차별적인 상담개입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진로 미결정으로 도움을 얻고자 하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진로탐색집단상담을 실시한 후,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정체감이 의미있게 향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발달적 미결정형인 학생과 만성적 미결정형인 학생의 사례에서는 상담효과와 과정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각 미결정자의 가장 좋았던 회기와 나빴던 회기를 회기평가점수와 프로그램평가 진술 및 개별면접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각 회기에서 자기노출의 깊이가 미결정자마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고, 마지막으로 상담자 개입에 대한 내담자의 경험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직접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피험자는 모두 8명이었고, 두 상담자 모두 동일한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질적분석을 위하여 참여관찰자로 직접 참여하였고, 상담내용은 모두 녹음한 것을 축어록으로 만들어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상기한 문제들을 검토하기 위해서 진로결정수준검사(CDS: Career Decision Scale)와 My Vocational Situation(MVS)의 진로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고, 상담회기평가척도(SEQ: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와 구조화된 간단한 회상질문지(BSR: Brief Structured Recall)의 일부, 내담자반응체계(CRS: Client Reaction System) 및 집단과정언어반응유목(GPVRC: Group Process Verbal Response Category)를 이용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외에 내담자의 변별을 위해서는 특성불안검사(STAI-T), 진로결정문제척도(CDDQ: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Questionnaire), 문제해결척도(PSI: Problem Solving Inventory), 그리고 의사결정유형검사(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등의 도구들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한 후,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정체감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미결정의 하위유형에 따라서 가장 좋았던 회기와 가장 나빴던 회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각 내담자에 대해서 가장 좋았던 회기와 가장 나빴던 회기를 평정한 결과, 노출의 깊이에 있어서 모두 사적인 자기노출의 영역이 가장 높게 나왔다. 그러나 발달적 미결정형 내담자의 경우 사적인 자기노출은 가장 나빴던 회기에서 가장 좋았던 회기보다 더 많았으며, 일반적 자기노출은 가장 좋았던 회기에서 가장 나빴던 회기보다 좀 더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만성적 미결정형 내담자의 경우에는 가장 좋았던 회기에서 비교적 사적인 자기노출이 많았고, 가장 나빴던 회기에서 비교적 일반적 자기노출이 많았다. 또한, 상담자 개입에 대한 각 미결정형 내담자의 경험을 평정한 결과, 발달적 미결정형 내담자는 상담자의 개입에 대한 경험보고에서 긍정적인 느낌을 많이 받았으며, 부정적 느낌은 거의 없었다. 만성적 미결정형 내담자의 경우에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느낌의 빈도가 더 높지만, 6, 7회기의 경우 부정적 느낌을 더 많이 보고하고 있다. 이것을 미결정의 하위유형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미결정의 유형에 따라서 내담자의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일반적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과정이 만성적 미결정형 내담자보다 발달적 미결정형 내담자에게서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집단상담을 실시할 때 내담자의 유형을 분류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적절하게 배치할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현재까지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있지만, 앞으로는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내담자 유형에 따른 내용 구성 및 배치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