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reator이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77-
dc.description.abstract영아들이 양육자와 상호작용을 하며 놀이를 하는 것은 발달의 전형적인 부분이다. 그리고 영아와 양육자간에 이루어지는 적절한 상호작용은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조기의 양육자의 영아에 대한 상호작용 태도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그러나 장애영아의 경우 비장애 영아와 비교해서 상호작용의 속도가 느리거나 반응이 적다. 그 결과 양육자들은 그들의 영아와 상호작용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비장애 영아의 양육자와 비교했을 때 다른 형태의 상호작용을 하거나 부적절한 상호작용을 한다. 장애영아의 양육자는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영역에서의 결핍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로 발달중심적인 전략들을 사용하여 상호작용한다. 그리고 영아가 놀이를 주도하게 하기보다는 성인 주도의 직접적 상호작용을 주로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상호작용은 장애 영아가 반응할 기회를 더욱 감소시키고 그 결과 발달에 저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영아와 어머니간의 적절한 상호작용과 이를 통한 영아의 발달을 위해 장애영아의 어머니에게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intervention)를 실시하여 이러한 중재의 실시가 이들 어머니의 상호작용 형태를 후속적(contingent) 형태로 변화시키는지, 또한 장애영아의 놀이참여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생활연령 8개월에서 15개월인 세 명의 다운증후군 영아와 그 어머니들이 참여하였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를 이용하여,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를 실시한 후, 영아에 대한 어머니의 상호작용 형태 변화와 영아의 놀이 참여 형태 변화를 측정하였다. 중재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가 끝난 4주 후 어머니와 영아의 놀이행동을 관찰하였다. 훈련은 5회기동안 실시되었다. 각 회기는 총 60분으로 첫 30분간은 자료수집을 위하여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하에 어머니와 영아가 놀이를 하도록 하였다. 나머지 30분간의 훈련 프로그램은 장애영아의 어머니에게 상호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타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및 연구에 참가한 어머니 본인과 영아의 상호작용을 녹화한 비디오테이프를 보며 분석을 하고, 연구자와 역할극을 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5회기의 훈련이 끝난 후 자료 수집을 위하여 처음 30분간은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하에 어머니와 영아가 자유놀이를 하는 것을 촬영하였으며, 나머지 10분간은 아동과 어머니가 놀이를 하는 동안 모델링(modeling)을 보이거나 어머니의 상호작용 형태에 대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였다. 유지 검사는 중재가 종료된지 4주 후에 각 어머니와 영아별로 3-4회기씩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어머니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를 통하여 어머니들은 어머니 주도의 놀이를 하기보다는 영아의 주도에 따라 놀이를 하였다. 둘째, 영아-어머니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를 통하여 어머니들은 영아에게 장난감 선택의 기회를 주었고, 영아의 주변에 적절한 수의 장난감을 제시하였다. 셋째, 영아-어머니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를 통하여 어머니들은 영아의 행동이나 소리를 모방하게 되었다. 넷째, 영아-어머니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를 통하여 어머니들은 지시적 언어보다 놀이상황이나 영아의 행동에 대해 묘사해주는 후속적 형태의 언어를 주로 사용하였다. 다섯째, 영아-어머니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를 통하여 영아는 혼자놀이나 성인에 대한 관심보다는 공동관심이 증가하였다. 여섯째, 영아-어머니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를 종료하고 4주 후 대상 어머니에 따라 후속적 형태가 중재기간보다 다소 감소한 부분도 있었으나 기초선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고, 영아의 놀이 참여 변화는 영아에 따라 유지되기도 하였고, 기초선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기도 하였다. 중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중재는 어머니가 보다 후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도록 이끌었으며, 중재를 통해 영아의 놀이참여 형태 중 공동관심이 증가되었다. 장애영아와 어머니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위해 조기중재를 실시할 때 어머니로 하여금 적절한 상호작용 방법을 습득하게 하고 실제로 상호작용을 해보고 그에 대해 피드백(feedback)을 받아보는 형식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영아와 어머니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제한적이고, 영아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지만 장애영아와 어머니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조기중재가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on mother interaction style and infant engagement. For this purpose, three mohter-infant with Down s syndrome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on mother interaction style and infant engagement,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 was used. During intervention session, mothers were trained to interact with their infant by contingent style. 3-4 follow-up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each mohter-infant after 4 weeks to examine the effect of maintene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to mother-infant made the mothers interaction style become more contingently. 1-1.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to mother-infant made the mothers follow the infants lead. 1-2.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to mother-infant made the mothers give the toy to infants appropriately. 1-3.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to mother-infant made the mothers imitate the infants behavior and sound. 1-4.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to mother-infant made the mothers tell about infants behavior on the infants level. 2.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to mother-infant change the infants engagement style. 3. Changed interaction style were maintained to 4 weeks follow-up. The results from this investigation suggest that interaction-based early intervention to mother-infant could positively influence on the mothers interaction style and infants engag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11 A.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 11 1.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2 2. 영아에 대한 바람직한 상호작용 형태 = 18 B. 발달지체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 20 1. 발달지체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의 특성 = 20 2. 발달지체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대한 지침 = 24 C. 상호작용 중심의 조기중재 프로그램 = 27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2 A. 연구대상 = 32 B. 실험기간 = 34 C. 실험장소 = 34 D. 실험설계 및 실험조건 = 35 E. 자료수집 및 측정 = 39 F. 관찰자 신뢰도 = 43 Ⅳ. 결과 = 45 A. 어머니의 상호작용 형태 변화 = 45 B. 영아의 놀이참여 변화 = 62 Ⅴ. 논의 및 제언 = 66 A. 논 의 = 68 B. 제한점 = 74 C. 제 언 = 74 참고문헌 = 76 부록 = 85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669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상호작용 중심의 조기중재가 다운증후군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