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82-
dc.description.abstract연극놀이(Creative Drama)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서로간의 긍정적 경험을 갖게하여 바람직한 태도를 이끌 수 있음으로 전인교육을 위한 교육적 매체로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여러 선진국에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들의 인성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최영애, 1988; Heinig, 1993; McCaslin, 1987; Robert, 1982).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연극놀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교육현장에서 이를 적용해 연구되어진 것이 없고, 더구나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연극놀이가 소개되어지지도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활동으로 연극놀이를 활용할 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현재 교육부에서 초등학교에 장려하고 있는 방과후 특기·적성교육활동으로 연극놀이반을 개설하고, 장애학생과 함께 연극놀이를 할 때와 일반학생끼리만 연극놀이를 할 때 그리고 연극놀이를 하지 않을 때의 일반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개선의 효과를 비교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J초등학교의 일반학생들 세 집단으로 각각 17명씩, 총 51명이었다. 첫 번째 집단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통합된 연극놀이 집단이고, 두 번째 집단은 일반학생들로만 이루어진 연극놀이 집단이며, 세 번째 집단은 연극놀이 프로그램이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이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본 연극놀이 활동은 방과후 교육활동 프로그램으로 1회 80분씩, 총 20회 실시되었다.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태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용성 척도와 활동 선호도의 사전·사후검사를 토대로 공분산분석과 사후비교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합된 연극놀이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수용성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나타냈고, 사후비교분석에서도 통합된 연극놀이 집단과 다른 집단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통합된 연극놀이 집단의 수용성 척도를 세부요인별로 살펴보면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인 2요인과 ‘실제적 접촉’인 3요인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나 ‘사회적 접촉 의도’인 1요인과 ‘경도의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인 4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한 변화를 보인 2요인의 사후비교분석에서는 통합된 연극놀이반과 통합되지 않은 연극놀이반간의 태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3요인의 사후비교분석에서는 통합된 연극놀이반과 통제집단간의 태도 차이가 가장 컸다. 3. 활동선호도는 장애학생과의 직접적인 활동 참여 의도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통합된 연극놀이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태도 변화를 보였다. 사후비교분석에서도 통합된 연극놀이 집단이 다른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통합되지 않은 연극놀이 집단과 통제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각 문항의 분석을 통해 통합된 연극놀이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휴식시간이나 자유시간에 함께 노는 활동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으며, 그외 주로 학교에서 하는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참여하여 연극놀이 활동이 이루어질때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태도 개선을 효과적으로 이끌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수학급이 포함된 여러 초등학교에서 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해 좀 더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특별한 중재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령기 학생들의 가장 중요한 영역인 ‘학교생활’에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보다 자연스런 통합을 이끌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통합된 연극놀이 활동을 제안할 수 있겠다. ; In some developed countries Creative Drama is considered a useful medium in inclusive classes, i.e. classes that include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for the development of a well rounded person, which has proved to be fruitful in the education of the whole man. Also in Korea, some people are interested in this subject, but this has never been thought of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disabled children, not to mention teaching them by systematically using this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Creative Drama plays its role in the school environment as the activity which can be enjoyed together by both the non-disabled and disabled children and to look over its effects on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developing students aptitude and talent after school hours in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help parents reduce private lesson expens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members were part of the Creative Drama classes under the inclusive class condition(i.e. the class including both non-disabled and disabled children). Group 2 members were in the Creative Drama classes which excluded disabled children(i.e the class including only non-disabled children). The last group, group 3, was the control group which didn t take the Creative Drama clas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54 children attending "J"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o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17 children for each group. This three-group study was composed of pre-test, treatment of experiment and post-test. These Creative Drama Activities were scheduled as a part of after-school Activities program and were implemented for 80 minutes per session. These Dramas were implemented 20 times in all. The ANCOVA and Post-HOC Comparis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its effects on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through the pre- and post-test by the Acceptance Scale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reative Drama classes were notable positive statistical changes of attitudes on both the Acceptance Scale(1% level)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5% level). Especially examining its effects on the Acceptance Scale in detail, there were notable positive changes of attitudes on the 2nd factor(5% level) of the reaction of non-disabled children on deviation behaviors of disabled children, and the 3rd factor(0.1% level) of actual contact by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children, but there were not notable positive statistic changes of attitudes on the 1st factor of social contact intention by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4th factor of the reaction on light deviation behaviors of disabled children. Group 2 with the Creative Drama classes excluding disabled children and the last group, group 3, the control group not taking the Creative Drama classes, didn t show any not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on both the Acceptance Scale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Namely, Comparing these three groups such as group 1 with the Creative Drama classes under the inclusive class condition, group 2 with the Creative Drama classes excluding disabled children and the last group, group 3, of the control group not taking the Creative Drama classes, the most effective changes occurred in group 1. Accordingly, the inclusive Creative Drama program can be the direct and systematic method to improve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disabled children as after-school activities on the basis of results and the proven value of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태도 = 8 B. 연극놀이 = 14 C. 통합된 연극놀이를 통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 = 30 Ⅲ. 연구의 방법 = 34 A. 대상 = 34 B. 실험절차 및 방법 = 36 C. 실험도구 = 43 D. 측정도구 및 방법 = 43 E. 자료처리 = 45 Ⅳ. 결과 = 47 A.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수용성 태도 = 47 B.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활동 선호도 = 55 Ⅴ. 논의 및 제언 = 58 A. 논의 = 58 B. 제한점 = 65 C. 제언 = 65 참고문헌 = 67 부 록 = 79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118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통합된 연극놀이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초등학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