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현숙-
dc.creator문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6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utonomy,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utonomy ,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of postanesthesia care unit(PACU) nurse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5 PACU nurses who had worked at the nine University hospitals and three General hospital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 20 to Sep 15, 1998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Korean version of Professional Autonomy Scale(Schutzenhofer, 1983) developed by Han Kyung Ja et al.(1984), the Job Stress Scale developed by Hong Keun Pyo(1984) and the modified C.M.I. developed by Nam Chang Ho(1965).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Cronbach s alpha coefficients using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autonomy was 151.79(SD=15.64, Scale range=58-232). PACU nurses autonomy level was moderate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tonomy score according to nurses position(staff nurse or charge nurse). The charge nurses had higher autonomy level than that of the staff nurses(t=-2.51, p=0.014).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y score and age(r=0.24, p=0.013), work experience(r=0.30, p=0.003), and PACU experience(r=0.21, p=0.032). 2.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17.82(SD=2.48, Scale range=5-35). The 55 items of Job Stress Scale were consisted of 7 factors. The highest rank of stress factors were ‘inadequate reward ’, and ‘identified autonom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dentified autonomy’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t=2.46, p=0.016) and nurses position(t=2.35, p=0.002).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identified autonomy’and age(r=-0.21, p=0.017), work experience(r=-0.31, p=0.001), and PACU experience(r=-0.26, p=0.005). 3. The mean score of health status was 96.61(SD=8.82, Scale range=56-112). The 56 items of Health Status Index were 2 components(34 items physical health , 22 items mental heal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tatus according to marital status(t=-2.22, p=0.029).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status and age(r=0.32, p=0.001), work experience(r=0.30, p=0.001), and PACU experience(r=0.18, p=0.040). 4. The level of autonomy and the total job stress had negative relationship(r=-0.33, p=0.002). 5. The level of job stress and the health statu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r=-0.03, p=0.399). ; 전문직은 지식, 기술, 역할, 가치를 공급하며 업무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구조와 기능을 개발하고 영역을 확장시켜 나가기 위해 복잡하고 높은 수준으로 재조직되어 발전해 나가는 조직이다(Styles, 1989). 전문직으로서 간호사는 급속하게 변화하고 더욱 복잡해지는 과학사회에서 타전문직과 마찬가지로 정적인 상태에서 벗어나 간호행위를 함에 있어 환자의 행동이나 상태에 민첩하게 판단하고 그 변화에 대응하여 이성적으로 민감하게 기능해야만 한다(전산초, 1987). 전문화되어가는 간호영역중 한 분야인 회복실 간호업무는 신생아에서 노인에 이르는 다양한 환자를 수술방법 및 마취방법에 따라 질적이고 효과적으로 간호함에 있어 수술 및 마취 후 합병증을 주의깊게 관찰하며(Elms, 1972), 응급상황을 판단하여 신속하게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책임있는 업무이다(Brooks, 1975). 이러한 전문직으로써의 책임업무와 관련되 회복실 간호사의 권한 정도를 보면 간호사로서의 역할에 따른 권한이 회복실 간호사에게 보다는 마취의의 권한에 예속되어 있어 회복실 간호사로서는 권한 없는 책임의 증가로 업무상 무력감 및 전문직으로써의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처럼 회복실 간호업무에 있어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고 통제하는 권리, 권한인 자율성이 제한을 받는것은 회복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더 나아가 간호사의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주어 결국 질적인 환자 간호 및 업무효율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회복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자율성, 업무스트레스,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자율성과 업무스트레스 및 업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규명해 봄으로써 회복실 간호사의 자율성 증진과 업무스트레스 감소 및 건강증진을 위한 대안마련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9개 대학부속병원 및 3개 종합병원 회복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05명이었고, 자료는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8년 8월 20일에서 9월 15일 까지 총 25일간 이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6문항, Schutzenhofer(1983)가 개발한 전문직 자율성 태도 측정도구를 한경자 외(1984)가 번역한 28문항, 홍근표(1984)가 개발한 업무스트레스 측정도구 55문항과 Weider et al.(1945)이 고안한 Cornell Medical Index를 남창호(1965)가 수정, 보완한 C.M.I. 간이 건강조사표 56문항 총 145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자율성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Cronbach s α=0.86, 업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Cronbach s α=0.89, 건강상태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Cronbach s α=0.89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으로 전산 통계 처리를 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대상자의 자율성, 업무스트레스, 건강상태는 최저치, 최고치, 평균, 표준편차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율성, 업무스트레스, 건강상태는 t-test와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구했으며 자율성과 업무스트레스, 업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회복실 간호사 105명이었고 연령은 평균 28.54세(표준편차 4.27), 결혼상태는 미혼이 61명(61.0%), 기혼이 39명(39.0%)이었다. 최종학력은 간호전문대학 졸업자가 65명(62.5%), 간호대학이상 졸업자가 39명(37.5%)이며, 직위별로는 일반 간호사가 93명(88.6%), 책임 간호사가 12명(11.4%)이었다. 근무경력으로는 병원근무경력이 평균 61.58개월(표준편차 44.64), 회복실 근무경력은 평균 47.25개월(표준편차 36.19)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자율성 정도(측정가능범위 58-232점)는 평균151.79점, 표준편차15.64로 나타났다. 업무스트레스 정도(측정가능범위 5-35점)는 평균평점 17.82점 표준편차 2.48이었다. 각 요인별 스트레스 정도는 ‘봉급문제요인’ 3.14점, ‘지각된 자율성 요인’ 3.08점, ‘병원규칙 및 행정요인’ 2.72점, ‘수간호사에 대한 태도요인’ 2.43점, ‘의사의 업무위임요인’ 2.34점, ‘지식 및 기술요인’ 2.31점, ‘업무 스케쥴요인’ 1.85점이었다.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56문항에서의 전체 건강상태는 평균 96.61점 표준편차 8.82이었고, 신체건강이 평균 58.85점 표준편차 5.89, 정신건강이 평균 37.83점 표준편차 4.07이었다. 3. 자율성과 유의한 관계 또는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r=0.24, p=0.013), 병원근무경력(r=0.30, p=0.003), 회복실근무경력(r=0.21, p=0.032), 직위(t=-2.51, p=0.014)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것은 결혼상태, 최종학력이었다. 결국 연령이 많고, 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책임간호사에게서 자율성이 높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업무스트레스와 유의한 결과를 보인 특성은 결혼상태로(t=2.08, p=0.041) 미혼이 기혼보다 업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했다. 5. 건강상태와 유의한 관계를 보인 특성으로는 연령(r=0.32, p=0.001), 병원근무경력(r=0.30, p=0.001), 회복실 근무경력(r=0.18, p=0.040)이었다.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것은 결혼상태(t=-2.22, p=0.029)로 기혼의 건강상태가 더 좋았다. 6. 자율성과 전체업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r=-0.33, p=0.002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7. 업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관계는 r=-0.03, p=0.399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회복실 간호사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권위와 책임을 갖기 위해서는 회복실 간호활동의 이론적 근거 및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만 다른 전문직과 공동으로 일을 함에 있어 독립적인 활동영역을 확대하게 되고 자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연구 대상자를 서울·경기지역외 다른 지역의 회복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율성과 업무스트레스에 관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2. 한국의 임상상황과 회복실 간호업무 특성을 고려한 자율성, 업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자율성 제한에 따른 업무스트레스가 환자간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제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3 II. 문헌 고찰 = 5 A. 자율성 = 5 B. 업무스트레스 = 9 C. 건강상태 = 14 D. 자율성과 업무스트레스 = 16 E. 업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 19 III. 연구 방법 = 21 A. 연구설계 = 21 B. 연구대상 = 21 C. 연구도구 = 21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24 E. 자료분석 = 24 F. 연구자의 윤리적 측면 = 25 G. 연구의 제한점 = 25 IV. 연구결과 및 논의 = 26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6 B. 연구 대상자의 자율성, 업무스트레스, 건강상태 = 27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율성, 업무스트레스, 건강상태 = 31 D. 연구 대상자의 자율성과 업무스트레스와의 관계 = 38 E. 연구 대상자의 업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관계 = 39 V. 결론 및 제언 = 41 A. 결론 = 41 B. 제언 = 46 참고 문헌 = 48 부 록 = 57 영문 초록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603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회복실 간호사가 지각한 자율성과 업무스트레스,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