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이상의 소설 공간 연구

Title
이상의 소설 공간 연구
Authors
황도경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의는 기존의 많은 관심과 논의에도 불구하고 문학적 규명에 있어서는 여전히 미흡함을 드러내고 있는 李箱 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이를 구조적, 언어적으로 분석, 검토함으로써 李箱 소설의 미학적 특성과 이에 반영된 작가 의식 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의를 위해 허구적 언술에 의해 창조된 상상적 영역의 총체를 비유하는 ‘소설 공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하나의 소설 텍스트를 형성하는 두 층위, 즉 서사적 세계의 구성과 이를 언어화하는 서술적 구성을 포괄하는 개념일 뿐 아니라, 이것이 독자와의 역동적 관계 위에서 의미를 파생시켜 가는 열린 텍스트임을 전제로 한 개념이다. 본 논의의 구체적 진행은 텍스트 공간의 두 층위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는 이 두 공간이 독자와의 접촉에 작용하는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장이 되기 때문이다. III장은 논의의 출발로서의 <날개>에 대한 모형적 분석으로, 인물 행위의 반복적 움직임과 그에 따른 공간 이동이 본질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 사이의 갈등을 구조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언어 사용이나 목소리에 있어서도 두 이질적 존재를 환기시키는 문체의 이중성이 두드러졌는데, 여기에는 자아와 현실, 행위와 의식 사이에서 분열된 존재의 이중성이 반영되어 있다. IV장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李箱소설 전체의 서사 공간 구조를 검토하였다. 수평적 층위에서의 기본 구조는 內/外공간의 대칭을 토대로 한 ‘나가다/들어오다’의 끝없는 반복이라고 할 수 있고, 여기에는 주인공의 내적 갈등이 반영되어 있다. ‘길’은 이 ‘안’과 ‘밖’의 두 공간을 가로지르고 있는 중요한 서사 장치가 되는데, 이때 ‘길’은 < 十二月 十二日>에서 비롯된 삶과 죽음, 희망과 절망, 떠남과 돌아옴이 교차하는 곳이다. 이 ‘길’은 앞으로 뻗어 있는 것이 아니라 끝없이 회귀하는 순환의 ‘길’로, 벗어날 수 없는 삶과 운명의 비극성을 나타내는 구조적, 주제적 원리가 되어 있다. <날개>, < 蜘蛛會豕>, <地圖의 暗室>의 경우 이 ‘길’에 대비되는 공간으로 ‘방’이 설정되어 있는데, 이 두 공간을 축으로 해서 나가다/들어오다, 걷다/자다, 옷입다/옷벗다 등의 행위가 반복된다. 후기 소설에 가면 이 공간 대칭은 남/녀 인물을 중심으로 한 가출/귀가, 속다/속이다 등의 행위 대칭으로 전개되는데, 이 때 ‘가면’, ‘거울’, ‘면도’, ‘이발’, ‘구두’, ‘양말’, ‘버선’, ‘옷’등이 속임, 외출, 가출 등의 기호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 안/밖, 외출/귀가, 폐쇄/가방 등의 대립축을 때로는 연결시키고 때로는 차단시키는 매개와 차단의 양의적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서 ‘장지’, ‘덧문’, ‘담’, ‘미닫이’, ‘문지방’등도 검토되었다. 이러한 수평 구도는 그대로 수직축으로 옮겨진다. <休業과 事情>의 경우 上/下의 대칭 구도 위에 SS/보산, 신체/정신, 침뱉기/물뿜기 등의 대립이 구조화되어 있고, 이를 통해 정신적 가치와 현실적 가치의 전도된 상하 관계에서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李箱소설에서 이 갈등의 극복은 항시 위로 올라가는 지향성을 띄고 있고, 이 점에서 ‘길’의 수직적 변형으로서의 ‘층계’나 ‘경사진 길’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길’ 위에서의 上/下 이동은 현실과의 접촉에서 마주치는 수평축에서의 내적 갈등을 수직축으로 옮겨 놓은 것이 된다. 여기에는 상승/추락, 빛/물의 대칭 구도가 함께 구조화되어 있고, 이 양축의 매개 공간으로서 ‘산’과 ‘창’등이 나타난다. 결국 안/밖, 상/하, 외출/귀가, 개방/폐쇄, 상승/추락, 해 있음/해 없음 등은 李箱 소설을 지탱하는 갈등의 두 대립축이며, 이들 사이에 매개와 차단의 이중 기호로서의 경계 공간이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李箱 소설에 전제된 금기와 차단의 공간 구도는 점차 그 금기의 파괴, 경계 해체로 나아가며, 반복, 순환 구조는 이러한 시도와 좌절의 반영태인 것이다. 서술자의 언어 행위에 의해서 형성되는 서술 공간에 대한 분석인 V장에서는 언어의 가장 표층적 층위인 음성과 표기의 의미작용, 인물의 내면 세계나 세계관을 반영하는 내면문체, 서술자와 인물 등의 목소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서술 상황을 차례로 검토하였다. 李箱에게 있어 언어는 그 지시적 의미 이전에 음성, 표기 자체가 의미 생산의 기점이 된다. 이를 통해 그는 독자의 관심을 허구적 세계의 내용 뿐 아니라 허구적 언술의 재료로 이끌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내면문체의 검토에서 드러난 문체적 특징은 인물의 지적 관념성과 현실적 무력함, 백치성이 공존하는 이중 문체로 요약될 수 있다. 한글 술어 중심의 어휘와 난해한 명사형 한자어의 이질적 언어 사용, 동일 어휘나 구절의 반복, 병치, 술어의 명사화, 이중부정 언술, 신체나 무생물의 주어화와 주체의 피동화, 접속사를 배제하고 앞 문장의 말미 어휘나 구문을 덧붙이기 하듯 되받는 서술의 연쇄성 등이 그 구체적 장치들이다. 서술 상황에 대한 검토에서는 자기 객관화로서의 글쓰기가 그의 소설 쓰기의 출발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처녀작인 <十二月 十二日>에서의 미숙성과 작위성이 극복되면서 서술자의 말이 인물의 말과 혼합, 대치되는 양상이 두드러지고, 이는 결국 일인칭 서술로 전개되고 있다. 이 때에도 서술자아의 말이 경험 자아의 말과 혼합, 교체, 혹은 대치됨으로써 두 자아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마지막 작품인 <終生記>에서는 행위, 의식, 서술 주체로서의 ‘나’의 삼중 구조 속에서 이들의 목소리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져 있는데, 이를 통해 행위와 의식 사이의 관계 뿐 아니라 현실과 허구, 진실과 거짓의 관계 및 그 경제의 문제가 종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볼 때 李箱의 소설 세계는 현실과 이상, 관념과 실재, 진실과 거짓의 사이에 끼인 두 ‘나’의 갈등을 반영하는 대칭, 순환 구조와 이중 문체로 정리될 수 있다. 다양한 갈등의 대립축 사이에서의 반복, 순환적 움직임, 행위 주체로서의 어리석은 ‘나’와 이를 바라보는 지적 존재로서의 또 다른 ‘나’의 공존, 그리고 이 이중적 존재가 만들어내는 이질적 언어 사용 등은 모두 인물의 갈등과 절망을 구체화하고 있는 장치들이다. 결국 이를 통해 구현되고 있는 李箱의 소설 공간은 참과 거짓 사이에서의 존재나 현실의 양면성, 끝없는 가치 전도, 그리고 그에 기인한 비극적 순환성의 세계라 할 수 있다. 그는 문학 행위를 통해서 현실과 허구, 진실과 거짓의 관습적인 경계를 파괴, 해체시키고 문학과 삶의 진정한 면모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다시 우리들 자신에게로 돌려 놓는다. 그의 소설이 갖는 진정한 의의는 이러한 고뇌의 치열함 그리고 이를 미학적으로 구조화하려는 방법론적 모색의 성실성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valuate the aesthetic nature and the writer s consciousness of Lee Sang s novels, on which, in spite of many concerns and discussions, there is still needed more concrete and synthetic investigation focu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For this discussion, I used a concept of the fictional space , which means the imaginal expanse created by fictional discourse which, though ultimately self-referential and self-validaty, necessarily exists in ascertainable relation with the real world and the reader outside the text. The fictional space is constituted by the text space and the space of the reader which consists in gaps of the text space. The text space of a fiction can be divided into two subspaces: the narratival space and the narrational space, which, as concrete and substantial fields to contact with reader, are adopted as two dimensions of analysis in this thesis. Chapter III makes an attempt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nd the style of The Wing as a model text. As a result, it is founded that repetition in hero s act and movement of the space structurize conflicts between the I as a natural self and the I as an actual self. And in the level of language and voices, duality of style which evokes duality of being is investigated. Chapter IV, basing upon these analyses, examines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space of the whole novels of Lee Sang. The basic structure in the horizontal dimension is repetition of go out/come in based on the spatial symmetry of inside/outside , which reflects inner conflicts of hero. The road , as an important narrative device crossing through this inside and outside , is the intersecting point to cross life and death, hope and despair, and leaving and returning. This road is not a road streched forward but a circulating road constantly returning to the starting point, which reflects the structural and the thematic principle to represent the tragic nature of life and destiny. In case of The Wing, Spiders meet Pigs, The Darkroom of a Map, a room is constructed as a contrasting space with road , and the acts of go out/come in , walk/sleep , dress/undress are repeated basing on this two axes of space. In the later novels, this symmetry of space is developed to symmetry of act like as leaving home/returning home , cheating/being cheated , and so on. Mask , mirror , shaving , haircut , shoes , socks , clothes are the signs of cheating, leaving home, and going out. And also, jangji , an outer door , a wall , a sliding door are investigated as the boundary spaces which sometimes connect and sometimes separate the contrary axes like as inside/outside , leaving home/ returning home and closing/opening . This horizontal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vertical axis. In case of Closure and the Reason, confrontation between SS/Bosan , body/soul , spit/spouting water out is structured based on the symmetry of up/down , to represent conflicts in the reversed vertical relations between the mental value and the actual value. The overcome of this conflicts has intention to go up, and in this respect stairs and slope can be understood as vertical variation of road . The movement of up/down on the road means vertically moved inner conflicts of hero. The symmetry composition of going up/falling down and light/water are also structured in this dimension, and mountain , and window become the boundary spaces of this axis. Therefore, inside/outside , up/down , leaving home/returning home , opening/closing , going up/falling down , light/ no light , so on are two opposing axes of conflicts in Lee Sang s novels, and the boundary spaces are located between them as a double sign of mediation and interception. The space of taboo and border is constantly destructed and dissoluted, and the structure of repetition ad circle reflects this trial and frustration. Chapter V intends to analyse the narrational space in three dimensions: the phonetic and graphic level of language, mind style reflecting the inner world or the world-view of the characters, and narrative situations focused on the relations of voices. Lee Sang, considering the phonetic and graphic level of language as a cardinal point to produce meaning, made various attempts to drow reader s interest into the material of fictional discourse. The investigation of mind style is made in the lexical level, syntatic level, and contextual level. The characteristics of style can be summarized by dual style reflecting dual respects of intellectual and conceptual nature, and actual helplessness and idiocy of heros. The contrasting use of the Korean predicate and the Chineses noun, repetition and juxtaposition of the same vocabulary or phrase, substitution of predicate by noun, double negative discourse, personification of body and inanimate objects, and the pasive sentence reflecting helplessness of heros, connecting sentences by repeating the vocabulary or the phrase of the pre-sentence instead of using conjunction, are the concrete devices for thi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narrative situation, it is founded that writing as objective self-reflection is a premise of his writing novels. Overcoming crude and artificial manners of narration in his first work The Twelfth Day of December, speech of narrator becomes mixed with or substituted by speech of characters. This reflectorization of the narrator develops to the first person narrative situation. At this time, the speech of the narrating I , is often mixed or substituted by the experiencing I . In the last work, Description of Ending Life, the border of voices are more ambiguous between the subjects of act, consciousness, and narration, and through this, the essential problem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act and consciousness, reality and fiction, and truth and untruth are synthetically raised.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Lee Sang s novels can be summed up in the symmetry and circle structure, and dual style reflecting inner conflicts and split of I . Various confronting axes, duality of being - the foolish I as an acting subject and the intellectual I as a narrating subject, and dual style are all the literary devices to structurize conflicts, negation, and despair of the world of Lee Sang s novels. In duality of being and reality between truth and untruth, endless reversal of value, and the tragic circulation structure, the traces of Lee Sang s despair, distress and the efforts to overcome it are reflected. He, destroying and deconstructing the customary border of reality and fiction, truth and untruth, raised the question on the substance of literature and life not only to himself but also to us. The real significance of Lee Snag s novels can be founded in sincerity of this affiliation and seriousness of methodological grope to construct it as an artistic tex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