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엄경희-
dc.creator엄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정주 시에 나타난 상상력의 변모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 시를 구성하는 중심 원리 가운데 시적 자아, 공간, 시간의 유기성을 의식 현상학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서정주 초기시의 시적 자아는 주로 동물적 이미지에 의해 표출되고 있다. 동물적 이미지가 환기하는 시적 자아의 과도한 에너지는 긍정적으로 확산되지 못한 채 병적 자아의 내부로 굴절됨으로써 비극적 세계 인식을 드러낸다. 인간의 존재 방식을 동물적 이미지로 해석하는 데는 쾌락의 끌림과 욕망의 좌절을 동시에 체험해야하는 아이러니적 존재로서의 인간관이 자리하고 있다. 동물적 자아의 내면에서 서로 충돌하고 있는 대립적 가치들은 벽 의 이미지가 환기하는 감금 구속 막힘 이라는 공간적 특질로 구체화되면서 공간에 대한 방향 상실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감금의 공간은 자아의 존재성에 대한 부정의식과 결부되면서 공간의 소멸이라는 의미 맥락으로 다시 심화된다. 서정주의 초기시에 나타난 시간은 정지 멈춤 고임 반복 망각 등 불연속적 시간 의식으로 나타난다. 시간은 변화되지 않은 채 동일함을 반복함으로써 삶의 역동적 운동성을 無力化하고 존재를 고착시킨다. 시간에 대한 단절 의식은 역으로 과거에 대한 회귀 의식이나 집착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그러나 초기시에 나타난 과거의 현재화 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시간적 유대나 지속으로 보기 어렵다. 해방 이후의 작품에서 시적 자아는 고립으로부터 벗어나 우리 라는 복수 개념으로 확대된다. 이때 세계와 자아의 관계는 동일성(identity)의 회복으로 나아간다. 우리 라는 공유적 심리는 일상의 보편적 삶을 긍정함으로써 세계와 자아간의 화해적 논리를 만들어 내는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시적 공간은 나 를 가두던 폐쇄적 공간에서 소통의 공간으로 확장된다. 시적 자아는 지상과 천상 사이에 경계의 공간을 설정함으로써 단절된 의식성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하눌ㅅ가 로 요약되는 수직적 경계의 공간은 서로 이질적인 것들을 융화하여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는 모성적 공간의 의미를 생성해낸다. 또한 하눌ㅅ가 는 물 의 심상과 결합되어 물의 유동성과 순환적 힘으로 수직적 상승을 꾀하는 시인의 상상력을 드러낸다. 시간 의식은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관련되는 데 정체된 시간을 파괴하기 위해 시인은 대변혁의 순간을 감행한다. 서정주의 시에서 벼락과 海溢의 우주적 開闢 은 카오스에서 코스모스로 넘어가는 입사(initiation)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벽의 순간은 파괴와 생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존재 전환의 시간성을 함축한다. 6·25 전쟁 이후의 시편들에서부터 시인은 인간의 근원적 존재 상황을 문제 삼기 시작하는데 인간을 구속하는 한계상황으로부터의 자유와 초월 의지는 변신의 욕망으로 표출된다. 이 시기의 시들은 설화적 인물의 다양한 탈(mask, persona)을 수용하고 있으며, 더욱 관심을 끄는 것은 한 편의 시속에 나타난 시적 자아가 다양한 은유를 통해서 모습을 바꾸고 있다는 점이다. 변신의 일차적 목적은 인간의 육체성이 감내해야 하는 모든 고통을 벗어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로 인해 생성되는 변신 은유들은 주로 공중에 퍼져있는 빛이나 공기적 이미지에 의해 구체화된다. 공기적 이미지들에 의한 육신의 無形化는 존재를 가장 자유로운 상태에 이르게 하고자 하는 의식의 소산이다. 시적 자아의 다양한 변신은 그 변신체들이 머무를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시적 공간 또한 한 가지 형태로 귀착되지 않고 시적 자아의 변신과 유기적 연관을 맺으며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이때 시인은 공간을 세우고 허무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자신의 의식을 넒혀감과 동시에 사물의 크고 작음을 뒤바꾸어 놓음으로써 공간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해체시키고 있다. 인간의 본질을 須臾的 存在로 인식한 시인은 새로운 시간의 질서를 시로 형상화하고자 한다. 서정주의 영원주의가 그것이다. 그의 시에 반복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불교적 인과론에 입각한 윤회적 순환은 변신 은유의 연쇄적 결합에 의해 시인이 지향하는 영원한 시간을 구조화한다. 이와 더불어 영원의 관념은 여성 이미지 를 통해 구체화된다. 『질마재 神話』이후의 시들부터 시인은 초월적 세계가 현실과 분리된 피안에 존재해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현실 자체에 내재해 있다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聖과 俗이 하나라는 인식의 전제는 전능적 자아의 자유분망한 목소리에 의해 전달된다. 전능적 자아는 세상사를 꿰뚫어 보면서 자신에게 부여된 능력과 자유 속에서 모든 것을 통어한다. 따라서 그는 다중 인격으로서 삶에 대응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능적 자아가 환기하는 인생 태도는 다분히 낙관적이고 유희적이다. 또한 전능적 자아는 범속한 것은 신성한 것으로 격상시키는 반면에 권위적이고 신성한 것은 범속한 것으로 격하시킴으로써 보다 친근한 것으로 그 거리(distance)를 조절한다. 전능적 자아에 의해 창조된 시적 공간은 聖과 俗이 하나로 융화되어 동일한 차원으로 조응하는 공간이다. 서정주의 시에서 세속의 잡사는 하늘 의 맑은 기운과 서로 상통하는 天人合一의 공간 속에 자리해 있다. 이와 같은 공간의 조응 양상은 생활 공간을 거울 의 이미지로 淨化하는 시적 상상력에 의해 형상화된다. 天人合一의 공간으로부터 표출되는 영원성 은 더이상 하나의 관념적 지향이기를 멈춘다. 피안의 세계에 존재해 있는 영원한 시간은 여기에 이르러 현실적 의미로 실제화 되고 있는 것이다. 역사와 현실의 측면에서 시인은 지속 의 시간 개념을 강조하고 영원 을 범속화한다. 이는 다시 서정주의 내세적 사유와 접맥됨으로써 초역사적 시간성으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살펴본 본론의 내용을 통해서 서정주가 내세우고 있는 다양한 시적 자아들은 구체적 生의 문제를 육체적 존재로서 인간이 어떻게 감내하고 극복할 수 있는가를 집요하게 천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정주의 상상력은 지속적으로 인간의 한계상황을 말해주는 육체의 부피와 무게를 덜어냄으로써 자신의 의식 속에 있는 자유 의지를 확대해 간다. 고착과 감금에서 출발하고 있는 서정주의 공간의식 또한 지상과 천상의 이원성을 초극하고 우주와 현실 공간을 하나로 소통시킴으로써 모든 방향성으로부터 자유를 획득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시적 시간은 단절의 심연을 연결하여 영원성을 향해 나아간다. 그의 불연속적 시간 체험의 이면에는 단절적 시간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갈망이 강하게 내포되어 있으며 시간의 지속성과 유대감을 회복하려는 의지가 담겨져 있다. 이런 점에서 그의 입사의 순간은 단절을 벗어나 지속 의 시간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하나의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영원의 시간성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시적 자아와 공간, 시간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서 서정주의 시세계가 세계와 자아간의 갈등과 화해라는 대타적 문제에서 인간 존재 자체의 근원성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의 변모 과정이 인간 삶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역동적 움직임과 변화를 거듭하면서 창조된다는 점에서 서정주의 시는 충일한 생명적 상상력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clarifying the changes of imagination in Suh Jung - Ju s poem and to analyze the organization of poetic-self, space and time which are central principles of poem s constitution based on the consciousness phenomenology. Poetic-self in Suh Jung - Ju s early work is mainly revealed by animal image. Excessive energy of poetic-self evoked by animal image isn t diffused affirmatively and manifests tragical recognition of the world by being refracted into the inside of abnormal self. Oppositional values that conflict each other in the inside of animal self are embodied i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s confinement constraint partition . And they present the meaning that is the loss of direction to the space. Time expressed in Suh Jung - Ju s early work is described the consciousness of discontinuous time, that is , for example, standstill stoppage stagnation repetition or oblivion . Time repeats identity without changing, thus it makes life s movement powerless and adheres to existence. Poetic-self in the works after Korean liberation escapes from isolation and it is expanded to plural concept as we . In this poi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processed to recovery of identity. Poetic space extends from closed space which confines the self to understanding space that can be communicative. Poetic-self struggles to elude discontinuous consciousness by defining boundary space between the earth and the heaven.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 is concerned with the effort to overcome discontinuity. Suh Jung - Ju takes decisive action of great change in order to destruct stagnated time. The cosmic Creation of lightening and overflowing in Suh Jung - Ju s poems is the process of initiation from chaos into cosmos. Therefor the moment of the Creation implies timeness of existence conversion, which is to progress construction and destruction at the same time. From the poems after Korean war, he questioned the situation of original human existence. Freedom from the limit situation with constraining human and transcendental will are represented as the desire of transfiguration. The works in that time have two characteristics. One is that they accepted various masks, persona, of a character in the narrative literature. The other is that the narrator in the even one poem changes its figure by different metaphors. Various transfiguration of poetic-self demands various spaces where transfigured bodies stay. So poetic space can t stick to only one space and must change fluxionally connecting to transfiguration of poetic-self organically. Suh Jung - Ju is aware of the human nature as momentary being and forms the order of new time into a poem. That is his Eternalism. Transmigrational circulation , repeatedly used in his poems, is based on the Buddhism s law of cause and effect and it structures eternal time by serial connection of transfigurative metaphor. From the works after Jilmajae myth he reveals the transcendental world exists not in Farameter-the other ideological world but in the real world itself. The premise of cognition that secularity and sacredness become one is delivered by the free voice of omnipotent self. It almost knows everything in the world and converses anything in the given ability and freedom. Hence he responds to a life as multi-personality to converse everything. Poetic space created by omnipotent self is where secularity and sacredness are harmonized and corresponds to each other in the identical dimension In his poems things in the secular world lies in the space where heaven and human become one. Eternity out of that space does not head toward only one ideology any more. Eternal time of Farameter is realized as realistic meaning in that space. He emphasizes the concept of continuous time in the aspect of history and reality, and mediocritizes eternity . And this concept expands transhistorical timeness connecting with thought of the future life. As what we have considered, we can see Suh Jung - Ju s various poetic-self persists in asking how human as physical being endures and solves the problems of concrete life. Also, his spatial consciousness originated from adherence and confinement surmount duality of the earth and the heaven. And it shows a series of process that can acquire the freedom from every directioness through linking between universe and real space. And poetic time connects an abyss of discontinuity to eternity. His inside of discontinuous time s experience connotes seriously desire of being free from discontinuous time and will of regaining continuity of time and relationship. Owing to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poetic-self, space and time, the world of Suh Jung - Ju s poem proceeds from resolving problem that is confliction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to searching for the originality of human existence itself. In the process, what an important thing is that the way of Suh Jung - Ju s transcendentalism is relied on realistic imagination. Another crucial thing is that the depth and flexibility of mind that Suh Jung - Ju shows in his works in the transcendental way placed in the relation with reality. The flexibility of mind is the power of Suh Jung - Ju s poem which can induce concreteness of reality to transcendental world. And it is also the origin of imagination which can change from secularity to sacredness, from pessimism to optimism, from constraint to freedom and from limit to limitl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사 및 문제 제기 --------------------------------------------- 1 B. 연구 목적과 방법론 ---------------------------------------------- 7 Ⅱ. 고착과 침몰의 단절적 심연 --------------------------------------- 18 A. 본능적 자아의 비극성 -------------------------------------------- 18 1. 동물적 에너지와 병적 자아 -------------------------------------- 18 2. 쾌락과 고뇌의 아이러니 ----------------------------------------- 23 B. 감금과 상실의 공간 ---------------------------------------------- 28 1. 벽 과 방향 상실 ----------------------------------------------- 29 2. 자기 부정과 공간 소멸 ------------------------------------------ 36 C. 停滯와 불연속적 시간 -------------------------------------------- 41 1. 정지된 시간 체험 ----------------------------------------------- 41 2. 단절 의식과 과거의 현재화 -------------------------------------- 47 Ⅲ.상승의 역동성과 세계의 확대 -------------------------------------- 53 A. 공유의식으로서 우리 ------------------------------------------- 53 1. 동일성 회복과 자아 확대 ---------------------------------------- 53 2. 현실 긍정과 화해 의식 ------------------------------------------ 57 B. 지상과 하늘의 경계 ---------------------------------------------- 61 1. 수직적 모성 공간 ----------------------------------------------- 61 2. 상승의 매개적 이미지 - 물 ------------------------------------ 68 C. 입사(initiation)의 순간과 시간의 창조 --------------------------- 74 1. 생명 분만과 우주적 진통 ---------------------------------------- 74 2. 사랑과 존재 전환 ----------------------------------------------- 80 Ⅳ. 변신 은유와 초월 의지 ------------------------------------------- 85 A. 변신의 다양성과 육체성의 해체 ----------------------------------- 85 1. 고통의 초월과 자아 변신 ---------------------------------------- 85 2. 공기적 상상력과 자유의지 --------------------------------------- 90 B. 공간 확대와 응축의 운동성 --------------------------------------- 97 1. 경계 세우기와 허물기 ------------------------------------------- 97 2. 크고 작음의 顚倒 -----------------------------------------------102 C. 변신 은유의 연쇄와 영원성 ---------------------------------------107 1. 영원의 순환적 구조 ---------------------------------------------108 2. 영원과 여성 이미지 ---------------------------------------------113 Ⅴ. 수평·수직의 융화와 낙관적 현실 인식 -----------------------------118 A. 전능적 자아의 낙천성 --------------------------------------------118 1. 유희 정신과 다성적 목소리 --------------------------------------118 2. 聖과 俗의 거리(distance)조정 -----------------------------------125 B. 일상 공간의 淨化 ------------------------------------------------130 1. 세속과 천상의 照應 ---------------------------------------------130 2. 생활 공간과 우주적 거울의 類比 ---------------------------------133 C. 지속과 초역사성 -------------------------------------------------139 1. 역사 지속의 시간 의식 ------------------------------------------139 2. 현실 지향적 내세관 ---------------------------------------------148 Ⅵ. 결론 ------------------------------------------------------------152 참고문헌 ------------------------------------------------------------159 ABSTRACT ------------------------------------------------------------1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278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정주 시의 자아와 공간,시간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