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희정-
dc.creator유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7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68-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중간계급의 문제는 이론적, 현실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중간계급의 위치와 성격을 어떻게 볼 것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여기서 중간계급의 문제를 어떠한 이론적 시각에서 보느냐가 중요해진다. 생산을 중심으로 한 Marx주의적 시각보다는 분배와 시장을 중심으로 한 Weber주의적 시각이 중간계급을 개념화하고, 그들의 의식을 이해하는데 보다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중간계급의 의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구사회, 또는 제3세계의 여러나라와도 상이한 한국사회의 독특한 성격이 반드시 고려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하에 본 논문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연구모형을 세우고 구중간계급 310명, 신중간계급 304명, 도합 61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중간계급은 현 사회 불평등구조가 정당하지 못하다는 매우 비판적인 의식을 소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 뿐만 아니라 노동자의 권익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복지정책을 실시하며, 소득의 재분배를 통해 보다 평등한 사회로 변화해가야 한다는 상당히 개혁주의적인 의식을 소유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육체노동자와 비육체노동자 간의 임금격차가 대폭 축소되어야 한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자본주의체제 자체를 부정하는 급진적인 평등이나 첨예한 계급갈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편 구중간계급보다 신중간계급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계수입이 낮을수록, 상층보다 하층에 더 가깝게 느낄수록, 현 불평등구조에 대해 비판적일수록, 사회갈등을 수용하는 태도를 가질수록, 보다 평등한 사회로의 변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로분석결과 중간계급의 평등지향적 태도는 외생변수에 의해 직접적으로 설명되기보다는 사회심리적인 변수를 매개로 하여 보다 잘 설명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의 중간계급은 비판적인 사회의식을 바탕으로 정치적인 민주화 뿐만이 아니라 경제적 민주화를 지지하는 세력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지나치게 급진적이고 과격한 사회변화에 대해서는 견제하는 세력이 될 것이다. 역사적인 접근을 결여하고 있으며, 의식과 행위의 역동적인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본 논문의 한계는 일상적인 계급실천속에서 계급의식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방법론의 개발화 함께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 The middle class has been stud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ects in modern capitalist societies. It has become one of the current sociological issues in Korean society how to view the position of the middle class in the class structure and class struggle. It depends greatly upo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ne chooses when the problem of the middle class is approached. In this particular study, the Weberian perspective, which approaches class phenomena in terms of market and distribution, is taken as more useful in conceptualizing the middle class and in understanding its consciousness than the Marxian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relations of production. In additions, it was strongly felt that the peculiarity of Korean society, distinctive from western advanced societies and from the third world countries, must be necessarily considered in comprehending the soci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middle class. In this regards, this study raised a number of study problems and constructed a path model. To test them empirically, total 614 middle class persons, 310 petite bourgeoisie and 304 white-collar employees, were interview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middle class is very critical about the legitimacy of present social inequality structure in Korea. Moreover they tend to favor reformative measures: they believed that the Korean society should be changed toward a more equal society by institutionalizing the rights of laborers, by enforcing the social welfare policies, and by restructuring income distribution through tax policies. It is noteworthy that they believed the income gap between blue-collar and white-collar workers should greatly be reduced. However they are skeptical about the radical equalitarianism which denies the capitalist system itself, and are against any violent class conflict. On the other hand, it appeared some patterned variation in their attitudes among the respondents. The new middle class more than the old middle class,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lower the family income, the more intimate they feel to the lower stratum relative to the upper stratum, the more critical about the legitimacy of the present inequality structure, the more receptive about the social conflict, the more liberal they were, supporting more strongly the change toward an equal and democratic society. Path analysis shows that the equalitarian attitude of the middle class is explained better by the social-psychological intervening variables than by exogenous variables such as age, income, education and class position. On the whole, it is expected that the middle class can be an important social force in supporting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as well as political democratization on the basis of their critical social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part in checking the forces that might attempt a radical and fundamental change. This study was not intended a historical review of the position of the Korean middle class, which bars us from grasping the changing process and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consciousness and action. This limitation might be overcome by the development of methodology which study the class consciousness intensively in connection with class practices in everyda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II. 계급이론과 중간계급의 개념화 ------------------------------------- 13 A. Marx주의적 전통 -------------------------------------------------- 15 1. K. Mark의 중간적 지위의 분석 ------------------------------------ 15 2. Neo-Marxist의 신중간계급의 분석 --------------------------------- 18 3. 구중간계급에 대한 분석 ------------------------------------------ 28 B. Weber주의적 전통 ------------------------------------------------- 32 1. Weber의 다차원적 계급분석과 중간계급 ---------------------------- 32 2. Neo-Weberian의 신중간계급의 분석 -------------------------------- 39 3. 구중간계급에 대한 분석 ------------------------------------------ 48 C. 요약 및 논의 ----------------------------------------------------- 52 III. 중간계급의 사회의식 및 정치적 성향 ------------------------------ 61 A. 서구사회의 경우 -------------------------------------------------- 61 B. 제3세계의 경우 --------------------------------------------------- 74 C. 한국의 경우 ------------------------------------------------------ 91 1. 계급구성과 중간계급의 객관적 위치 ------------------------------- 91 2. 중간계급의 보수, 진보 논쟁 --------------------------------------100 3. 중간계급의 사회불평등구조의 변화에 관한 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113 IV. 경험적 연구 ------------------------------------------------------135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135 B. 연구방법 ---------------------------------------------------------137 1. 조사설계 및 표집 ------------------------------------------------137 2. 주요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146 3. 자료수집 --------------------------------------------------------161 4. 자료분석 방법 ---------------------------------------------------163 C. 조사결과 분석 및 토론 --------------------------------------------163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163 2. 사회불평등구조에 대한 제반 의식의 일반적 경향 -------------------171 가. 주관적인 계층귀속의식과 계층구조에 관한 의식 ------------------171 (1) 주관적인 계층귀속의식 ----------------------------------------171 (2) 현 계층구조에 대한 의식 --------------------------------------195 나. 사회적 불평등의 부당성에 대한 의식 ----------------------------206 다. 사회 갈등에 대한 태도 -----------------------------------------223 라. 사회불평등구조의 변화에 대한 지향 -----------------------------231 3. 응답자의 객관적 특성 및 제 사회의식들간의 관계 분석 : 단순상관관계 분석 ----------------------------------------------254 4. 경로모형 분석 ---------------------------------------------------278 V. 결론 --------------------------------------------------------------284 참고문헌 -------------------------------------------------------------292 부록(질문지) ---------------------------------------------------------320 영문초록 -------------------------------------------------------------3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640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중간계급의 사회불평등구조에 관한 의식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