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도넬리와 미국 인민주의운동

Title
도넬리와 미국 인민주의운동
Authors
안윤모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論文의 目的은 19世紀 末 産業主義에 대한 반응에서 비롯된 農民反抗運動, 즉 人民主義運動의 歷史的 意味가 무엇인가 하는 人民主義運動의 性格을 도넬리의 改革思想과 活動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려는 것이다. 도넬리는 19세기 말 30년간 中西部와 南部에서 타오르고 있었던 改革運動에 앞장 섰다. 그는 奴隷制에 대항하기 위하여 共和黨에 가입하였으며, 獨占에 대항하기 위하여 그레인저가 되었으며, 金力에 대항하기 위하여 紙幣論者가 되었으며, 金權階級에 도전하기 위하여 人民主義者가 되었다. 그는 人民主義運動에 앞장 서서 당시의 ‘不平等’에 대항하였던 대표적인 인물이다. 特權을 가진 少數에 대항하여 特權을 갖지 못한 多數의 이익을 옹호하였다. 도넬리는 1892년 人民黨 創黨에 주역을 맡았으며, 그의 思想의 거의 전부를 구체화시킨 오마하綱領을 작성하였을 뿐 아니라 人民主義를 널리 전파시키고 人民主義運動을 활성화시키는데 여생을 바쳤다. 지금까지 人民主義運動에 관한 연구는 人民主義의 起源과 이데올로기 그리고 1896년 선거에서 人民黨의 역할에 대한 것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人民主義運動의 歷史的 意味를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도넬리를 통하여 人民主義運動은 改革인가 아니면 反動인가 하는 관점, 다시 말하면 進保와 保守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보려고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人民主義運動은 進步的·民主的 運動이었는가 아니면 反動的·保守的 運動이었는가 하는 人民主義運動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부분적인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美國은 産業化에 따라 19세기 말에 이르면 과거의 農村 中心의 農業社會에서 都市 中心의 産業社會에로 급속히 변모하여 갔다. 이와 같은 産業化 과정에서 大企業과 産業資本主義가 중심적인 위치를 굳혀나가게 되었으며 美國人들은 그 이전의 어느 시대보다 經濟的 繁榮을 누리고 있는 듯이 보였다. 그러나 經濟的 繁榮 뒤에는 극심한 貧困과 腐敗가 도사리고 있었으며 계급간의 갈등도 나타나게 되었다. 國富와 國民所得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大企業의 獨占現狀과 富의 偏在 때문에 貧·富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富力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 또한 매우 켜저 民主政治는 발전하여 갔으나 腐敗는 증가하였다. 農民은 負債와 抵當에 눌려 영원한 빚을 지는 반면에 사회 한구석에는 놀랠정도로 富가 축적하여 갔기 때문에 農民들은 이에 반항하였다. 勞動者들도 또한 産業化와 더불어 일거리를 찾아 길거리를 헤매었으며 大都市 주변에는 일자리가 없는 浮浪者들이 들끓고 있는 실정이었다. 農民들은 자기들이 이처럼 곤궁하여진 것은 農産物價格이 하락한 데다 鐵道의 독점으로 인한 橫暴, 신축성 없고 부족한 通貨와 銀行家에 의하여 지배되는 金融制度, 과중한 세금과 높은 金利, 高率의 關稅政策, 鐵道·外國人 企業 合 등의 土地獨占, 獨占企業의 橫暴와 富의 偏在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이러한 곤경으로 몰아넣은 美國의 經濟制度에 대항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農民들의 經濟的 不滿에서 人民主義運動이 일어났던 것이다. 人民主義運動에 대하여 20세기 美國의 歷史家들은 크게 3가지 방향에서 설명해 왔다. 첫째, 1930年代 革新主義 歷史家들의 해석이다. 이들은 人民主義運動이 잭슨주의, 革新主義, 뉴딜과 같은 위대한 美國의 改革傳統에 한 단계를 차지하는 平等主義的이고 民主的인 運動이라 하였다. 그것은 特權을 가진 少數에 대항하는 多數 民衆이 투쟁이었으며, 그 투쟁에서 人民主義者들이 궁극적으로 승리함으로써 美國의 民主主義傳統에 공헌하였다고 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1950년대 중엽부터 修正主義 歷史家들은 人民主義에 대한 가장 古典的 解釋인 革新主義的 解釋을 신랄하게 비난하였다. 이들은 人民主義의 否定的·反動的인 면을 강조하였다. 다시 말하면 人民主義를 人種主義, 反猶太主義, 好戰主義, 土着主義, 排外思想, 反外國人主義, 더 나아가 파시스트의 원형과 같다고 주장함으로써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修正主義史家의 革新主義的 見解에 대한 비판을 강력히 반박한 史家는 196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急進的 史家들이었다. 이들은 人民主義運動 속에서 土着的인 急進主義가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려 하였다. 즉 人民主義運動을 大衆運動으로 인식하였으며 人民主義者들을 資本家 계급에 의해 지배되는 美國의 社會組織을 변형시키려는 욕망을 가지고 있었던 革命의 선구자나 似而非 마르크스主義者들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이 歷史家들의 입장에 따라 人民主義運動은 아주 다르게 묘사되었다. 이러한 견해의 혼동 속에서 人民主義運動의 歷史的 意味를 도넬리의 思想과 活動을 통하여 파악해 보고저 하는 것이 本論文의 目的임을 다시 말할 필요도 없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3가지 면을 제시함으로써 修正主義者들의 해석을 반박하려고 한다. 도넬리의 많은 저술과 그의 改革運動을 통하여 그가 독특한 改革意志를 가지고 있었음을 반견할 수 있다. 첫째, 도넬리에게서 현대 福祉國家의 槪念을 포함하고 있는 政府의 干涉, 社會統制를 주장하는 革新主義的 槪念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는 政府가 特權을 갖지 못한 多數를 희생시키고 富를 축적하였던 特權을 가진 少數의 利己的 傾向을 抑制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다시 말하면 그는 政府가 鐵道, 貨幣, 土地의 독점을 規制하고, 累進所得稅를 실시하고, 勞動者의 權利를 보장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어떤면에서 政府의 所有權과 經營을 주장하면서 金權階級을 抑制할 것을 강조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政府는 特權을 갖지 못한 者들을 도와 주고, 富를 더욱 더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努力함으로써 ‘平等’을 이룩하는 원동력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도넬리는 議會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안 鐵道規制法案, 穀物倉庫法案, 高利貸金法案 등 農民救濟法案을 계속 추진하였으나 실패하였기 때문에 直接民主政治방식을 통하여 人民黨의 改革 原則을 이룩하고자 하였다. 즉 人民이 政府를 支配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秘密投票制의 實施, 上院議員의 直選, 國民投票, 國民發議, 國民召喚 등을 제안하였다. 셋째, 도넬리에게서 人民主義者들이 黑人의 權利를 옹호하고 人種主義에 反對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黑人의 政治的, 經濟的, 社會的 平等을 인정하였을 뿐 아니라 人種的 障壁은 해로울 뿐 아니라 인위적이라 생각하여 種族, 皮膚色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에게 동등한 敎育의 기회를 보장해 줄 것을 제안하였다. 그는 黑人의 재교육이 人種主義를 해결하는 해결책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도넬리는 黑·白人의 이해관계는 같다고 전제하면서 兄弟愛를 통하여 人種問題를 해결할 것을 주장하였다. 도넬리는 種族 相互間의 적대감을 해소시키고 黑人의 지위를 향상시키려고 努力하였다. 이러한 세가지 면에서 人民主義運動은 産業化 이전 상태로 돌아가려는 過去指向的 運動이 아니라 未來指向的 運動임을 알 수 있다. 도넬리는 産業化에 따른 중요한 政治的·經濟的, 社會的 問題를지적하였을 뿐 아니라 후세에 나타날 問題를 예감하고 진단하였다. 더나아가 그는 美國이 당면하고 있었던 어려운 問題를 해결하기 위하여 革新的인 解決策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그는 黨의 도움으로 실제의 經濟的 困境을 解決하려 하였기 때문에 修正主義者들의 비판과는 달리 改革者임을 보여 주었다. 人民黨 자체는 1892년에 創黨되어 1896년 선거를 계기로 쇠퇴하여 갔으나 오마하綱領은 農民만이 아닌 모든 人民에게 有益한 것으로 20세기 초 하나씩 立法化되어갔다. 人民主義運動은 20세기 초 美國 革新主義運動에 자극을 주었을 뿐 아니라 政治發展에 공헌하였으며 現在까지 그 運動은 지속되고 있다. 결국 人民主義運動은 民主的·進步的 運動이라는 1930년대 革新主義歷史家들의 입장이 재평가되어야 하며 人民主義運動의 歷史的 意味는 힉스의 주장에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1960년대 急進的 歷史家들도 힉스의 입장을 지지하였으나, 그들은 人民主義者들을 革命의 선구자나 似而非마르크스주의자라고까지 주장하였는데 이는 너무 과장되고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만약 여기에서 ‘進步’를 自由와 平等의 확장으로 정의하고 ‘反動’을 特權的 少數에 대한 옹호나 새로운 변화에 대한 반대로 정의한다면 대답은 아주 명백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人民主義運動은 확실히 特權的 少數의 편이 아닌 大衆의 편에 있었던 것 같고, 그러한 意味에서 人民主義者들은 現存制度의 변화를 열망하였던 進步派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따라서 人民主主義運動은 19세기 말 美國을 휩쓸었던 改革運動의 한 부분이었다. ;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agrarian protest movement in late-nineteenth-century America. In treating the problem, the author of this paper focussed attention on the one fundamental question: was the populist movement a progressive one or a reactionary one? In the light of this progressive-reactionary dichotomy, the author of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life and thought if Ignatius Donnelly who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rise of the movement. The controversy was ignited by the “revisionist” historians during the 1950s. in challenging the progressive or liberal interpretations of the 1930s, the “revisionist” historians stressed the reactionary and retrograde features of populism that constituted a negative force in the advancement of democracy. They emphasized the antisocial aspects of populism such as anti-Semitism, jingoism, nativism, antiforeignism, traditionalism, and even proto-fascism. They even insisted that populism was a forerunner of American fascism. The author of this paper attempted to refute this “revisionist” interpretation. In finding factual grounds for her rebuttal to the “revisionist” interpretation, the author endeavoured to point out a genuine progressive impulse in Donnelly’s life and thought. Firstly, from the writings and actions of Donnelly, the author found out the progressive concept of social control or government intervention that were implemented in the modern welfare state. Donnelly proposed that the government must restrain the selfish tendencies of the privileged few who profited at the expense of the underprivileged many. He advocated the power of government to check the plutocrats through the means of regulation of the railroad corporations, currency reform, graduate income tax and in some instances, government ownership and operation. In other words, he insisted that government must be a dynamic force in bringing about equality by aiding the underprivileged and by working for a more equitable distribution of wealth. Secondly, the author found out a theory of direct democracy in Donnelly’s life and thought. From the proposition that the people must control the progressive government, he accepted the machinery of direct democracy such as secret ballot, direct election of united states senators, direct primary, referendum, initiative, and recall of faithless officials. Thirdly, the author found out a spirit of antiracism and tolerance in Donnelly’s life and thought. Donnelly struggled to improve the situation of black Americans and to break down some of the hostitlity between the races. On the basis of these facts, the author of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standard” interpretations of the progressive or liberal historians should be reevaluated, and that the historiography of populism should fundamentally be based in the John D. Hicks’ Thesis of the 1930s. the radical interpretation of the 1960s may stand on the same line. But they went too far in treating the populists as proto-revolutionaries and crypto Marxists. Therefore, the Populist Movement should be understood only as a conspicuous part of the broader reform movement that swept late-nineteenth-century Americ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