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방옥-
dc.creator김방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6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8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1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modern concept of realism and its dramatic conventions became established in Korean drama. The progress of the development of realism in Korean drama has followed essentially the same stages as those in western drama. But, because of its particular ideological,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 Korean drama has manifested certain features which differ from the patterns of Western realism. Apart from some forms of folk drama, Korea had no tradition of dramatic literature until the end of thd 19th century, when Western concepts of drama were introduced as part of the larger influx of Western ideas, institutions and techniques. This means that Korean dramatic literature really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drama, that is, the importing of Western modern plays. Since plays are written to be performed on stage, it was also necessary to introduce and establish the concept and various technical means for the performance of realistic drama. The essential concept of Western realistic performance of drama is that of ‘environment’, which is based on illusion, or the illusion of reality. These ideas of illusion came to Korea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permanent, indoor Western-style theatre in 1902. Their first application of Korean theatrical form appeared in musical drama Chang guk[唱劇], which presented traditional story-telling song Pansori[판소리] as stage drama. Further development of the ideas and techniques of realistic illusion came through performances of Shinpaguk[신파극] , which started in the 1910s in imitation of Japanese drama, and flourished in the 1930s. The original creative dramas which began to be published in magazines from 1920s were generally written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Western realistic drama. However,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modern spirit and an incomplete mastery of dramatic techniques prevented them from rising significantly beyond the level of Shinpaguk, a pre-realistic conventionalized drama of Japan. Typically, these dramas took the form of awkward propaganda or thesis plays dealing with such specific issues as opposition to arranged marriages and the modernized expectations of women. The drama of this period, particulary those of left-wing, or proletarian drama are noteworthy for the attention they drew to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on individual behavior. Most of these dramas of 1920s were not performed on stage because of the poor theatrical conditions of this period. In the 1930s,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Kukyaesul yonguhui [극예술연구회] , a dramatic society consists of foreign literature scholars, the introduction, imitation, and adaptation of Western realistic drama acquired focus and significance. Regarding performing techniques,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director and the use of the box-set allowed for the staging of modern realistic dramatic effects, however rudimentary. In terms of literary craftmanship, the colloquial and ‘well-made play’ Plots produced by such writers as Yoo Chi-jin[유치진] and Ham Sae-tok[함세덕]provided external structure to Korean realistic drama. But Yoo Chi-jin, the representative playwright of the period, has not freed himself from the utilitarian view which regarded plays as a direct means of reforming society. By the 1960s, some notable works such as Sanpul[「산불」], Mnason[「灣船」], and Talchip[「달집」] has appeared. These plays stream of Korea realistic drama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esperate poverty in rural lives. These works achieved the reality of the destitute lives of ignorant rural people suffering from poverty and war. After the Korean war, some plays shew up and treated mainly the moral chaos of urban middle-high-class life, centured around the dramatic events in Western-style ‘living room’. However the drawing room and its associated bourgeois culture has no exact analogy in Korea. Therefore, Korean drawing-room plays failed to convey compelling themes, vivid characters, or convincing dialogues. In the same period, the modified realism of Western drama began to appear in Korea, too. The openning of dramatic form associated with this modified realism allowed Korean realistic drama to move slightly from its emphasis on descriptions of external reality. Removed from the artificial restrictive confines of the drawing room. Korean dramatists were able to turn to such internal themes as the psychological shock of the Korean war. But with their lack of clear theme and philosophical thoughts of writers, plays of this trend resulted only into the limited imitation of Western drama styles. ; 한국의 사실주의 희곡(연극)은 한국의 특수한 정치 경제적 상황과 문화 예술적 전통에 입각해서 서구 사실주의 희곡(연극)을 이입, 발전 정착시켜왔다. 본 논문은 한국 사실주의 희곡의 정착과정을 서구 근대극 및 사실주의극의 개념에 비추어 살펴 본 것이다. 한국에는 희곡문학의 전통이 없었다. 서구문물이 도입된 19세기 개화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희곡의 개념이 소개되었다. 다라서 한국 희곡문학의 시작은 곧 한국 近代戱曲의 시작이며, 한국 近代戱曲의 시작은 곧 西歐 근대희곡의 移入을 의미하는 것이다. 희곡은 무대에서의 공연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서구 사실주의 희곡이 도입, 정착되기 위해서는 사실주의극의 공연을 위한 기본 여건이 갖춰져야 한다. 서구 사실주의 연극공연의 전제는 幻覺主義 illusionism, 혹은 寫實的 幻覺 illusin of reality 으로부터 발달해온 舞臺的 環境 stage environment 의 개념이다. 국내 최초의 서구식 영구적 실내극장인「협률사」이래의 劇場예술의 도입과, 판소리를 劇化한 唱劇의 생성과 발전은 우선 幻覺主義의 개념을 도입했다. 1910년 대에 일본연극의 모방으로부터 시작해서 1030년대에 전성기를 본 新派劇의 공연은 초보적이나마 寫實的 幻覺의 개념을 형성시켰다. 1920년대부터 주로 誌上을 통해 발표되기 시작한 창작희곡들은 대부분 서구 사실주의 희곡을 의도하고 씌여졌다. 그러나 근대정신에 대한 이해와 극작술의 부족으로 그 결과는 신파극의 수준에 불과했다. 이 중 많은 작품이 자유결혼, 신여성관 등 특정한 국부적 문제를 토론형식을 다룬 서툰 계몽극 혹은 論題劇 thesis play 의 성격을 띄고 있다. 그런데 경향과 희곡, 프로희곡을 포함한 이 시기의 희곡에서, 소재로서의 사회 환경에 대한 관심-즉, 가난의 묘사-이 싹튼 것은 주목할 만 하다. 1930년대에 이르러 「극예술연구회」의 활동을 통해 서구 사실주의극이 본격적으로 소개, 이입, 모방되기 시작한다. 公演면에서는 본격적인 연출개념의 도입, 상자곽형 무대장치 box-set의 사용등을 통해 무대상의 환경의 개념이 미숙하나마 형성되었다. 劇作면에서도 유치진 함세덕 등에 의해 일상회화체의 대사, ‘잘 짜여진 극 Well-made play’ 식의 구성등이 실현을 봄으로써 한국 사실주의 희곡도 외면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대표적 작가라고 할 수 있는 유치진의 경우에도 희곡을 사회개혁의 직접적 수단으로 보는 계몽적 태도는 청산되지 못했다. 1960년대에 발표된「산불」,「滿船」,「달집」들은 농어촌의 궁핍상을 그렸다는 점에서 한국 사실주의 희곡의 주된 흐름의 연장선상에 있거니와 사실주의극의 성숙한 면모를 보여준다. 즉 기본시각과 기교면에서 사실주의 희곡의 조건들을 충족시켰을 뿐 아니라, 잔존하는 가난과 전쟁의 피해를 받는 무지한 村民들의 삶의 리얼리티, 근세 격동기를 살아온 한국인의 전형적 모습을 창출한 것이다. 해방후에는 도시 중상류층의 가치관의 갈등 및 6.25전쟁이 남긴 정신적 충격을 다룬 작품들이 등장한다. 이런 소재를 다룬 작품들은 대부분 서구식 응접실 공간을 중심으로 씌어졌다. 그러나 서구식의 부르주아지 계층이나 그들의 문화, 그리고 응접실을 중심으로한 對話文化를 가지지 못한 우리나라에서 응접실은 허위적 공간이다. 따라서 응접실 연극은 어떤 절실한 주제도, 살아있는 인물도, 필연성 있는 대화도 창출하지 못한 채 피상적 風俗劇에 머문다. 비슷한 시기에 한국에서도 서구식 절충적 사회주의 modified realism 기법의 희곡이 등장한다. 절충적 사실주의극에 있어서 劇形式의 개방은, 한국 사실주의 희곡이 외부적 현실묘사 뿐 아니라 내면적 문제를 수용하기 시작했다는 의미, 그리고 허위적인 응접실 공간이 요구하는 극작기교의 제약으로부터 탈피하려는 시도로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 지식인의 내면세계나 문명 비판 문제들을 다른 절충식 사실주의 희곡은 작가들의 철학적 성찰의 부족과 안이한 주제의식 때문에 형식적 모방에 치우친 경우가 많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緖論 A. 硏究史 검토 및 硏究 방향 ----------------------------------------- 1 B. 韓國 近代戱曲 硏究의 문제점 -------------------------------------- 4 Ⅱ. 韓國 寫實主義 演劇의 준비단계 A. 劇場예술의 導入과 唱劇 ------------------------------------------- 8 B. 사실주의극의 준비단계로서의 新派劇 ------------------------------- 19 Ⅲ. 草創期의 한국 사실주의 희곡 : 1910∼20년대의 희곡 ---------------- 33 A. 근대정신 --------------------------------------------------------- 40 B. 사조 ------------------------------------------------------------- 51 C. 구성 ------------------------------------------------------------- 62 D. 인물 ------------------------------------------------------------- 70 E. 대사 ------------------------------------------------------------- 74 Ⅳ. 形成期의 한국 사실주의 희곡 : 1930년대 희곡 ---------------------- 78 A. 柳致眞의 희곡 ---------------------------------------------------- 84 B. 柳致眞 이외의 희곡 -----------------------------------------------109 Ⅴ. 정착기의 한국 사실주의 희곡 : 解放後의 희곡 ----------------------120 A. 세 편의 사실주의 희곡 --------------------------------------------124 B. 應接室 희곡 ------------------------------------------------------144 C. 절충적 사실주의 희곡 ---------------------------------------------160 Ⅵ. 結論 -------------------------------------------------------------183 참고문헌 -------------------------------------------------------------190 ABSTRACT -------------------------------------------------------------2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921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사실주의 희곡 연구 : 서구 사실주의 희곡의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