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4 Download: 0

초기 한국성서와 중국성서의 서지학적 연구

Title
초기 한국성서와 중국성서의 서지학적 연구
Authors
한미경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한국성서는 초기성서(1880년대), 舊譯聖書(1910), 改譯聖書(1957), 새번역성서(1967), 공동번역성서(1977)의 역사적 발전 단계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히브리어와 헬라어의 원어성서와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번역된 성서 등을 참고 대본으로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중 중국성서의 어느 판본이 한국의 초기성서에 참고 대본으로 사용되었는지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우선 한국과 중국에서 이루어진 성서의 번역과 선행연구의 중국성서의 판본문제, 중국성서 간의 관계문제, 용어 및 표기 분석 문제를 살폈다. 한국의 경우 초기성서의 번역은 국내가 아닌 만주와 일본에서 新約 위주로 이루어졌다. 만주에서는 Ross와 MacIntyre, 서상륜, 백홍준, 이성하, 김진기 등이 함께 번역하였다. 그들은 1882년의 누가복음을 시초로 하여, 1883년에 마태복음, 사도행전 및 마가복음 등을 간행하였다. 그후 1887년에 「예슈셩교젼셔」라 하여 27권의 신약전서를 펑티엔(奉天)에서 간행하였다. 이것이 한국 최초의 국역성서이다. 일본에서는 李樹廷이 1883년 4월에 복음서와 사도행전에 懸吐한 「懸吐漢韓新約聖書」를 이듬해에 요꼬하마(橫濱)의 대영성서공회를 통해 3천부를 출간하였다. 이어 1885년 초에 諺解한 「신약마가젼복음셔언 」가 미국성서공회를 통해 요꼬하마에서 간행되었다. 이수정의 「懸吐漢韓新約聖書」는 최초의 현토성서이며, 「신약마가젼복음셔언 」는 한글로 번역 간행된 두 번째의 성서로서, 일본에서의 최초의 한글성서이다. 이상의 로스역과 이수정역은 한국 개신교의 초기성서에 해당된다. 중국의 성서번역은 Marshman과 Lassar가 1810년에 시작하여 1816년에 신약을 출판하였고, 구약은 1822년에 목활자로 인도에서 인쇄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중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Morrison이 1807년에 중국에 도착한 후 성서번역을 시작하여 1813년에 신약을 번역하였고, 1814년에 출판하였다. 신구약전서는 1823년에 「神天聖書」라는 서명으로 말래카에서 총 21권으로 출판되었다. 그후 1835년에 Medhurst, Gutzlaff, Bridgeman과 Morrison의 아들이 위원회를 조성하여, 그해 신약을 완성하였다. 구약은 대부분 Gutzlaff가 번역하였다. 이는 상기한 모리슨역본을 개정한 것이다. 1843년에 남경조약이 성립된 후, 새로운 성서번역을 위하여 영국의 런던선교회(LMS), 미국공리회(ABC), 미국침례회(ABB), 모리슨교육회(MES)가 대표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그들은 「표준원문」을 대본으로 1850년에 신약 번역을 완성하고, 1852년에 간행하였다. 구약 또한 각지 대표로 연합 조성한 하나의 대표위원회에 위탁, 1854년에 간행하였고, 1855년에 신구약전서를 출판하였다. 이외의 미국공리회의 Bridgeman과 장로회의 Culbertson이 1859년에 신약을, 1862년에 구약을 출판하였다. 이는 美華聖經會가 채용하였다. 또한 방콕 선교사 Goddard가 마쉬만역본을 수정 번역하여 1859년에 신약을, 1868년에 구약을 출판하였다. 이상은 모두 문언문으로 번역된 文理譯 성서이다. 중국성서 중 어느 판본이 초기성서번역에 참고 대본으로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原文書誌學的 方法으로 한국성서(로스역과 이수정역)와 중국성서(모리스역본과 대표역본)를 비교하였다. 비교에 있어 「성경전서 개역한글판」을 참고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신약의 마태복음을 대상으로 로스역과 모리슨역본, 로스역과 대표역본, 이수정역과 모리슨역본 그리고 이수정역과 대표역본의 순서로 인명(총 82개), 지명(총 40개), 음역어(총 13개(내지 14개)), 전문어(총 624개에서 발췌한 총 24개(내지 25개)) 및 본문을 비교하였다. 먼저 문자의 異同 對校를 위하여 한국성서와 중국성서의 인명, 지명, 음역어 그리고 전문어를 같은 경우, 유사한 경우, 다른 경우의 세 가지로 비교하였다. 로스역과 모리슨역본의 비교 결과 인명과 음역어는 유사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지명과 전문어는 다른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로스역과 대표역본의 비교 결과 전문어 외에 모두 유사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수정역과 모리슨역본의 비교 결과 전문어는 같은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인명과 지명은 유사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수정역과 대표역본의 비교 결과 모두 같은 경우로 나타났다. 인명, 지명, 음역어, 전문어에 대한 한국성서와 중국성서의 비교 결과 로스역은 모리슨역본과 대표역본을 복합적으로 참고하고 있는 양상을 띠고 있다. 반면 이수정역은 대부분 대표역본을 참고하였다고 유추되며, 일부분은 모리슨역본을 참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本文의 增刪 考證을 위하여 한국성서 각각에 있어서 모리슨역본과 유사한 경우, 대표역본과 유사한 경우, 모리슨역본과 대표역본이 복합적으로 보이는 경우, 독자적인 경우, 모리슨역본과 독자적인 부분이 함께 보이는 경우, 대표역본과 독자적인 부분이 함께 보이는 경우, 모리슨역본과 대표역본 그리고 독자적인 부분이 모두 보이는 경우의 일곱 가지로 살펴보았다. 비교 결과 본문도 로스역은 대부분 모리슨역본과 대표역본을 복합적으로 참고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수정역은 대부분 대표역본을 참고하였고, 어느 정도는 모리슨역본과 대표역본을 복합적으로 참고한 부분도 보인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한국성서와 중국성서의 인명, 지명, 음역어, 전문어 및 본문을 비교한 결과를 종합하면 로스역은 모리슨역본과 대표역본을 복합적으로 참고하고 있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수정역은 대표역본을 대부분 참고하였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선행연구들이 언급하듯 로스역과 이수정역 모두 중국의 모리슨역본과 대표역본 중 어느 한 판본을 참고하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사료된다. ; Korean Bible has gone through the stages of the early Bible(in 1880s), Old Version of Bible(in 1910), Revised Version of Bible(in 1957), New Version of Bible(in 1967), Joint Version of Bible(in 1977). In the previous studies, the Bible such as Hebrew, Hellenic, English, Chinese, Japanese scriptures are mentioned as reference script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editions of Chinese Bible were used as reference scripts for the early Korean scripture. To analyze which Chinese-language editions were used as references in the translation of the early Bible, the comparison is made between Korean Bible (Ross Version and Su-jeong Lee Version) and Chinese Bible (Morrison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with the use of method adopted in the Textual Bibliography. In comparison, Sengkyong Jeonseo Kaeyeok Hangul Pan(「성경전서 개역한글판」), is presented as a reference. And Ross Version and Morrison Version, Ross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Su-jeong Lee Version and Morrison Version, and Su-jeong Lee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are compared within Gospel of Matthew from the New Testament one after another in terms of persons name(total 82), place name (total 38-40), transliterated words(total 13-14), technical terms(total 24-25 screened from total 624), and texts. Initially, in order to point out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character, the comparison in terms of person s names, place names, and transliterated words, and technical terms were made in 3 categories of cases including those of the same with each other , those of being similar to each other and those of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 As a result of this study, Ross Version and Morrison Version showed the cases of being similar to each other in terms of persons names and transliterated words more often than the other cases. And the former and the latter showed the cases of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place names and technical terms more often than the other cases. Ross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showed the cases of being similar to each other in terms of everything but technical terms. Su-jeong Lee and Morrison Version showed the cases of being the same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echnical terms more often than the other cases and that of being similar to each other in person s names and place names. Su-jeong Lee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showed the cases of being the same with each other in every respect. Based on the comparisons of persons names, place names, transliterated words, and technical term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ranslation of the Version of Ross was based on both Morrison and Delegates Version in a complex way. On the contrary, the translation of Su-jeong Lee Version was based mostly on the Delegates Version. What is to be noted is that the translation of Su-jeong Lee Version was based partly on Morrison Version. Following the above comparisons 7 categori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exts. Each of Korean Bibles showing similarity to Morrison version, showing similarity to Delegates Version, showing trace of both being dependent on both Morrison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showing no trace of being influenced by any version, showing some trace of being relied on Morrison Version together with no trace of being influenced by any version, showing some trace of having referred to Delegates Version together with no trace of being influenced by any version, and showing some trace of having referred to Morrison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together with no trace of being influenced by any version. As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the Ross Vers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e case of making reference to both Morrison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also in terms of the text. For the most part, Su-jeong Lee vers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e case of having made reference to the Delegates Version, while partly showing some trace of having made mixed reference to Morrison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Bible in terms of persons names, place names, transliterated words, technical terms, and text prove that Ross Version is dependent on Morrison Version and Delegates Version in a mixed way and Su-jeong Lee Version shows being dependent on the Delegates Version. Therefore, it is not right to assume that both the translations of the Ross Version and the Su-jeong Lee Version depend exclusively on either the Morrison Version or the Delegates Version in the way the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