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국민학교 영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Title
국민학교 영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uthors
강영은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차 국민학교에서 영어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할 것을 전제로 한국 일반 국민학교에서 사용 가능한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을 통하여 개발 제시하는데 있다. 영어학습의 보다 효과적인 교육은 종래의 영어학습보다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조기 영어교육은 국민학교 1학년에서 6학년 까지의 영어교육과정을 지칭하며 언어학적 측면, 생리학적 측면,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 그 타당성을 갖는다. 다시말하면 어린이에게 선천적인 언어습득장치가 있다고 보고 외국어 습득이 어른에 비하여서 용이하다는 언어학적인 측면과 대뇌의 유연도가 가장 높은 10세까지가 외국어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생리학적 측면, 사회 심리학적으로는 모방과 오류를 저지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어린이의 특성 대문에 국민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의 효과는 바람직한 것이라는 이론을 기초로한다. 또한 국민학교 3학년부터 영어학습을 시작할 경우 모국어 학습이 외국어 학습으로 인해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인지 발달이 이루어 졌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본 연구자는 이상의 이론적 근거, 국내외의 관련 연구, 교사, 학부모,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조사연구 및 연구자의 경험등을 토대로 예비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실험방법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국민학교 3학년 3개 학급 150명에게 1주일 2회, 1회 20분, 9:30 ? 10:30분가지 5개월 동안 연구자가 직접 수업을 담당했고, 수업상의 문제점을 발견, 수정 보완하면서 실험이 끝난후 실시한 대상 학생 및 학부모를 통한 조사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최종적인 국민학교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작성한 국민학교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 및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와 말하기에 두며 발음의 정확성, 영어에 대한 흥미 배양, 의사소통 능력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세부 목표로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일상 생활의 기본적인 대화를 중심으로 학생 자신과 그 주변에 일어나는 소재, 즉 가족에 관한 것, 학교에서의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한 사항까지 포함하여 총 30항목을 구성하였고, 그 중 26항목을 실험하고 수정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1회 학습 내용을 구성하는 새로운 단어 수를 3-5개 이내로 하고 문형을 2개 이내로 하며 2개의 문형 중 1개가 길 대에는 긴 문장은 청취력 연습으로만 학습했다. 학습활동은 직접 교수법, 전신 반응법, 노래, 게임, 역할 극, 무언극, 대화, 청각구두 교수법, 음성학적 방법 등의 학습활동을 적용했다. 끝으로 이 프로그램의 평가는 녹음기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2회) 및 지필 검사를 통한 글자-소리 관계의 평가(3회)를 실시했다. 이상의 영어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발견된 사실은 적용 대상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가 상당히 긍정적이었다는 사실과 영어를 노래와 게임만 배우는 흥미 중심의 학습보다는 교재, 숙제, 평가를 원하는 학습으로 간주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사실이다. 프로그램 내용에 있어 주의해야 할 것은 문장의 길이가 2-3단어를 넘지 않는 짧은 문장이 바람직하다는 것과 글자-소리의 관계를 학습하는 음성학적 방법에도 상당한 호응을 보였으며 이 방법을 통한 쓰기 지도와 단순한 반복의 기계적인 학습방법을 지양하고, 문형연습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국민학교에서의 영어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음악, 미술, 산수, 사회와 같은 교과목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하고 또한 능력별 소 집단과 영어학습을 위한 전임 교사의 필요성과 그 자질 등이 논의 되었음을 지적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for an Elementary School English Program assuming that English would be included as regular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Since 1982 students in Korea have been studying English in many private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voluntarily. However, inconsistency in teaching materials and the organization of the program among those schools have caused many problems including a lack of coherance of the program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an absence of formal guide lines for teaching materials and classroom activities. Therefore, it was felt urgent that through in-class-experimentation a proper elementary school English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language learning theories, need assessments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levent studies and our own experiences. The program has been tested, corrected and finalized for third grade students (3 classes, 150 students with 50 students in each class) over a five-month period from March through July, 1989. We met twice a week and each period lasted for twenty minutes.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help students develop basic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listening and speaking. The topics included the child himself, his school life and his lif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activities have been applied. We conducted five different formal evaluations : two on communicative ability with tape recorders, and three written tests for phonics study. There was a final evaluation of the students’ attidude and motivation toward English learning through questionaire.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ere highly motivated throughout the program. 2. The students’ attitude was serious; They desired a formal English education in their curriculum beyond casual lessons with songs and games alone. 3. The students preferred text books, homework and evaluation of their progress. 4. Sentences in the text should be short and simple. For the third graders they should be no more than two or three words. 5. The students showed a great interest in the phonics program and penmanship even though the objective was to help them develop only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out of the study: 1. Further experimentation, carried out over a longer period, focused on various grade levels is needed to establish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program. 2. Integrated approach with other subjects is necessary for a meaningful application. 3. Ability grouping will help solve the problem of over-populated class size. 4. Qualified full time English teachers are needed. 5.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optimum age for the beginning of English study by Korean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