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숙현-
dc.creator윤숙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2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2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가사노동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것은 가사노동이 인간생활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가를 고찰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사노동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사람들이 가사노동에 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다른 인간 행위와 마찬가지로 가사노동도 개인적 측면 과 제도적 측면 으로 나누어 고찰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이와 같은 가사노동의 두 가지 측면에 입각하여 의식주생활 관리 및 육아 행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가사노동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향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중요한 논의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들 수 있다. 첫째, 인간의 지력이 발달하면서 노동은 자기 충족적인 생산의 형태로부터 가정 외부의 교환을 위한 노동의 형태로 변화되었고, 이에 따라 노동은 점차 분화되어 왔다. 특히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기술적, 경제적 및 사회적 변혁이 이루어지고 기계제 생산양식이 급속하게 보급되면서 개별 가정은 구매 및 소비의 단위로 바뀌었으며, 가정에서 이루어지던 많은 노동은 점차 사회로 이전되어 왔다. 노동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은 르네상스 이후 인본주의와 더불어 개인적 합리주의가 나타나면서 크게 변화되어 왔다. 원시 사회에서 개인의 삶이 여가와 휴식, 노동 등이 분리되지 않았던 통합적인 삶이었다면, 근대 사회 이후의 삶에서는 이러한 삶의 요소들이 점차 분리되었다. 자본주의 사회가 발전되면서 가사노동의 가치는 절하되었으며, 가사노동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그것을 점차 부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근대적 합리주의는 능률과 효율, 공평성을 중시하는 경제적 원리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서 노동은 그 자체에 의미가 있다기보다는 다른 무엇인가를 위한 수단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리하여 노동의 부정적 측면이 부각되었다. 둘째, 가사노동은 인간 현상으로서 그것은 하나의 독특한 문화이다. 가사노동을 이루는 의식주생활, 육아 등과 같은 인간 활동에 내포되어 있는 내면적 의미 를 알기 위해서는 당사자의 관심, 의도, 습관, 필요, 욕구 등에 비추어 행동을 해석하는 개인적 의미 와 행동의 사회적 가치, 규범, 관습 등에 비추어 행동을 해석하는 제도적 의미 로 나누어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가사노동의 의미는 이 양자 중에 어떤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파악하는가에 따라 전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이 양자간의 차이점을 온당하게 존중해 줄 때 비로소 가사노동의 의미는 올바르게 드러날 수 있다. 가사노동의 개인적 의미는 가사노동을 담당하는 개인의 이해관계 라는 측면에서 파악되는 의미이며, 더 나아가서 이 의미는 수단-목적의 관계 로 파악되는 의미이다. 지금까지의 가사노동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이와 같은 개인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 온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반하여, 가사노동의 제도적 의미는 그것을 담당하는 개인의 관점에서 파악되는 의미가 아니라, 우리의 인간다운 삶 이라는 삶 전체의 맥락 속에서 가사노동이 차지하는 위치라는 관점에서 파악되는 의미이다. 셋째, 가사노동에 대하여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혼란스러운 생각---즉, 한편으로는 숭고한 노동이라고 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경시하는 생각---은 관념적으로는 여전히 가정에 대하여 고전적인 견해를 견지하고 있으면서도 실제적 생활에서는 변화된 사회적 가치를 받아들여 가사노동을 이해하는 사고방식에서 기인된 것으로 파악된다. 가사노동의 개인적 의미가 점차 강조되면서 가사노동 그 자체가 곧 중요한 가정생활 이라는 사실이 망각되어 왔으며, 그리하여 가정생활의 중요성 또한 사람들의 뇌리에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가사노동은 어느 특정 개인이 만든 것이 아니라 인류의 역사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온 일종의 제도로서, 가사노동 속에는 인류의 총체적인 지혜가 들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즉, 가사노동에는 총체로서의 삶의 의미를 보여줄 가능성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가사노동의 본질적인 의미는 가사노동의 제도적 의미 에서 드러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oikonomia 로부터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 이 용어는 가정학의 기초가 된 개념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사용하였던 가정 의 개념을 통해서 우리는 가정 이 다른 모든 생활보다 우위에 오는 개념이라는 사실과 인간의 선한 삶,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는 가정생활이 올바르게 영위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근대 사회 이후에 경제학적 사고가 점차 강조되면서 이 개념은 점차 변질되었으며, 이에 따라 가정 혹은 가사노동의 본질적인 의미가 상실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가사노동의 연구를 통하여 oikonomia 의 본래적 의미를 회복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철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것들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고 풍부하게 밝혀 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주제들에 관한 철학적 해석의 양이 증대됨에 따라 우리의 삶은 보다 풍족해지고 윤택해질 것이며, 그리하여 인간은 보다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ousework or houselabor . This means to investigate how housework is related to human life. This study examines in the historical context how the types of housework have changed, and how people s views of housework have changed. Housework, as other human conduct, can be examined both in its individual aspects and in its institutional aspects .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clothes, food, shelter, and childcare on the basis of these two aspects. Then, for the purpose of more exact understanding of housework,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in the future. This study focuses on a few of the following theses. First, the types of labour have gradually changed from that of self-sufficient labour to that of exchange-oriented labou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human intelligence, and labour has been differentiated little by little. In the wak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nsuring mechanization of labor and advances in productivity, the individual household became the unit of purchase and consumption, and a large part of labour done in the household was transferred into society. The perception of labour changed after the Renaissance at large when humanism and rationalism emerged. In primitive society, the elements of human life were intergrated such as leisure and labour whereas they are gradually becoming differentiated in modern society. As capitalism, which emphasizes the exchange value of labour has developed, housework has been devalued. Modern rationalism which values reason, efficiency, and equality, accelerated the tendency to consider labour not as an end but as a means, and stressed the negative aspects of labour. Second, housework is a human cultural phenomen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rinsic meaning of housework which is included in human activities such as making clothes, food, shelter, and caring for children, we must distinguish between individual meaning and institutional meaning .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concern, intent, habit, need, desire, and motivation of the given individual, while the latter is related to the social value, norm, and convention of human behavior. The meaning of housework is very differently interpreted according to which aspect we accept. In addition, the meaning of housework is related to the individual s perception of person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erns of a means-ends relation. The majority of the studies on housework have been made by focusing on individual meaning. However the institutional meaning of housework is not the meaning grasp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but rather the meaning grasped in the context of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Third, people s contradictory attitudes---that is, on one hand they think that housework is very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y think that housework is very troublesome---are originate in their views about the home. They accept the traditional view of home in their thoughts, but they accept the changed social value of housework in practice. As the individual meaning of housework has gradually been emphasized, it has been forgotten that housework itself is a very important part of home life , and then the importance of home life has gradually diminished. Housework is not made by a few individuals or groups, but naturally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human history, and there is total human wisdom in housework. In other words,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otal meaning of life in housework. This is the very meaning that this study interpreted finds in the meaning of housework from the perspective of home economics. Thus, the intrinsic meaning of housework is manifested in the institutional meaning of housework, and this meaning originates in Aristotle s oikonomia . Oikonomia is the fundamental concept of home economics, and Aristotle attempted to display the concept of and the importance of the home through the word. He thought that home life is the basis of all other forms of social life. According to the emphasis on the economic aspect of life, the concept of oikonomia has degenerated into the concept of management of wealth. The loss of intrinsic meaning of the home or housework, therefore, gradually accelerated.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primary meaning of oikonomia can be recovered by considering the principles of home economics. We have to clarify the meaning of all different home phenomena through philosophical analysis. Our life can be richer than now by increasing the quality of philosophical anlysis of the phenomena related to house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ⅴ Ⅰ. 서 론 -------------------------------------------------------- 1 Ⅱ. 가사노동에 관한 인식의 변화 ------------------------------------- 10 Ⅲ. 가사노동의 의미 ------------------------------------------------- 26 A. 인간 현상의 의미에 관한 한슨(Hanson)의 두 가지 구분 : 의도적 의미와 함의적 의미 --------------------------------------- 26 B. 가사노동의 개인적 의미와 제도적 의미 ---------------------------- 35 Ⅳ. 영역별로 본 가사노동의 의미 ------------------------------------- 45 A. 의식주생활 관리 ------------------------------------------------- 46 B. 육아 ------------------------------------------------------------ 57 Ⅴ. 가사노동의 의미와 새로운 연구 방향 ------------------------------ 67 A. 개인적 의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67 B. 가사노동의 제도적 의미와 새로운 연구 방향 ----------------------- 79 Ⅵ. 요약 및 결론 ---------------------------------------------------- 97 참 고 문 헌 ---------------------------------------------------------111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001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사노동의 개인적 의미와 제도적 의미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