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우리나라 노부 의위에 관한 연구 : 의장, 의례복의 제도 및 그 상징성을 중심으로

Title
우리나라 노부 의위에 관한 연구 : 의장, 의례복의 제도 및 그 상징성을 중심으로
Authors
백영자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本 論文은 우리나라의, 國家的 규모의 禮를 갖춘 儀式인 鹵簿, 儀衛에 관한 연구로서 鹵簿, 儀衛의 핵심적 요소이며 선택된 표시물인 儀仗과 동원된 人物들이 입고 있는 儀仗服의 제도 및 傳統的인 象徵性을 밝히는데 力點을 두었다. 즉 鹵簿에 사용된 이들 儀仗과 儀禮服은 그 社會의 思想과 哲學과 傳統이 종합적으로 投影된 象徵의 집약체로 보고 다음과 같은 硏究資料를 바탕으로 이들을 규명하였다. 高句麗 時代는 安岳 3號墳, 壁畵, 高麗 時代는 高麗史 輿服志의 衛仗과 鹵簿, 高麗圖經, 朝鮮王朝 時代는 昌德宮의 實物을 가장 기초로 사용하였고 世宗實錄의 鹵簿와 水原幸行圖, 大韓帝國動駕圖, 開化期는 嘉禮班次圖, 高宗의 稱帝後는 進宴儀軌를 참조하였고 中國의 大明集禮도 보충자료로 사용하였다. 1. 鹵簿儀仗制度의 歷史的 變遷 高句麗 時代의 安岳 3號墳 行列은 틀에 박히지 않은 자유로운 분위기의 씩씩한 기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었으며, 儀仗 자체도 자연스럽고 원시성이 있는 무기들을 직접 들고 있다. 儀仗兵의 儀禮服 역시 유袴制로서, 武器類의 戈와 더불어 알타이계 騎馬民族의 特性을 잘 나타내 준다. 高麗 時代는 儀仗과 儀禮服의 種類가 매우 복잡하게 분화되어 朝鮮 時代보다 월등히 많으며 화려하다. 즉, 固有의 要素와 中國的인 要素 등이 복잡하게 혼합된 결과이며, 단순했던 高句麗와는 달리 좀더 국가의 위엄과 儀式을 重要하게 부각시키려는 高麗의 의지에서 생겨난 결과일 것이다. 朝鮮王朝는 儀禮가 成文化된 시기로 高麗의 복잡한 제도가 간결하게 정비되어 國末까지 큰 변화없이 쓰였다. 稱帝 以後는 高麗 以上으로 制度가 복잡 분화되었는데 皇帝의 위엄을 제도적으로나마 갖추어 기울어져가는 國家를 중흥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2. 儀禮服의 體系分析 儀禮服은 복식자체가 복잡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려와 조선왕조의 儀仗兵의 복식으로 제한하여 Roland-Barthes가 시도한 체계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① 高句麗의 儀仗兵服飾은 유袴制로 北方 알타이계의 武風的인 要素가 강하다. ② 高麗는 固有制度위에서 中國制度의 수용이 부각되어 매우 복잡하다. 儀仗兵軍將의 服飾은 복頭에 錦袍이며 下級軍將은 放角帽, 紫衣이다. 가장 낮은 軍卒은 弁·窄衣로 固有要素가 강하다. ③ 朝鮮王朝는 창옷·號衣가 대부분으로 下級軍人의 儀仗兵服飾으로 나타나며 官軍의 儀仗兵 服飾은 具軍服이다. 胡服系統의 戰笠, 弁形의 巾種類가 固有要素로서 전통을 유지한다. ④ 開化期 儀仗兵의 洋帽와 洋服의 등장은 사회의 격변을 증명해준다. 3. 儀仗과 儀禮服의 象徵 분석 儀仗과 儀禮服의 象徵 分析은 Levi-Strauss의 構造主義 方法論에 관련시켜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심리학자 Hall의 素(isolate)의 개념과 연관시켜 儀仗과 儀禮服의 대표적 象徵 要素를 차출, 旗幟의 紋樣素, 儀仗物의 形態素, 鼓吹樂器의 音響素, 儀仗服의 色彩素로 分類하여 파악하였다. ① 紋樣素(旗幟) ○ 動物紋은 가장 代表的인 紋樣素로서 遊牧民族의 動物文化(알타이계), 韓國古代 神話에 존재하는 固有의 動物崇拜 思想 등과의 연관을 짓게 해 준다. 아울러 조화능력을 갖춘 초월적인 상상의 動物이 대거 등장, 통치자의 위력과 염원을 대변해 주었다. ○ 四神은 四方位의 神이 수호해주는 天의 思想이며 풍수지리설과도 관련되어 민간에게도 전승되어진 傳統思想이다. ○ 太極은 韓國人의 宇宙觀으로서 정치와 사회의 지도이념이며 민간의 생활예술로 승화, 韓國人의 精神的인 象徵語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天象紋은 天과 人이 불가분한 관계를 맺는 天의 思想으로 二十八宿 전체의 별자리는 각각 地上에 투영된 全 國土를 의미하여, 절대적인 권력을 누리고자 하는 思想的인 象徵의 근본바탕을 이룬다. 특히 韓國古代神話의 共通的 要素는 天과 日, 月이 同一視되어 超越的 至高神으로 意識하였기 때문에 日·月紋이 旗幟紋樣에 채택된 뿌리깊은 연유가 된다. ○ 山水紋, 神人紋의 경우, 우리나라 古代 信仰에 山은 神의 世界와 人間世界를 연결시키는 神聖한 장소로, 水는 生命의 象徵으로, 神人은 天의 顯現인 君王으로 崇拜되어, 鹵簿에 사용되는 旗幟 紋樣으로 나타났다. ② 形態紋(儀仗物) ○ 無期形은 통치자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한 무기들로서 시대가 지남에 따라 표시화되어 그 意味가 강조되었다. ○ 傘·扇形은 실질적인 意味와 賢人을 구하거나 상서로움을 뜻하는 상징적인 意味가 있다. ○ 物件形의 骨朶子는 호위병을 의미하며 四神幢形은 四方位의 神이 수호해 주는 깊은 뜻이 있다. ③ 音響素(鼓吹樂器) 청각적인 打音과 吹音의 씩씩한 音響은 鹵簿 행렬의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키는 소리의 象徵이다. ④ 色彩素(儀禮服) 우리民族의 色彩觀은 음양오행사상의 이치에 따른 五方色이며, 신분과 소속을 나타내는 권위의 象徵으로 鹵簿에 호화롭게 쓰였다. 이들 儀禮의 호화로운 五方色 사용은 서민들의 白色 色彩意識과 대조를 이룬다. 위와 같은 鹵簿의 制度 ?G 象徵은 古代 土俗的인 民間信仰이 基底를 이루면서 사회변천에 따른 東洋哲學的 價値와 傳統的인 固有의 象徵 意味가 부여되어 왔다. 現代에 와서 합리적인 思考에 밀려, 사라진 鹵簿制度와 함께 鹵簿에 사용된 諸象徵(Symbol)이 하나의 기호(sign)로 퇴락하고 있으나, 象徵이라는 言語는, 하나의 통일체 속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위대한 힘이 있기 때문에 이 象徵의 統合性을 활용, 傳統文化를 再創造해야 될 重要한 과제가 남아 있는 것이다.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iscuss and present the systems and symbolic meaning of ceremonial equipage and costume that were the very core of the royal procession carried out on a national scale, thereby representing the thoughts, philosophy and tradition of contemporary people and society. The references u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wall painting of Anak 3rd Tomb in the Koguryeo Dynasty, Koryeosa and Koryeodoyeong in the Koryeo Dynasty, true records of King Sejong, Suweonhaingchaido, Daihanjegukdonggado, Karebanchado, Jinyeoneuigue and remains at Changdeok palace in the Yi Dynasty, and Daimyeongjiprye as supplementary material for study. 1. System of royal procession and guard The procession represented on a wall painting of Anak 3rd Tomb in the Koguryeo Dynasty created a free and lively atmosphere and ceremonial equipage in itself was natural and primitive and related to Altaic characteristics. In the Koryeo Dynasty the ceremonial equipage and clothes were complicated and differentiated as compared to those of the Yi Dynasty, which resulted from the blending of Korean and Chinese cultural elements and the emphasis on national dignity through ceremony. The etiquette in the Yi Dynasty was codified and institutionalized and came to be simplified till the raising to the purple of Emperor Kojong, when the etiquette became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the Koryeo Dynasty in order to get on emperor’s dignity for reviving exhausted national power. 2. Symbolic meaning of ceremonial equipage and costume A variety of ceremonial equipage and clothes were analyzed by means of Levi-Strauss’s structural approach. Ceremonial costume in particular consisted of complicated elements and were compared in terms of association and integration. Symbolic meaning of ceremonial equipage and clothes were discus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inciple; banner --- pattern, equipage?form, inspiring musical instrument?sound, and clothes?color. 1)Banner---pattern principle (1)Animal patterns They were the most typical patterns related to Altaic culture and animism in which imaginary animals had a special cult of their own. Four gods indicated heaven associated which the theory of feng-shui. (2)Patterns of the great absolute Korean outlook on the universe resulted from the idea of the Great Absolute which was developed into the guiding principle for politics, society and spiritual life of Korean people. (3)Heaven-shaped patterns These patterns represented the idea of relating heaven and man together for the exercise of absolute power. In Korean ancient myth, heaven was identified with sun and moon, thereby appearing to be a supreme God. (4)Hills- and ? waters and god ? and man patterns They were used mainly for banners representing holy place, source of life, and monarch, respectively. 2)Ceremonial equipage ? form principle The shapes of weapon revealed the authority of the sovereign and became symbols full of meaning as the time passed on. The shapes of parasol and fan conveyed a practical and auspicious implications. 3)Inspiring musical instrument ? sound principle The beating and blowing sound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inspired the atmosphere of royal procession. 4)Ceremonial clothes ? color principle Korean people were oriented in five colors on the basis of the cosmic dual forces. Five colors were splendidly used at the time of royal procession, representing status and authority as compared to white color mainly for the common people. In conclusion, the systems and symbolic meaning of royal procession not only lay the foundation of ancient civilian religion but convey oriental philosophical value and traditional beauty, which requires further integration of researches concerned properly with a view to recreating the traditional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