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경희-
dc.creator최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1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34-
dc.description.abstract셰익스피어의 사극 비평은 그 장르의 특성 때문에 예술적, 심미적 판단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역사적, 정치적 효용성의 측면에서 평가되거나, 또는 이들 작품이 산출된 역사, 사회적 맥락을 무시한 언어 분석과 예술성에 치중하는 신비평적인 입장의 한편으로 치우친 경향이 있다. 필자는 이 두 가지 입장을 통합하는 방법으로서 엘리자베스 시대의 정치적, 역사적 맥락에서 당대 연극의 정치성과 당대 정치의 연극성을 밝히는 신 역사주의적 비평가들의 입장을 채택하였다. 본 논문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권력은 심층적으로 연극적이고, 연극은 권력의 재현과 합법화를 위한 중요한 장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셰익스피어의 사극에서 정치적 권력과 연극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극의 정치적인 함축과 연극적 방식에 의존하는 당대의 정치의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극은 대중을 교화시키고 복종시킴으로써 왕의 권위를 유지하고 국가권력의 행사를 용이하게 하는 하나의 제도로서 긍정적인 기능 이외에도 무대뒤의 재현을 통해 절대왕권과 그 위계질서를 위협하는 전복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 엘리자베스 여왕와 제임스 1세는 왕권의 강화와 효과적인 권력의 행사를 위해 연극을 이용하였고 스스로 무대위에서 왕의 역할을 연기하는 배우왕의 이미지를 정립하였다. 그런데 연극은 왕의 찬양을 극대화하고 체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반면에 군주에게 권력의 가시성이라는 부담감을 부여한다. 정치연극의 무대위에선 주인공으로서 군주는 관객인 대중의 눈에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당해햐 하는 처지에 놓여 있으며, 왕의 권력은 대중의 시선에 종속되어 있다. 셰익스피어의 후기 사극은 체제유지를 위해 연극을 사용하면서도 군주 자신이 관객의 주목과 판단에 종속 되어야 한다는 연극정치의 모순과 역설을 극화하고있다. 셰익스피어 후기 사부작에서 연극적 정치의 주제는 Richard Ⅱ, Henrry Ⅳ, Henry Ⅴ라는 세명의 군주를 중심으로 탐구된다. Richard Ⅱ는 의식과 제의가 중시되는 중세적 세계로부터 변화와 역동성이 중요한 르네상스 현실정치로의 이행기에 위치한 존재이다. 그는 끊임없이 자의식으로 연기에 몰두하는 뛰어난 연기자이며 연기는 그의 삶을 지탱해주는 수단이다. 그에게 있어서 연기는 정치적 수단이 아니라 삶의 본질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그는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아이덴테티를 취해 필요한 역할연기를 해야하는 르네상스 현실정치의 실체를 인식하지 못했기 EOANS에 그의 연기는 왕위를 지키고 권력을 행사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반면에 Bolingbroke는 마키아벨리적 연극 정치의 본질을 터득한 인물로서, 연기를 그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 책략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Bolingbroke가 왕위를 획득하고 유지하는 수단으로 사용한 마스크와 거짓 아이텐티티는 왕위의 허구성을 강조하는 것이며, Henry Ⅳ에서 Falstaff의 풍자와 희극적 모방을 통해 왕위 권위를 탈신비화시키는 연극의 전목적인 속성이 점차 부각된다. 왕의 권위와 국가의 통일성을 위협하는 역사적 측면에서의 전복성은 연극적 진실을 부정하는 Falstaff의 행동과 2Henry Ⅳ에서 연극적인 측면에서의 전복성으로 반영된다. 이러한 연극적 측면에서의 전복성은 Henry Ⅴ에서 역사적으로 권위 있고 영웅적인 측면만을 보는 Chorus의 서술과 이것을 방해하고 조롱하며 전복시키는 무대위의 재현사이의 불일치를 통해 극명하게 드러난다. 또한 주제적인 측면에서도 Henry는 확고한 왕이 아이덴티티를 지녔을 때 자신의 왕위를 유지시켜주는 연극 정치를 이루는 의식과 역할연기의 모순과 허구성을 깨닫는다. 이와 같이 Henry가 왕위의 본질에 대해서 자의식적인 회의를 품는 것은 사극 전체가 연극적 재현을 불신하며 점자 자기반영적인 측면이 강해지는 것과 평행을 이룬다. 결국 필자는 셰익스피어의 후기사부작을 통해 왕과 배우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연극적 재현은 왕의 권위를 탈신비화시킨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무대에서 왕이 아닌 배우가 왕의 역할을 연기할 때 왕의 아이덴티티가 모호해지듯이 연극정치에서 오아도 맡은 역을 연기하는 배우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작가는 이러한 정치적 탈신비화과정을 연극적 권위를 전복시키는 과정과 병행시킴으로써 이중의 전복성을 보여준다. 결국 작가가 Richard Ⅱ로부터 Henry Ⅴ로의 진행을 통해 보여주는 추이는 정치적 성공이나 질서의 회복이 아니라 왕권의 해체와 연극적 재현의 한계라 할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ower and the theater in Shakespeare’s Second Tetralogy- Richard Ⅱ, Henry Ⅳ Part One, Part Two, and Henry Ⅴ. For this purpose, this dissertation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display of Elizabethan power is highly theatrical and that the Elizabethan theater is an important place where the royal power and authority are represented and mystified. Traditional criticism of Shakespeare’s History Play has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While one attitude reads these plays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and political effectiveness, and ignores their artistic criteria, the other focuses on the artistic evaluation of these play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context. Uniting these two kinds of critical viewpoints, the present dissertation explor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Elizabethan theater and the theatricality of the Elizabethan politics - that is, the main issue of new historicist criticism. The Elizabethan theater bears double relationships with the monarchy of that period. First, the Elizabethan theater had developed as an institution and had served the interests of royal power by teaching and providing useful moral lessons to the people, and thus preventing them from conspiring against the legitimate authority. But beside these profitable functions, theater has become subversive through representation of royalty. Imitating the monarch was potentially dangerous; it might erod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and derogate majesty by subjecting it to the gaze of its subjects. Similarly, Elizabethan politics has a close affinity with the theater in double senses. Both Elizabeth Ⅰ and JamesⅠmade use of the theater to consolidate and justify the royal authority, and to display the royal power effectively. In addition to this strategic use of theater, they established their royal image as a player-king, acting the role of the king upon the stage. However, by becoming the subject of the atttention of the audience, monarchs must bear the burden of the visibility on which their power lies. Thus, Shakespeare’s Second Tetralogy dramatizes the very contradiction and paradoxes of the theatrical politics which nor only serve the interests of the monarchy but also demystify the royal authority. Shakespeare’s Second Tetralogy deals with the theme of the theatrical politics through the reign of three kings - Richard Ⅱ, Henry Ⅳ, and Henry Ⅴ. Richard Ⅱ is situat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medieval world where ceremony and rituals were respected, and the realistic period, the so called Renaissance, in which the concepts of change and dynamic reaction were most important. Here, with continual self-consciousness, Richard is addicted to play which supports his life. For him play is the essence of life rather than a political means. Because he can’t recognize the nature of real politics-that is, the ability to assume various identities and to play many different rol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he can’t use the theater as a strategy for his role. On the contrary, Bolingbroke understands the necessity of Machiavellian strategy for theatrical politics. Thus, he makes good use of dramatic tools such as mask, disguise, and counterfeiting. But the mask and the false identity that Bolingbroke use for getting and maintaining the crown stress the fictitious nature of his kingship. Meanwhile, the subversive power of theater which demystifies the royal authority is revealed through Falstaff’s parody and comic imitation of kingship. In Henry Ⅳ, the historical subversion which threatens the royal authority and the unity of the nation corresponds to the dramatic subversion which undermines the unity of the play- -Falstaff’s attempt to deny the theatrical reality. Furthermore, in Henry Ⅴ, the dramatic subversion reaches its climax through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narrative of Chorus which praises the heroic and historically authorized events, and the dramatic representations which interrupt, parody, and demystify inherent in ceremony and role-playing, the two elements of theatrical politics, and doubts, self-consciously, the nature of kingship when he takes his royal identity. Eventually,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Shakespeare’s History Plays demystify the royal authority though dramatic representation which blur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king and the player. Besides, Shakespeare parallels the political demystification with the dramatic subversion. Therefore, through Richard Ⅱ to Henry Ⅴ, Shakespeare has tried to dramatize the fictitious nature of kingship and the limitations of dramatic representation rather than the political success and the recovery of or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Ⅱ. Richard Ⅱ -------------------------------------------------------- 25 Ⅲ. HenryⅣ Part1, Part2 ---------------------------------------------- 53 Ⅳ. HenryⅤ ----------------------------------------------------------- 98 Ⅴ. 결론 --------------------------------------------------------------135 참고문헌 --------------------------------------------------------------141 영문초록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661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연극의 정치학 : 셰익스피어의 후기 사극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