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미정-
dc.creator구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77-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를 눈 앞에 둔 시점에서 지구 파산의 위기 라고까지 표현되는 생태위기는 오늘의 신학과 윤리에 커다란 도전이 되고 있다. 그간의 신학은 자연세계를 하나님의 은혜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고 구원사의 맥락에서 배제시키며 오로지 인간의 지배와 정복의 대상으로 간주함으로써, 사실상 자연 착취의 면허증을 내주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기독교윤리 역시 하나님ㆍ나ㆍ이웃 이라는 삼중적 관계만을 관심의 대상으로 삼았지, 생명권 전체를 포괄하지 못하는 편협함을 드러냈다. 따라서 기독교윤리가 사회적 적합성을 갖기 위해서는 생태계 보전이라는 책임의 문제를 등한시할 수가 없다. 생태학(ecology)은 이제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우리의 사유방식과 행동양식에 있어서 총체적인 변혁을 요구하는 당위의 학문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생태여성주의는 이러한 생태학적 요구와, 여성 억압을 종식시키려는 여성주의(feminism)의 목표를 하나로 결합시켜 현재의 가부장적 사회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여성주의의 통찰은 그간 육체 경시, 세계 부정, 여성 혐오로 일관해온 기독교신학이 생태학적으로 재활용 되는데 길잡이가 될뿐더러, 기독교윤리의 최고 규범인 사랑 을 생태학적 맥락에 적용시키고 포괄적인 공동체윤리를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시각을 제공해준다. 요컨대 본 논문은 생태여성주의가 기독교 사회윤리학적으로 어떻게 접맥될 수 있을지를 고찰해 본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먼저 제Ⅰ장에서는 본 논문의 문제제기와 목적을 밝히고, 방법, 동향, 범위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제Ⅱ장에서는 현대 문명을 떠받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현대 문명의 역사는 데카르트의 주/객 도식에 입각한 합리주의 철학과 베이컨이 기초를 놓은 과학기술주의, 또 아담 스미스의 자유주의 시장경제론이 만나 조우한 역사로, 철저히 자연 착취적이고, 여성 억압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제Ⅲ장은 생태위기에 대한 기독교의 책임을 검토하면서, 기독교 사상사에 나타난 영적 모티브와 생태학적 모티브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체로 기독교 신학은 영적인 동기에 치중하여 영혼구원에 힘쓰는 한편, 세상과 육체와 여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농후하였으므로, 이것이 서구적 자연관에 미친 영향을 고려할 때, 기독교는 직무태만죄 혹은 생략죄 를 저질렀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Ⅳ장에서는 생태여성주의의 사상적ㆍ신학적 토대를 탐구하였다. 여성억압과 자연억압이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관찰에 입각하여 가부장제가 생태위기의 근원이라고 고발하는 생태여성주의적 분석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자칫 본질주의로 흐르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이 새롭게 역전된 남/녀 이원론에 빠지지 않으려면 통합적이고 변혁적인 여성주의 로 나아가야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런 연후에 하나님과 세계를 분리시켜온 우주적 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한 생태여성신학자들의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세계 , 창조 , 하나님 , 예수 그리스도 등 주요 신학적 주제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들을 탐구하였다. 제Ⅴ장에서는 기독교 생태여성윤리의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우선 전통 기독교윤리의 사랑 의 규범을 생태학적 맥락에서 정의ㆍ돌봄ㆍ존중ㆍ사귐 등으로 다양하게 재해석해보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다음으로는 생태여성주의와 기독교사회윤리를 연결하는 틀로서 알버트 슈바이처의 생명 경외 윤리와 마르틴 부버의 나-너 윤리, 그리고 월터 뮬더의 인격적 공동체 윤리를 살펴본 뒤, 포괄적ㆍ통합적 틀로 살림의 윤리 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Ⅵ장에서는 본 논문의 전체 내용을 개괄적으로 요약하고, 그 한계점과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 In the comtemporary era, the environmental degradation viewed the crisis of bankrupted earth challenges today s theology and ethics to reflect upon the traditional indifference and ignorance of the ecological needs, and reconstruct the new eco-theology and eco-ethics. Additionally, as many feminist scholars and authors said, we can observe that the exploitation of nature and the subjugation of women are interconnected in many ways. Newly emergent ecofeminism that is coming together ecology and feminism seems to be the most fundamental challenge to the modern style of thinking and living. This thesis, in sum, examines how ecofeminism grafts on Christian social ethics. In Chapter 1, the writer presents the issue, aim, research method and trend concerned with this thesis. Chapter 2, considers critically the ideological bases supported modern culture from the ecofeminist perspective, especially rationalism originated from Descartes the father of modern philosophy, technological scientism founded on Bacon s project, and capitalism equipped with turbo-engine after the collapse of the East. In Chapter 3, in order to define the Christian responsibility for the ecological crisis, the writer traces to ecological sinfulness in the Christian church history. As a result, it comes true that th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had a tendency to devaluate the women, body, matter, and this world, while so immersed in the salvation of individual spirit. Christianity, then, commits a sin of omission . Chapter 4, explores of the conceptual and theological ground of ecofeminism. Ecofeminists, focusing 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domination of women and the domination of nature, commonly complain that the ecological crisis is rooted in the patriarchy. In my view, the radical separatist ecofeminism leads the reversed woman/man dualism. Ecofeminism, therefore, as a alternative vision needs to be developed integrative and transformative feminism . Whereas, ecofeminist theologians tried to overcome the cosmic dualism separated the world from God. They grope for the new understanding about the major theological subjects, for example, world as God s body, creation from love, God the motherㆍloverㆍfriend, the cosmic Christ, etc. In Chapter 5, in order to search for the basis of Christian ecofeminist ethics, first, the writer reinterprets Christian love(agape) treated as the supreme norm of the traditional Christian ethics to JusticeㆍCareㆍOther esteemㆍCommunion . Next, it is examined whether the Albert Schweitzer s notion of Reverence for Life , Martin Buber s I-Thou ethic, and Walter G. Muelder s Personalistic Communitarism may appropriate for a integrating framework of ecofeminism and Christian social ethics. And then, the writer proproses the Ethic of Sal-lim as a inclusive framework which means that creates, nurtures, renews, restores, heals, saves whole life in the created world. In conclusion, Chapter 6,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furthermore, points out the limits of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and suggesting some future prospects and tas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 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방법 및 전개 방향 ---------------------------------------- 4 C. 용어해설 -------------------------------------------------------- 10 Ⅱ. 현대문명의 기반에 대한 비판적 접근 ------------------------------ 15 A. 이성주의의 한계 ------------------------------------------------- 15 1. 데카르트의 주/객 도식 ------------------------------------------ 15 2. 새롭게 요구되는 이성과 감성의 조화 ----------------------------- 19 B. 근대 과학기술주의의 양면성 -------------------------------------- 22 1. 베이컨의 이상 -솔로몬의 집 ------------------------------------- 22 2. 가부장적 프로젝트로서의 과학기술주의 --------------------------- 27 3. 적정기술의 필요성 ---------------------------------------------- 38 C. 생태제국주의로서의 자본주의 ------------------------------------- 38 1. 환원주의적 과학과 자본주의의 결합 ------------------------------ 38 2. 개발 모델 - 또 하나의 식민정책 --------------------------------- 42 3. 지속가능한 개발의 요청 ----------------------------------------- 49 Ⅲ. 생태위기적 상황에서 기독교의 책임 ------------------------------- 55 A. 기독교에 대한 생태학적 비판과 응답 ------------------------------ 55 1. 화이트의 비판 및 그에 대한 반응 -------------------------------- 55 2. 그밖의 복합적인 요인과 기독교의 죄책 --------------------------- 61 B. 기독교 역사에 나타난 생태학적 모호성 ---------------------------- 63 1. 영원한 딜레마 - 그리스도와 문화 -------------------------------- 63 2. 생태학적 시각에서 본 기독교 역사 ------------------------------- 67 C. 서구적 자연관의 확립에 대한 종합적 평가 ------------------------- 90 Ⅳ. 생태여성주의의 사상적ㆍ신학적 토대 ------------------------------ 99 A. 생태여성주의의 사상적 토대 -------------------------------------- 99 1. 생태여성주의의 출현 -------------------------------------------- 99 2. 생태여성주의의 전제 --------------------------------------------103 3. 생태여성주의의 주요 쟁점들 -------------------------------------106 1) 여성억압과 자연억압의 상호연관성 ------------------------------106 2)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 ------------------------------------------111 3) 본질주의 노선에 대한 비판적 대응 ------------------------------124 B. 생태여성주의의 신학적 토대 --------------------------------------130 1. 생태여성신학의 다양한 흐름 -------------------------------------130 2. 생태여성신학의 과제 --------------------------------------------136 3. 생태여성신학의 주요 주제들 -------------------------------------143 1) 하나님의 몸 으로서의 세계 ------------------------------------143 2) 사랑으로부터의 창조 -------------------------------------------150 3) 어머니ㆍ애인ㆍ친구로서의 하나님 -------------------------------155 4) 우주적 그리스도 -----------------------------------------------163 Ⅴ. 기독교 생태여성윤리의 기초 --------------------------------------170 A. 생태여성주의 맥락에서 사랑 에 대한 재해석 ----------------------170 1. 자연 사랑의 근거 -----------------------------------------------170 1) 전통 기독교윤리의 사랑 에 대한 해석 및 그 비판 ---------------170 2) 구조론적 분석을 통해 본 자연 사랑 ---------------------------177 3) 생태여성주의적 관점의 필요성 ----------------------------------182 2. 자연 사랑의 다차원 ---------------------------------------------189 1) 자연 사랑의 딜레마와 조건 -------------------------------------189 2) 생태학적으로 표현되는 사랑의 다양성 ---------------------------193 B. 생태여성주의와 기독교사회윤리를 연결하는 틀 ---------------------206 1. 알버트 슈바이처의 생명 경외 윤리 -----------------------------206 1) 윤리적 신비주의로서의 생명 경외 -------------------------------206 2) 생명 경외 윤리와 생태여성주의의 대화 --------------------------211 2. 마르틴 부버의 나-너 윤리 -------------------------------------219 3. 월터 뮬더의 인격적 공동체 윤리 -------------------------------225 1) 공동체 안의 인간 개념의 함축적 의미 -------------------------225 2) 생태학적 맥락에서 도덕법의 재해석과 적용 ----------------------230 4. 포괄적ㆍ통합적 틀로서 살림의 윤리 ----------------------------241 Ⅵ. 결 론 ----------------------------------------------------------250 A. 전체 요약 -------------------------------------------------------250 B. 평가 및 한계 ----------------------------------------------------253 참고문헌 ------------------------------------------------------------255 Abstract ------------------------------------------------------------2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68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생태여성주의의 기독교사회윤리학적 수용 가능성 모색-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