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순희-
dc.creator고순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34-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19세기 현실비판가사의 역사적 성격과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현실비판가사는 三政문란기(19세기)라는 역사·사회적 조건하에서 기층민인 농민의 삶을 문제삼아 현실을 비판한 가사류로서 모두 작자를 알 수 없었고 시기적으로도 문학사의 어떤 시기에 속하는지가 불분명한 채고 남아 있었던 유형이다. Ⅱ장에서는 자료와 내용적, 형식적 작품양상을 실상 그대로 살펴보았다. 자료의 실상을 통하여 이 유형이 19세기 전반의 문학적 산물임을 규명하고,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아울러 民亂의 현장에서 유통된 가사를 검토하였다. 또 내용적으로는 위기의식의 발로, 현실 비판, 그리고 민중현실의 수용이라는 특질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과거제도에 대한 지향과 농민의 저항행위나 집단적 움직임도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진술양식에 있어서는 서정적·서사적·주제적 양식을 포괄하나 주제적 양식이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Ⅲ장에서는 이 유형이 누구에 의해 지어져 누구에 의해 향유되고, 또 향유되고 유통되는 방식을 어떠했는지 그 존재방식을 살펴보았다. 먼저 작자층은 서민이 아니라 지방하층사족층임을 밝혔으며, 그리고 작자층이 현실비판적 내용의 가사를 지을 수 있었던 의식형성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한편 이 유형은 적극적 향유층, 소극적 향유층, 그리고 주변적 향유층을 지닌다. 이 유형은 음영의 방식으로 향유되어졌으며 음영의 반복에 의해 구전적 성격도 지니게 되었다. 유통은 구전과 아울러 원 텍스트를 베껴서 전하는 ‘謄’의 방식도 병행되었다. 이 유형은 19세기에 걸쳐 광범위하게 향유되면서 타 장르에도 영향을 비쳤다. 시조와 판소리 단가에 사설이 수용되어 나타난다. Ⅳ장에서는 작자층이 왜 가사를 택하였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한시를 통하여서는 민생을 수용한 애민시 전통이 꾸준히 이어져 내려왔다. 시조는 19세기 중엽 이후 이세보에 와서야 민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가사는 임란 이후 우국가사에서 민생에 대한 지향을 나타냈었지만 18세기 이후로 가면 그러한 지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하층사족층이 한시를 택하지 않고 가사를 택한 이유는 두 장르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한시는 시적 모티브의 단일서, 개인적 성격, 그리고 탈향촌사회적 시각을 지님으로써 가사의 집단적, 공개적, 향촌사회 지향적 성격과 대조적이다. 상층교류적 성격의 한시로는 당대의 현실을 수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시각을 향민쪽으로 돌려 향민과의 의식공유가 가능한 가사를 택한 것이다. 그런데 현실비판가사에서 비로소 가사가 향촌사회 지향적 성격을 지니게 된 것을 아니었다. 그리하여 가사의 향촌사회 지향적 전통을 교훈적·농부가류 그리고 자연가사 및 기타가사류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이들과 대별되는 현실비판가사의 향촌사회 지향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현실비판가사에 나타난 세계관의 구조를 통하여 그것이 지니는 역사적 성격을 진단하였다. 현실비판가사에서는 ‘하나님’을 정점으로 한 세계관의 구조를 보인다. 왕에 대한 지향, 선치자에 대한 기대, 유교적 명문의 강조, 농본주의에의 집착 및 계층적 인식의 결여 등은 봉건적 요소이다. 그러나 이 유형에서는 모두 농민들의 생존권이 보장되고 생존권을 요구하는 저항적 움직임을 수용하는 사회를 지향하고 있다. 그리하여 선치자에 대한 기대나 유교적 위민의식의 본질도 반봉건적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새로운 체제에 대한 전망이나 비젼은 전혀 지니고 있지 못했으며, 그리하여 절망적 현실인식 속에서 하나님을 찾고 있었다. 이러한 세계관은 동학가사의 세계관과 연결되어 그 역사적 성격을 뚜렷이 지닌다. 현실비판가사의 문학사적 의의는 먼저 민생을 수용하고 현실을 비판하여 가사문학의 폭을 넓히고, 동학가사와 맥락이 이어져 역사·사회에 대응한 양식으로서의 흐름을 형성한다는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아음 이들 가사에서 보이는 현실인식과 세계관의 역사적 성격은 봉건사회 해체기의 근대화의식이 자생적으로 성숙되어갔음을 보여준다. 또 국문문학의 위상이 상승되어졌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19세기 전반기의 뚜렷한 양상을 형성하여 준다는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Ⅵ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정리하였다. ;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historical property and th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Kasa criticizing the reality in the 19th century. All of the Kasa criticizing the reality remain anonymous and have not been assigned to certain perio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Chapter Ⅱ, I investigated material and aspects of works in from and substance as they are. Though the facts found in materials I manifested that this type of Kasa is a product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time of century society in which this type of Kasa had been written. Furthermore, Kasa was also examined that had been circulated on the spot of the insurrection of the people. This type, in substance, reveals typical properties which are an expression of critical consciousness, criticism of reality and acceptance of people’s reality. It is pointed that the substance also include an inclination to the state examinations, Peasant’s resistance of mass movement. As for a mode of statement, a thematic mode was understood as major though both of lylic and epic modes are included. Chapter Ⅲ deals with a way of existence of this type of Kasa. That is, it is examined by whom this type was circulated. First of all, I defined that a class of writers are not the humble people but local lower aristocratic class. And I considered the background in forming a consciousness which allowed the writers to compose Kasa criticizing the realty. However, this type has those of enjoying classes which are positive, negative and peripheral. This type was enjoyed in the way of recitation and had a property of tradition, at the same time, by iteration of recitation. A way of ‘Copying’ which conveys by copying an original text is prevailing for circulation. This type , enjoyed an influence on other genres. Sasual appears to be accepted in Sijo and Pansori Danga. Chapter Ⅳ concerns with a class of writers chose Kasa. The tradition of Aeminsi accepting the public reality has been maintained through Poetries by Chinese Character. Sijo accepted the public reality only after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While an inclination to the public reality had been exhibited in Kasa of patriotism after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n 1652, such as inclination did not almost appear after the 18th century. The reason why the local lower aristocratic class chose not Hansi but Kasa is due to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these genres. Hansi is in contrast to a characteristic of its own. Hansi, the character of which is a kind of communication between upper classes, has its limitation to adopt the reality at that time. This leads the local lower aristocratic class to turn their attention to the country people and to choose Kasa that makes criticizing the reality that Kasa could have the characteristic of country society. Thus, I examined the tradition of Kasa aiming at the country society. In Chapter Ⅴ, I explained a structure of a view of the world which appears in Kasa criticizing the reality reveal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it has, Kasa criticizing the reality and I saw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it has. Kasa criticizing the reality reveals the structure of a view of the world, the apex of which is God. Inclination to king, expectation for benevolent governer, emphasis on Confusion cause and deficiency of hierarchical consciousness-all of them are federal elements. But this type aims at a society which guarantees the right to live of peasants and accepts the resistant movement to ask their right to live. Hence, the essentials of expectation for benevolent governor of Confusion consciousness for the people’s own sake has an anti-federal meaning. However, the expectation for new system was not found. This frustrating awarness of reality could not help forcing them to defend on God. Such a view of the world has an obvious historical characteristic in relation to a view of the world shown in donghak Kasa. Kasa criticizing the reality has its significanc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a certain concrete real aspect for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Kasa movement involved in s class of writers, since a class of writers is defined as a local lower aristocratic class. Second, this type of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forms the stream of the history of Kasa which Donghak Kasa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and Kaehwa Kasa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Kasa criticizing the reality and Dongak Kasa show that modernization during the disorganization of federal society became mature spontaneously. Third, it was revealed in this type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19th century has only a conservation aspect but also an aspect of showing the popular form of ex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 C. 용어의 개념 및 연구대상 ------------------------------------------ 5 Ⅱ. 현실비판가사의 자료와 작품양상 ----------------------------------- 7 A. 유전상황 및 이본의 검토 ------------------------------------------ 7 B. 연대추정 및 시대적 위상 ------------------------------------------ 7 C. 작품양상 --------------------------------------------------------- 18 1. 향촌사회의 시대적 상황과 작품세계 ------------------------------- 18 2. 유형적 특질 ----------------------------------------------------- 32 3. 진술양식 -------------------------------------------------------- 47 Ⅲ. 현실비판가사의 존재방식 ------------------------------------------ 56 A. 작자층 ----------------------------------------------------------- 57 1. 작자층의 추정 --------------------------------------------------- 57 2. 작자층의 사회적 성격 -------------------------------------------- 70 B. 향유층 ----------------------------------------------------------- 74 1. 향유층의 추정 --------------------------------------------------- 74 2. 향유층의 범위와 성격 -------------------------------------------- 82 C. 향유방식 및 유통과정 --------------------------------------------- 84 1. 조선후기 가사의 음영성 ------------------------------------------ 84 2. 음영성, 구전성 및 유통과정 -------------------------------------- 86 3. 다른 장르에 끼친 영향 ------------------------------------------- 90 Ⅳ. 현실비판가사의 장르선택과 향촌사회 지향적 성격 ------------------- 96 A. 현실비판가사의 장르선택 요인 ------------------------------------- 96 1. 시가장르의 민생지향과 그 양상 ----------------------------------- 96 2. 가사장르 선택의 이유 --------------------------------------------107 B. 현실비판가사의 향촌사회 지향적 성격 ------------------------------112 1. 가사의 향촌사회 지향적 전통 -------------------------------------112 2. 현실비판가사의 향촌사회 지향적 성격 -----------------------------125 Ⅴ. 현실비판가사의 역사적 성격과 문학사적 의의 -----------------------128 A. 역사적 성격 ------------------------------------------------------128 B. 문학사적 의의 ----------------------------------------------------145 Ⅵ. 결론 -------------------------------------------------------------150 참고문헌 -------------------------------------------------------------155 영문초록 -------------------------------------------------------------1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493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세기 현실비판가사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