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비숙-
dc.creator최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근 패션에도 자주 등장하는 1960년대의 패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미니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고, 거기로부터 표출되는 미니 스타일 복식의 상징성을 탐구하여 문화적 의미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복식 문헌 자료, 대중 소비 문화 자료, 미술 자료 및 이를 위한 시각 자료를 중심으로 1960년대 미니 스타일 복식의 시대적 배경과 조형적 특성, 그리고 그 스타일에 내포되어 있는 상징성과 문화적 의의에 관하여 문헌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한 미니 스타일 복식의 시대적 배경으로는 패션의 대중화를 가져온 소비 문화와 "젊은 세대(young generation)"의 형성, 형태의 소형화와 신소재 개발을 가져온 하이 테크 문화의 영향, 육체의 노출을 가능하게 한 육체 개념과 육체미의 변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니 스타일 복식의 조형적 특성은 기하학적 극소화 스타일(Geometric - Miniature Style), 극단적 노출 스타일(Ultra - Reveal Style), 활기찬 유희적 스타일(Exciting - Funny Style)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미니 스타일 복식의 가장 두드러진 조형적 특성인 기하학적 극소화 스타일은 모더니즘의 기하학적 경향과 단순성의 극단적 표현이다. 또한 이런 형태의 극소화 경향에 의하여 노출 스타일도 하나의 조형적 특성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미니 스타일 복식의 기하학적 극소화 스타일과 극단적 노출 스타일은 여성들로 하여금 마른(slender) 육체와 노출을 추구하게 하였다. 한편 영 패션(young fashion)의 등장에 의한 유희적 스타일은 미니 스타일 복식에 나타나는 모더니즘적 엄격함과 긴장감을 무질서, 풍자, 장난 등으로 적절히 완화시켰다. 이러한 유희적 스타일은 패션의 대중화와 더불어 키치 패션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조형적 특성을 지닌 미니 스타일 복식에 내재 된 문화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즉 그 의미는 여성의 마른 육체의 이상화, 노출과 육체의 자연미 구가, 패션의 대중화와 키치 패션을 형성한 데에 있었다. 첫째, 마른 육체의 이상화는 기계 형상의 은유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장식을 제거하고 본질과 단순함을 추구하였던 기계 미학과 같은 맥락에 있다. 또한 다른 시각에서 여성의 마른 육체 경향은 지나치게 어린 사춘기 이전의 미성숙한 소녀의 육체를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나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여성의 육체를 무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60년대 여성들은 무성적인 마른 육체를 통하여 소극적이기는 하지만 보여지는 대상에서 벗어나 여성 스스로 자신을 자각할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가 되고자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경향이었다. 둘째, 60년대 미니 스타일 복식에서는 노출에 대한 수치심이 사라지게 되었고, 인간은 노출을 통하여 육체의 자유를 구가하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현대에 들어와 육체적인 존재라는 인간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면서 서구 기독교적 수치심에 관한 사고에서 벗어나게 되면서 이루어졌다. 특히 60년대 미니 스타일 복식에 의한 노출을 통하여 여성의 육체는 성적 에로티시즘 의 관점이 아니라 육체의 자연미 구가 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셋째, 60년대 새로운 소비자로 등장한 "젊은 세대"에 의한 영 패션의 형성은 패션의 대중화를 가져오게 되어 다수의 대중을 위한 영.미(英.美) 중심의 대중 패션으로 바뀌었다. 또한 대중 소비 문화에서 등장한 키치 패션은 모더니즘의 단조로움을 치유하게 하였고, 동시에 고급 엘리트 문화와 대중 문화 사이의 간극을 극복하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본 논문의 연구 의의는 다음과 같다. . 미니 스타일 복식을 착용한 여성의 마른 육체는 여성으로 하여금 스스로를 관찰할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로 변화시켰다. 이런 의미에서 미니 스타일 복식은 여성의 자유 획득의 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 60년대 미니 스타일 복식은 노출을 에로틱한 관점에서보다는 수치심으로 억압되었던 여성 육체의 자연미 구가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 디자이너들은 노출을 통하여 패션 미학에 육체 자체를 주체적 위치에 두게 되었다. . "젊은 세대"의 등장은 패션을 대중화시킴으로써, 파리 오트 쿠튀르의 배타성을 인정하게 하여 프레타 포르테 컬렉션의 등장을 가져왔다. . 하이 테크 발전에 의한 신소재 개발은 패션 소재를 확대시켜, 여러 분야에 패션화를 가져와 키치 패션을 등장시켰다. . 유희적 키치 패션은 모더니즘의 엄격함, 권태, 긴장감 등을 치유하는 포스트 모던 패션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60년대 복식 분야에서의 미니 스타일은 20세기 패션의 모더니즘의 결정체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포스트 모던으로의 21세기 전환점을 제시한 스타일이었다. 이와같이 복식 문화를 살펴볼 때 유행의 창출은 우연이나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대 정신의 반영을 통해 만들어진다. 육체를 장식하는 방법이나 옷을 입는 방법 등 모두가 문화 현상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1960년대 미니 스타일 복식은 당시의 시대 정신을 반영하고 또한 문화적 분위기를 이끌었으며, 동시에 앞으로도 계속 재현될 수 있는 한 시대를 특징 짓는 중요한 패션 양식이었다. ; In this research, discussed is the role of fashion as a social function by pointing ou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ini style fashion which is distinctive in the 60 s fashion and by understanding the symbolic meaning of mini style fashion expressed b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s such as evolving viewpoints of the body, consumer culture, and high tech cultur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60 s mini style fashion are examined by literature review. They turne out to be Geometric-Miniature Style, Ultra-Reveal Style, and Exciting-Funny Style. The most importa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mini style fashion is the geometric miniaturization which was pursued from the slender female body and exposure. Also, exciting-funny characteristics of the mini style fashion initiated by the 60 s young fashion was pursued through Kitsch fashion. The symbolic meaning of mini style fashion implied in this formative characteristic can be summarized as a revolution by the slender female body and exposure, popularity invoked by young fashion, and modern meaning of Kitsch fashion. Firstly, the trend of slender body is a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ideal beauty. In the 20th century, mechanical aesthetics was established and the slender female body metaphorical of the shape of machines became the aesthetic standard together with the influence of aesthetics revolution caused by vagueness of the boundary between beauty and ugliness and the enlargement of the aesthetic objects to ugliness. It should be criticized that the slender female body like a hybrid is a result of envy of masculine character and that female body was fit to male standard and the womanly beauty was ignored. Also, body of very immature girls before adolescence was the standard. Therefore, natural change of female body was neglected and especially, the function of mature motherhood was denied. However, slender female body can be interpreted as an intention, even though passive, to search for the feminine character by escaping from the superficial appearances and emphasizing the sexless female body. Secondly, in the western tradition, sense of shame is a concept that human being is spiritual and it is shameful to yield to the sensual desire. In modern standard, the concept is raised that human being is also sensual and the sense of shame has no more traditional meaning. Therefore, escaping from the sense of shame imposed to the female body exposure, which is the western christian tradition, female changed themselves to subjects to express themselves from the objects to be shown and enjoyed their freedom. In the mini style fashion of the 60 s, female body exposure was not attempted from sexual eroticism. Female regarded the exposure of body as an expression of their free will and enjoyed the natural beauty of the body. Thirdly, in order to overcome the strictness, tenseness, and monotone caused by pursuit of the geometric style in the sense of miniaturization of the mini style fashion, exciting-funny characteristics were adopted and Kitsch fashion was established. Therefore, Kitsch fashion was a natural outcome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modernism. From this observation, modernism and post modernism can be regarded to coexist within the mini style fashion, and changing modern trend can be confirmed, which already started 30 years ago. Also, miniature shape of the mini style represented commercialism of the consumption oriented society, in which goods are easily consumed and discarded, and established a real popular culture. Haute Couture in Paris was challenged by the popular fashion, or the young fashion of the 60 s, in which goods are easily changed or discarded. This trend is believed to be the foundation of current medium-to-low cost fashion market. Mini style fashion in the 60 s is a natural result of modernism and formed the foundation to move to post modernism. Even in the 90 s, the 60 s attempt is generally accepted as a reasonable tre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Ⅰ. 서 론 ---------------------------------------------------------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 5 Ⅱ. 미니 스타일 복식의 등장 배경 ------------------------------------ 7 A. 소비 문화와 젊은 세대의 형성 ------------------------------------ 7 B. 하이 테크 문화의 영향 ------------------------------------------- 16 C. 육체 개념과 육체미의 변화 --------------------------------------- 23 Ⅲ. 미니 스타일 복식의 조형적 특성 ---------------------------------- 40 A. 기하학적 극소화 스타일(Geometric - Miniature Style) ------------- 41 B. 극단적 노출 스타일(Ultra - Reveal Style) ------------------------ 53 C. 활기찬 유희적 스타일(Exciting - Funny Style) -------------------- 67 Ⅳ. 미니 스타일 복식의 미의식과 문화 형성 --------------------------- 86 A. 마른 육체미의 이상화 -------------------------------------------- 86 1. 기계 형상의 은유 ----------------------------------------------- 88 2. 탈성적 대상화 -------------------------------------------------- 93 B. 노출과 육체의 자연미 구가 ---------------------------------------100 1. 탈수치심 -------------------------------------------------------101 2. 육체의 자유 표출 -----------------------------------------------111 C. 패션의 대중문화 형성 --------------------------------------------119 1. 패션의 대중화 --------------------------------------------------119 2. 키치 패션의 등장 -----------------------------------------------124 Ⅴ. 결론 ------------------------------------------------------------135 참고문헌 ------------------------------------------------------------139 영문초록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1420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미니 스타일 복식의 문화적 의미 : 1960년대를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