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정-
dc.creator이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영아기 정서성 및 부모의 내향성과 아동의 행동 억제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동 억제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36개월±1개월의 여아와 그 아동의 어머니 및 아버지 49쌍이었다. 자료는 행동관찰과 질문지 조사의 두가지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행동관찰 방법으로 아동의 행동 억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Asendorpf(1993), Kochanska(1991), Kagan 등(1984)이 사용한 방법에 기초하여 모두 4개의 에피소드를 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과잉보호, 지시/통제, 거부/적대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아동과 어머니의 자유놀이 상황을 관찰하였으며,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의 적절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mith와 Pederson(1988)의 방법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질문지 조사 방법으로 아동의 영아기 정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arey 와 Mcdevitt (1978)의 “Revis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RITQ)”중 일부를 사용하였고, 부모의 내향성은 Eysenck의 성격 차원 검사(아이젱크, 이 현수, 1985)로 측정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아동의 행동 억제에 대한 민감성, 예의범절 강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아동의 행동 억제에 대한 민감성, 예의범절 강조, 과잉보호, 지시/통제, 거부/적대)의 측정은 선행 연구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관찰자료의 점수화는, 아동의 행동 억제 성향은 Asendorpf(1993), Kochanska(1991), Kagan 등(1984)의 방법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점수 평정 방법을 직접 구성하여 분석하였고, 아동의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의 적절성은 Smith와 Pederson(1988)의 평정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Farran, Kasari, Comfort 및 Jay(1986)의 Parent/Caregiver Involvement Scale (P/CIS)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구성한 방법에 의해 점수화하였다. 관찰자료를 점수화한 결과와 질문지로 측정된 변인의 점수를 본 연구의 최종자료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 분석과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의 부정적 정서성과 긍정적 정서성 각각은 3세 여아의 행동 억제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영아기 부정적 정서성과 긍정적 정서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3세 여아의 행동 억제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영아기의 긍정적 정서성은 3세 행동 억제에 미치는 영아기 부정적 정서성의 영향력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3세 여아의 행동 억제는 아버지의 내향성과는 전혀 관계가 없었고, 3세 행동 억제 성향이 극단적으로 높은 여아의 경우에만 어머니가 내향적인 특성이 강할수록 3세 행동 억제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기 정서성과 부모의 내향성이 아동의 행동 억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제하고 3세 여아의 행동 억제에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의 순수한 영향력만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가 거부/적대적인 양육행동을 많이 할수록 3세 여아의 행동 억제가 증가하였고, 어머니가 아동의 요구에 적절하게 반응할수록, 그리고 아동의 발달 상태와 그때 그때의 상황에 적절하게 지시/통제할수록 3세 여아의 행동 억제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딸의 영아기 정서성과 전혀 관계가 없었는데 비해, 어머니는 딸이 영아기에 긍정적인 정서성을 적게 보일수록 아동의 요구에 대해 보다 적절하게 반응하고, 부정적인 정서성을 많이 보일수록 지시/통제 행동을 많이 나타내었다. 또한 외향적인 아버지일수록 딸의 행동 억제 성향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내향적인 아버지일수록 거부/적대적인 양육행동을 많이 하였으며, 내향적인 어머니일수록 예의범절을 강조하는 양육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3세 여아의 행동 억제 성향은 영아기에 긍정적 정서성이 높으면 부정적 정서성의 영향력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3세 행동 억제 성향이 완화되고, 어머니의 내향성과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으며, 아버지의 거부/적대적인 양육 행동은 딸의 행동 억제성향을 증가시키고 자녀의 요구에 대한 어머니의 적절한 반응과 적절한 지시/통제는 딸의 행동 억제 성향을 감소시키는데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infant emotionality, parental introversion, parenting and development of child behavioral inhib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 36±1 month-old girls and their parents in Seoul, Ilsan and Bundang. Data was gathered using behavior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In order to assess the child behavioral inhibition and maternal parenting (overprotection, direction/control, rejection/hostility, appropriateness of response), each child-mother dyad behavior was videotaped in the strange situation made by author. Data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were child s infant emotionality (by mothers), maternal sensitivity to the child inhibition and guidance of manners (by mothers), paternal parenting (by fathers), and parent s introversion (by mothers and fathers respectively). The child inhibition was rated by using a scale made by author that based on the method of Asendorpf(1993), Kochanska(1991), Kagan et al.(1984). The maternal appropriateness of response was rated by a scale of Smith and Pederson (1988), the maternal parenting by a modified Parent/Caregiver Involvement Scale (P/CIS).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ere Cronbach s alpha, factor analysis, t-test, F-test,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s r,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fant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ality separatel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o 3-year girl s inhibition. But the interaction effect of both emotion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high infant positive emotionality reduced to the influence of early negativity on 3-year inhibition. 2. The 3-year girl s inhibition was not related to father s introversion. But the higher maternal introversion scores were, the higher inhibition scores were found in extremely inhibited group only. 3. The higher paternal rejection/hostility scores were, the higher inhibition scores were found in 3-year girls. And the higher maternal appropriateness of child inhibition scores and direction/control (appropriateness) scores were, the lower inhibition scores were found in 3-year girls. 4. The girl s infant emotionality was not related to paternal parenting. But the lower infant positive emotionality scores were, the higher maternal appropriateness of response scores were found, and the higher infant negative emotionality scores were, the higher maternal direction/control scores were found. And the higher paternal extroversion scores were, the higher sensitivity to the child inhibition scores were found, and the higher paternal introversion scores were, the higher rejection/hostility scores were found in fathers. The higher maternal introversion scores were, the higher guidance scores of manners in mot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ⅴ Ⅰ. 서 론 --------------------------------------------------------- 1 Ⅱ. 이론적 배경 ----------------------------------------------------- 8 A. 행동 억제(behavioral inhibition)에 대한 이론적 접근 ------------- 8 1. 행동 억제(behavioral inhibition)의 개념 정의 ------------------- 8 2. 행동 억제(behavioral inhibition) 연구의 흐름 ------------------- 13 B. 영아기 정서성 및 부모 변인과 후기 행동 억제의 관계 -------------- 20 1. 후기 행동 억제와 영아기 정서성의 관계 -------------------------- 20 2. 아동의 행동 억제와 부모의 역할 --------------------------------- 26 1). 아동의 행동 억제와 부모의 내향성 ----------------------------- 26 2). 아동의 행동 억제와 부모의 양육행동 --------------------------- 28 3. 아동의 영아기 정서성 및 부모의 내향성과 부모의 양육행동간의 관계 35 Ⅲ. 연구 문제 ------------------------------------------------------- 38 A. 연구문제 -------------------------------------------------------- 38 B. 용어의 정의 ----------------------------------------------------- 40 Ⅳ. 연구 방법 ------------------------------------------------------- 42 A. 연구 대상 ------------------------------------------------------- 42 B. 연구 절차 ------------------------------------------------------- 44 1. 예비 조사 및 예비 실험 ----------------------------------------- 44 2. 본 조사 및 본 실험 --------------------------------------------- 47 C. 측정 도구 및 측정 방법 ----------------------------------------- 49 1. 행동 관찰 방법 ------------------------------------------------- 49 1). 아동의 행동 억제 --------------------------------------------- 57 2). 어머니의 과잉보호 -------------------------------------------- 60 3). 어머니의 지시/통제(양, 적절성) ------------------------------- 61 4). 어머니의 거부/적대 ------------------------------------------- 63 5). 어머니의 반응의 적절성 --------------------------------------- 64 2. 질문지 방법 ---------------------------------------------------- 66 1). 아동의 영아기 정서성: 어머니 응답 질문지 --------------------- 66 2). 부모의 내향성: 자기응답 질문지 ------------------------------- 68 3). 어머니의 양육행동: 자기응답 질문지 --------------------------- 68 4). 아버지의 양육행동: 자기응답 질문지 --------------------------- 70 D. 자료 분석 ------------------------------------------------------- 73 Ⅴ. 연구 결과 및 해석 ----------------------------------------------- 75 A. 3세 여아의 행동 억제와 영아기 정서성 (부정적·긍정적 정서성) ----- 75 B. 3세 여아의 행동 억제와 부모의 내향성 ---------------------------- 77 C. 여아의 행동 억제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행동의 역할 ---------------- 80 D. 영아기 정서성 및 부모의 내향성과 부모의 양육행동 ---------------- 83 Ⅵ. 논의 및 결 론 ------------------------------------------------- 90 A. 논 의 --------------------------------------------------------- 90 B. 결론 및 제언 ----------------------------------------------------101 참 고 문 헌 ---------------------------------------------------------104 부 록 ---------------------------------------------------------121 ABSTRACT ------------------------------------------------------------1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691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3세 여아의 행동 억제(behavioral inhibition)와 그 관련변인 : 영아기 정서성, 부모의 내향성, 부모의 양육 행동과의 관계-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