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은경-
dc.creator남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0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3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7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41-
dc.description.abstract在韓國漢文學的系統來看, 16世紀士林派與18世紀實學派文學之間的17世紀的文學上的特點曾經沒給人家具體地分析而介紹過. 東溟鄭斗卿是在17世紀當代的文壇裏有所受盛讚的代表格的文人, 而是在詩與散文兩 方面都發現出强烈的個性而通過 表現出17世紀整 文學的特點的. 壬辰·丙子兩 大亂和仁祖反正等國家內外的激變裏, 鄭斗卿在思想方面堅持都肯定儒·道二 宗敎的態度, 在現實方面堅持對現實積極面對的態度. 這些特點都由溫陽鄭氏家門修練道敎而積極參與現實情況的態度, 也由17世紀的 外勢對壘的情況, 而被當代思想界性理學的弛緩和再整理的變化狀況受影向的. 鄭斗卿在當代的危機狀況裏把 文武兼全 當作理想的人的典範, 而主張了武的重要性. 他反對對後金的侮辱的講和而開展斥和論, 則主張了應備 後金能 對當的武力. 但是, 在胡亂的悲慘的敗戰以後, 他對節義深考, 以對現實的挫折感和當臣子的對不住的心情來反復地 推辭公職還是隱居生活了. 他認爲, 文學是才能和努力的基礎上能作出來的甚 特別的, 而文學應該對當代社會作諷刺和諷諫作用. 通過文學上的反古, 他願意回復古代文學的元氣, 這表現他多 重視古代文學具有的社會性和質朴性, 而通過這些古代文學的特點, 他强調了强烈的氣力. 這些特點是在漢魏的"慷慨風骨"或盛唐的"盛唐氣象"有所實現的, 他注重那時代的文學的價値. 鄭斗卿繼承以諷諫爲主的漢賦的思想, 爲了强調君主的德治, 他寫作了<劒賦>和<哀滿月臺賦>. 向漢魏盛唐詩學習的鄭斗卿樂于以尙武思想或邊方的風情, 對古代名將的欽慕, 民族始祖神檀君, 對東明王和箕子的興趣, 歷代中國的英雄-將軍, 俠客, 英雄的領導者等-的故事來詩作. 而他使用氣勢强烈的劒的比喩或者龍·虎·鷹·馬等的詩語以及誇張法·反復法等的修辭法來, 內容方面和形式方面上都體會了格外罕見的 奇健 風格. 他特喜歡 自己自由自在的氣象合適的古體詩, 在擬古樂府和七言歌行也得了獨特的內容和形式美的成就, 創作出當代最高水平的古體詩. 而且, 他努力  現實有關的文學, <詩諷>的題目下, 把文學與歷史混合起來, 編纂了對現實政治能 有 助的作品而把 獻給孝宗, 衷心願意作好當臣子的道理. 這裏能看得出17世紀所改變的詩經觀, 是從前的性理學的詩經觀轉到漢代儒子的諫書論的詩經觀的, 是踏進 白湖尹 同樣的一條路的, 在這裏我們能看到 在文學史上含着的意義. 鄭斗卿還在以老虎假傳的<山君傳>主張武的價値, 以<碧繼翁傳>表現出他自己的處世觀, 在<李孝子傳>裏描寫了一 人物的死亡, 他用寫實的寫法來把胡亂的悲慘的經驗記錄下來了. 這些散文裏表出了秦漢古文的影向, 特別反映了「史記」和「莊子」的思想和表現手法. 他的文學是 現實的問題有關的文學創作,  讓古代的風格有成果地再興來. 在詩作方面來看, 他在秦漢盛唐派代表的文人當中獲得了的高度的評價. 鄭斗卿的反古的文學創作態度和手法由17世紀當代的現實的要求來形成下來了. 國內外的危機情況下, 具有社會性和强烈的氣力的鄭斗卿的文學給沈滯而懦弱的當代文人感性的刺戟而鼓舞他們, 影向當代的文壇, 因此, 大受了當代的歡迎.  其前代的文學情況相比, 綺麗的女性偏向的文風和鄙陋的詩語在17世紀的危機狀況裏沒發揮文學的魅力, 反而, 鄭斗卿文學的男性的氣槪和典雅的詩語 受了當代的歡迎. 鄭斗卿文學的創作態度和手法都是因當代現實的要求和鄭斗卿他自己帶着的個性起來的. 不過, 時代本身與時代的氣 改了下去, 就只有他的文學的形式方面的特點給後代留下來了. 在鄭斗卿文學, 爲了發揮氣力, 典故和想像的虛構的詩語是十分重要的工具, 不過, 重視天機和寫實的詩描寫的18世紀的文風把鄭斗卿的文學看作頭一 該廢的. 但是, 鄭斗卿的文學具有對當代時代的要求最充實的文學性和形式, 所以我們可以講 體現了17世紀的樣子的文學. 鄭斗卿文學的多彩的因素連接了16世紀士林派文學與18世紀實學派文學, 給我們看過渡時期的樣子. 因爲, 他的社會參與的文學觀·通過反古文學作出來的精彩的文學表現和形式上的實驗有所影向後代的文學. 到了朝鮮後期, 鄭斗卿的文學雖然打發了時宜性, 但, 對 體現的17世紀的重要的因素來設, 値得把 占在我們文學史上充分重要的地位. ; 16세기 士林派 문학과 18세기 實學派 문학으로 이어지는 한국한문학의 흐름에서 17세기 문학의 특징은 이제껏 구체적으로 분석되어 알려지지 못했다. 東溟 鄭斗卿은 17세기 문단에서 크게 칭도되었던 당대의 대표적 문인으로 詩와 文 양 방면에서 강한 개성을 나타내고 이를 통해 17세기의 문학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는 인물이다. 壬辰.丙子 兩亂과 仁祖反正이라는 국내외의 격변 속에서 정두경은 사상적으로는 儒敎와 道敎를 兼攝하며 현실에 대해 민감한 대응을 하려는 자세를 견지하였다. 이러한 면은 현실참여에도 적극적이었던 개방적 도교사상의 영향과 17세기 오랑캐와의 대치 국면에서 기인하는 것이며, 당대 사상계의 性理學的 이완과 재정립이라는 변화양상과도 관련이 있다. 정두경은 당대의 위기 상황 속에서 文武兼全을 이상적인 인간형이라 설정하여, 武의 가치를 주장하였다. 後金에 대해서는 굴종적인 강화를 반대하고 그들과 맞설만한 武備를 갖출 것을 주장하며 斥和論을 펼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호란의 참담한 패배 후에는 節義에 대해 고민하고, 현실에 대한 좌절감과 臣子로서의 부끄러움속에서 벼슬직 사퇴와 은거를 되풀이하게 되었다. 그는 문학이란 재능과 노력을 바탕으로 성정을 표현해 주는 특별한 무엇이라 생각했고, 문학은 사회에 대한 諷刺와 諷諫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문학에서의 復古를 통해 古代文學의 元氣를 회복하길 바랬으니, 이는 고대 문학이 가지고 있던 사회에 대한 관심과 질박한 표현, 이를 통한 강한 氣力을 중시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漢魏의 "慷慨風骨"이나 盛唐의 "盛唐氣象" 에서 구현되는 바로서, 정두경은 이 시기의 문학에 큰 가치를 두었다. 漢魏盛唐詩를 전범으로 삼아 공부했던 정두경은 邊塞의 風光에 대한 높은 기세의 시를 쓰고, 尙武思想과 民族意識을 보이는 우리 고대의 名將을 그리워하고, 우리 민족시조신인 檀君.東明王 및 箕子에 관한 관심, 그리고 역대 중국의 英雄들 - 將軍. 俠客. 英雄的 지도자 등-의 고사를 즐겨 詩化하였다. 또한 강한 氣勢가 느껴지게 하는 劒의 소재나 龍. 虎. 馬. 鷹 등의 시어 사용 및 다양한 전고 및 관용어구의 사용, 과장법과 반복법 등의 수사법을 이용해, 내용상으로나 표현상으로 다른 문인들에게서는 볼 수 없는 奇健 의 풍격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자유분방한 그의 氣象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古體詩를 선호하였던 정두경은 擬古樂府와 七言歌行에서도 독특한 내용과 형식미를 이루어, 후대에는 최고의 古體詩 작가란 평을 얻는다. 임금에 대한 諷諫을 중심으로 했던 漢賦의 정신을 이어받아, <劒賦>와 <哀滿月臺賦>를 지어, 임금의 德治를 강조하였다. 또한 그는 歷史와 文學을 혼용하여 현실정치에 구체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편찬한 [詩諷]이란 작품을 효종에게 바쳐, 臣子로서의 의무를 다하려고 하였다. 이 속에 보이는 {詩經} 인식은 17세기의 변모된 詩經觀을 보이는 것으로, 그 이전 성리학적 시경관에서부터 漢代 儒子의 諫書論的인 시경관으로의 전환을 보여, 중요한 문학사적 의의를 보여준다. 또한 호랑이를 假傳한 <山君傳>을 통해서는 武의 가치에 대한 각성을 주장했고, <碧繼翁傳>을 써서 자신의 處世觀을 노래했으며, <李孝子傳>에서는 한 인물의 죽음을 통해 胡亂의 참담한 경험을 사실적으로 기록하였다. 이러한 그의 산문에는 秦漢古文의 영향이 자리하고 있는데, 특히 {史記}와 {莊子}가 보여주는 사상과 표현법이 그의 산문문학에 반영되었다. 그의 문학은 현실적인 문제와 관련한 문학창작이었고, 古의 풍격을 성공적으로 되살려내어, 시와 문을 함께 한 秦漢盛唐派의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되었다. 정두경의 復古的 문학창작 정신 및 문학 소재와 기법은 17세기 당대의 현실적 요구에 기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국내외적인 위기 상황 속에서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강한 氣力을 가진 그의 문학은 침체되고 나약해진 지식인들의 정서를 자극하여 고양시켰기에 당대인들에게 커다란 힘이 되었고, 이에 따라 많은 사랑을 받은 것이다. 그 전대의 문학 경향이 綺麗한 女性취향의 문풍과, 鄙陋한 詩語의 사용으로 17세기의 위기 상황 속에서는 문학적 매력을 발산하지 못한데 비해, 정두경 문학이 보이고 있는 男性的인 강한 氣力와 典雅한 시어의 사용들은 당대인들에게 큰 호응을 받게 된 것이다. 그러나 시대의 분위기가 바뀌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의 문학에서 복고적 형식 특성만이 후대에까지 유행하게 되었다. 典故와 상상적인 虛景의 詩語는 정두경 문학에서 氣力을 발산시키던 중요 도구였지만, 天機를 중요시하며 사실적인 시 묘사를 중시한 18세기에는 제일 먼저 폐기해야 할 전대문학의 요소로서 지목되어 비판되는 것이다. 그러나 정두경의 문학은 17세기 당시 시대적 요구에 가장 충실하였던 문학적 성격과 형태를 지녔고, 이에 따라 당대 문학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문학의 제반 요소들은 전대인 16세기 사림파 문학과 후대인 18세기 실학파 문학을 연결하는 과도기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社會參與的 문학관과 復古文學을 통한 다양한 문학 표현과 양식의 실험은 후대의 문학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정두경의 문학이 조선 후기에는 시효성이 지날지라도 17세기가 원했던 중요 요소를 갖췄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論 A. 연구의 현황과 방향 ---------------------------------------------- 1 B. 연구대상의 서지적 검토 ------------------------------------------ 5 Ⅱ. 生涯와 思想 A. 시대상황과 생애 ------------------------------------------------- 11 B. 사상적 특징 1. 儒. 道의 兼攝과 均衡的 思考 ------------------------------------ 21 2. 文武兼全의 理想化 ---------------------------------------------- 28 3. 斥和論과 節義 崇尙 --------------------------------------------- 30 Ⅲ. 文學觀과 創作論 A. 문학에 대한 관점 1. 諷刺. 諷諫의 現實參與 文學 중시 ------------------------------- 35 2. 健 의 氣格 추구 ---------------------------------------------- 38 B. 창작에 대한 견해 1. 讀書를 통한 學古의 강조 --------------------------------------- 42 2. 漢魏. 盛唐 詩와 秦漢 散文의 전범화 ---------------------------- 44 Ⅳ. 文學世界 A. 詩 1. 시 작품의 主題的 특징 ----------------------------------------- 55 1) 邊塞의 風光과 幕府生活의 묘사 2) 尙武精神과 民族意識의 표출 3) 現實批判과 임금에 대한 勸戒 4) 閑居와 道佛的 風趣 2. 시의 素材와 表現 양상 -----------------------------------------102 1) 劒 소재의 仍用 2) 龍.虎.馬.鷹 소재에의 관심 3) 典故와 慣用的 활용 4) 誇張法과 强調法의 애호 3. 樂府. 歌行의 특성과 의의 --------------------------------------121 1) 樂府의 제재 특성과 표현양상 -----------------------------------122 2) 歌行의 내용과 형식 특성 ---------------------------------------138 B. 賦 1. <劒賦>의 주제의식과 표현특성 -----------------------------------156 2. <哀滿月臺賦>의 주제와 형식 -------------------------------------164 C. [詩諷] 1. [詩諷]의 창작배경과 원류 ---------------------------------------169 2. [詩諷]의 체제와 내용 -------------------------------------------172 3. [詩諷]의 자료적 특성과 그 의의 ---------------------------------176 D. 傳 1. <山君傳>의 주제와 표현 기법 ------------------------------------194 2. <碧繼翁傳>의 작품 구조와 의미 ----------------------------------209 3. <李孝子傳>의 주제의식 ------------------------------------------215 Ⅴ. 17世紀의 文學的 傾向과 鄭斗卿 文學의 位相 A. 復古主義 文風과 정두경 문학에 대한 당대의 평가 ------------------222 B. 정두경 문학에 대한 후대의 포폄과 그 의미 1. 金昌協 계열의 비판과 그 의미: 擬古性과 虛構性 ------------------229 2. 南克寬, 李思質의 칭도와 그 의미: 氣格 --------------------------234 C. 정두경 문학의 문학사적 위상 -------------------------------------238 Ⅵ. 結論 -----------------------------------------------------------245 부록: [시풍] 내용개관 -----------------------------------------------250 參考文獻 ------------------------------------------------------------258 中文抄錄 ------------------------------------------------------------2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075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동명 정두경 문학의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